diff --git a/ko_KR.UTF-8/articles/Makefile b/ko_KR.UTF-8/articles/Makefile index 80d9035887..28f4756b85 100644 --- a/ko_KR.UTF-8/articles/Makefile +++ b/ko_KR.UTF-8/articles/Makefile @@ -4,6 +4,8 @@ SUBDIR = SUBDIR+= bsdl-gpl +SUBDIR+= contributing +SUBDIR+= explaining-bsd DOC_PREFIX?= ${.CURDIR}/../.. .include "${DOC_PREFIX}/share/mk/doc.project.mk" diff --git a/ko_KR.UTF-8/articles/bsdl-gpl/article.xml b/ko_KR.UTF-8/articles/bsdl-gpl/article.xml index 94c30f71dd..edd06295ce 100644 --- a/ko_KR.UTF-8/articles/bsdl-gpl/article.xml +++ b/ko_KR.UTF-8/articles/bsdl-gpl/article.xml @@ -1,573 +1,219 @@ - - - -
- - -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하는 - 이유 + +
+ +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 - - Bruce - Montague - - -
brucem@alumni.cse.ucsc.edu
-
-
+ BruceMontague
brucem@alumni.cse.ucsc.edu +
- &tm-attrib.freebsd; - &tm-attrib.intel; - &tm-attrib.general; + FreeBSD는 FreeBSD 재단의 등록 상표입니다. + Intel, Celeron, Centrino, Core, EtherExpress, i386, i486, Itanium, Pentium, 그리고 Xeon은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Intel Corporation 혹은 그 자회사의 상표 또는 등록 상표입니다. + 생산자 및 판매자들이 그들의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많은 표기들은 상표권으로 보호받습니다. 이 문서에 그런 표기들이 나타날 때, FreeBSD 프로젝트는 그러한 상표권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표기 뒤에 또는 ® 기호를 사용합니다. - $FreeBSD$ + $FreeBSD$ - $FreeBSD$ + $FreeBSD$
- - 개요 - - 이 문서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에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구체적으로 이 문서는 GPL 대신 -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문서는 또한 - BSD와 GPL 오픈 소스 라이선스에 대한 소개 및 간단한 요약이기도 - 합니다. - - - - 오픈 소스의 아주 간략한 역사 - - 오픈 소스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오래 전에, -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래머들의 자발적인 공동체에 의해 개발되고 - 자유롭게 주고받아졌습니다. 1950년대 초반을 시작으로, SHARE와 DECUS와 같은 단체들은 - 컴퓨터 하드웨어 회사들이 자사의 제품에 동봉한 소프트웨어의 - 상당수를 개발했습니다. 그 당시 컴퓨터 회사들은 주로 하드웨어 - 사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소프트웨어의 비용을 낮추고 더 많은 - 프로그램들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은 곧 하드웨어 회사들의 - 경쟁력이 되었습니다. - - 이러한 방침은 1960년대에 바뀌었습니다. 1965년에 ADR은 - 하드웨어 제조사와는 독립적으로 라이선스된 최초의 소프트웨어 - 제품을 개발했습니다. ADR은 IBM의 고객들에 의해 개발된 무료 IBM - 패키지와 경쟁하고 있었습니다. ADR은 1968년에 그들의 - 소프트웨어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그들의 프로그램이 - (불법으로) 공유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은 그들의 프로그램을 -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임대 형식의 장비에서만 - 제공했습니다. 그럼으로써 ADR은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유권을 - 얻었고, 소프트웨어의 재판매와 재사용을 하지 못하도록 통제할 수 - 있었습니다. - - 1969년에 미국 법무부는 IBM이 그들의 하드웨어에 무료 - 소프트웨어를 동봉하여 시장을 독점하려 한 것에 대해 벌금을 - 부과했습니다. 이 소송의 결과로, IBM은 더 이상 그들의 제품에 - 소프트웨어를 동봉하지 않았습니다; 즉,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는 - 독립적인 제품이 되었습니다. - - 1968년에 Informatics는 최초로 상용 killer-app을 발표하고 - 소프트웨어 제품, 소프트웨어 회사, 그리고 많은 이윤에 대한 개념을 - 빠르게 정착시켜 나갔습니다. Informatics는 현재 컴퓨터 산업의 - 표준과도 같은 영구 라이선스를 개발했습니다. 이 라이선스는 - 소프트웨어의 소유에 대한 권리가 소비자에게 주어지지 않는다는 - 특징이 있습니다. - - - - BSD 라이선스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닉스 - - 원본 유닉스 구현을 소유하고 있던 AT&T는 반독점법에 의해 - 공식적으로 규제를 받고 있었습니다; 그 회사는 합법적으로 - 소프트웨어 제품을 판매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학술 기관에 저장 - 매체의 비용만을 받고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은 - 가능했습니다. - - OS conference에서 유닉스를 사용 가능하다고 발표한 이후에, - 대학교들은 그것을 빠르게 채택했습니다. 유닉스는 대단히 저렴한 - 16비트 컴퓨터인 PDP-11에서 작동했고,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 명백하게 유리한 고급 언어로 작성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대단히 - 유용한 특징이었습니다. DEC PDP-11은 소비자들이 그들만의 운영 - 체제를 작성(그 당시에는 꽤나 보편적인 일이었습니다)하기 쉽도록 -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공개하고 있었습니다. DEC의 창립자인 Ken - Olsen이 했던 말은 유명합니다, 당신이 좋은 하드웨어를 - 가지고 있다면 소프트웨어는 하늘이 내려 준다. - - 유닉스의 개발자인 Ken Thompson은 1975년에 그의 모교인 -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교(UCB)로 돌아왔고, 커널을 한줄씩 - 가르쳤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BSD(Berkeley Standard - Distribution)라는 시스템으로 발전했습니다. UCB는 유닉스를 - 32비트로 변환시켰고, 가상 메모리와 TCP/IP 스택(인터넷의 핵심 - 기술)을 구현했습니다. UCB는 BSD를 BSD - 라이선스라고 알려지게 된 규정에 따라 저장 매체의 비용만 - 받고 누구에게나 제공했습니다. 소비자들은 AT&T에서 유닉스를 - 구입했고 UCB에서 BSD 테이프(당시의 저장 매체)를 - 주문했습니다. - - 1980년대 중반에 정부의 ATT에 대한 독점 소송은 ATT가 회사의 - 사업부를 분할하는 것으로 끝났습니다. ATT는 여전히 유닉스를 - 소유하고 있었고 이제는 판매도 할 수 있었습니다. ATT는 공격적인 - 라이선스 정책을 추진했으며 오늘날의 주요한 상용 유닉스들은 ATT - 기반이 되었습니다. - - 1990년대 초반에 ATT는 BSD에 관련된 라이선스의 위반으로 UCB에 -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UCB는 ATT가 자사의 제품에 BSD의 향상된 - 기능을 아무런 승인이나 대가 지불 없이 포함시킨 것을 발견했고, - 주로 ATT와 UCB 사이의 기나긴 소송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 이 기간 동안 UCB의 프로그래머들 중 일부는 BSD에 포함된 ATT - 코드를 모두 다시 작성하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이 작업의 결과로 - bsd 4.4-lite라고 불리는 시스템이 만들어졌습니다 (이것은 완전한 - 시스템이 아니었기 때문에 lite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 6개의 핵심적인 ATT 파일이 빠졌기 때문입니다). - - 얼마 후에, Dr. Dobbs의 잡지에 BSD 파생의 386 PC 버전 - 유닉스를 설명하는 긴 글이 수록되었습니다. 이것은 4.4 lite에 - 결손된 6개의 파일들을 BSD 라이선스의 것으로 대체한 - 버전이었습니다. 386BSD라고 이름지어진 이 시스템은 전 UCB - 프로그래머인 William Jolitz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 사용되는 PC 호환 BSD들의 기본적인 바탕이 되었습니다. - - 1990년대 중반에, Novell이 ATT의 유닉스에 대한 권리를 - 인수했고 (그 당시 비밀이었던) 협정에 의해 소송은 종료되었습니다. - UCB는 곧 BSD에 대한 지원을 종료했습니다. - - - - FreeBSD 라이선스와 BSD 라이선스의 현재 상황 - - 지난 몇 년동안 FreeBSD에 적용되어 온 소위 new - BSD license는 여러분이 프로그램 또는 그 소스를 가지고 - 무엇이든지 해도 되지만, 아무런 보증도 되지 않으며 저작자 중 - 아무도 책임지지 않음(즉, 여러분은 아무도 고소할 수 없습니다)을 - 나타내는 사실상 하나의 선언입니다. 이 new BSD license는 제품의 - 상용화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어떤 BSD 코드라도 여러분의 코드의 - 사용 가능성 또는 여러분의 미래의 행동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고 - 판매되거나 상용 제품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 - new BSD 라이선스를 공공재와 혼동하지 - 마십시오. 공공재에 속한 대상 역시 모두가 무료로 사용할 수 - 있지만, 그것은 소유자가 없습니다 - - - - GPL의 기원 - -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에 유닉스의 미래가 혼란스러웠을 - 동안, 또 다른 주요 라이선스인 GPL이 개발의 결실을 - 맺었습니다. - - Emacs의 개발자인 Richard Stallman이 MIT의 스태프 멤버였을 - 때, 그의 연구실은 시스템을 직접 개발하는 방식에서 상용 제품을 -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꾸었습니다. Stallman은 그가 합법적으로 - 시스템을 개선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화가 났습니다. - (Stallman의 동료들 대다수는 MIT에서 개발하고 라이선스한 -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두 회사를 창업하기 위해 떠났습니다; - 이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에 대한 관점에서 의견의 불일치가 있었던 - 것으로 보입니다). Stallman은 상용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에 대한 - 대안을 마련했고 이를 GPL, "GNU Public License"라고 - 이름지었습니다. 그는 또한 Free Software Foundation - (FSF)라고 불리는 비영리 단체를 만들었는데, 이는 상용 라이선스에 - 종속적이지 않으면서 관련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완전한 운영 체제 - 개발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GNU is Not Unix"라는 뜻의 - GNU라고 불렸습니다. - - GPL은 표준적인 상용 라이선스의 정반대 역할을 하도록 - 디자인되었습니다. 이 관점에서, GPL 프로그램에 어떤 수정이라도 - 가하면 (사용자에게 소스 코드를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방식으로) GPL - 커뮤니티에 환원해야 하고 GPL 코드를 사용하거나 링크한 프로그램은 - 모두 GPL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GPL은 소프트웨어가 상용 - 제품이 되는 것을 막도록 의도하고 있습니다. GPL 본문의 마지막 - 문단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 - General Public License는 여러분의 프로그램을 상용 -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1] - - GPL는 - 복잡한 라이선스이기 때문에 GPL을 사용하는 데에는 몇 가지 원칙이 - 있습니다: - - - - 여러분은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고, 지원하고, 관련된 문서에 - 대해 필요한 요금을 원하는 만큼 책정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 그 자체를 판매할 수는 없습니다. - - - - 프로그램을 컴파일하는 데 GPL 코드가 필요하다면, 그 - 프로그램은 GPL을 따라야 합니다. GPL 라이브러리에 정적으로 - 링크된 프로그램도 GPL을 따라야 합니다. - - - - GPL은 GPL 소프트웨어 및 연관된 모든 개발품을 사람들이 -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할 것을 요구하고 - 있습니다. - - - - 단순히 소프트웨어들을 한데 모아 놓는 것은, 예를 들어 - 여러 프로그램들이 하나의 디스크에 저장되는 경우, GPL - 프로그램을 비 GPL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간주되지 - 않습니다. - - - -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는 파생 작업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이는 gcc 컴파일러를 법적 문제 없이 상용 환경에 사용할 수 - 있도록 해 줍니다. - - - - 리눅스 커널이 GPL이기 때문에, 리눅스 커널에 정적으로 - 링크된 코드는 모두 GPL을 따라야 합니다. 동적으로 링크되고 - 로드할 수 있는 커널 모듈을 통해 이 요구사항을 우회할 수 - 있습니다. 이 허용은 회사로 하여금 바이너리 드라이버를 - 배포할 수 있도록 해 주지만, 특정한 버전의 리눅스 커널에서만 - 동작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 - - - 이 복잡성 때문에, 오늘날 리눅스 및 그와 연관된 - 소프트웨어에서는 GPL의 법적 효력이 무시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 장기적인 결과는 불분명합니다. - - - - 리눅스와 LGPL의 기원 - - 상용 유닉스 전쟁이 벌어지는 동안, 리눅스 커널은 PC 유닉스의 - 클론으로 개발되었습니다. Linus Torvalds는 리눅스의 탄생에 대한 - 공로를 GNU C 컴파일러 및 그에 연관된 GNU 도구들에 돌리고 - 있습니다. 그는 리눅스 커널을 GPL로 만들었습니다. - - GPL은 GPL 코드에 정적으로 링크된 모든 코드 역시 GPL을 - 따르도록 요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 주십시오. 즉 해당 -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 동적 링크는 GPL 위반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리눅스에서 상용 -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 프로그램들은 대체로 시스템 라이브러리와 링크되어야 합니다. 이 - 결과로 LGPL - ("Library", 나중에 "Lesser"로 다시 명명된, GPL)라고 하는 GPL의 - 수정판이 나타났습니다. LGPL은 상용 코드를 GNU C 라이브러리인 - glibc와 링크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여러분은 LGPL 라이브러리와 - 동적으로 링크된 코드를 공개해야 할 의무는 없습니다. - - 만약 여러분이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흔히 요구되는 것처럼 - 프로그램과 glibc를 정적으로 링크하고자 한다면, 해당 프로그램을 - 사유 재산으로 유지할 수는 없습니다. 즉, 소스 코드는 반드시 - 공개되어야 합니다. GPL과 LGPL 모두 해당 코드를 직접 수정한 것은 -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 - - - 오픈 소스 라이선스와 방치 문제 - - 사유 소프트웨어와 연관된 중요한 문제들 중 하나는 - 방치(orphaning)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 하나의 이는 하나의 사업 실패나 제품 전략 변경이 피라미드 형태로 - 이에 종속된 많은 시스템과 회사들을 그들이 대처할 수 있는 범위 - 너머의 이유로 망하게 할 때 일어납니다. 수십 년에 걸친 경험은 - 잠깐 성공한 소프트웨어 공급자가 그 소프트웨어를 언제까지나 사용 - 가능하게 해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는 - 현재의 시장 조건과 전략이 빠르게 변화할 수 있기 - 때문입니다. - - GPL은 사유 지적 재산과의 링크를 막음으로써 방치 현상을 - 방지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 - BSD 라이선스는 중소기업에게 아무런 법적 의무 또는 비용 없이 - 소프트웨어를 맡겨 놓는 것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만약 BSD - 라이선스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단되면, 회사는 그에 종속적인 - 프로그램을 단순히 사유 재산을 넘겨받듯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보다 나은 상황은 BSD 라이선스의 코드가 비공식 협회에 의해 - 유지되는 것입니다. 이러면 개발 과정이 하나의 회사 또는 제품 - 라인의 생존에 종속적이지 않게 됩니다. 개발 팀이 지속적으로 - 이어지는 것은 단순히 소스 코드를 얻을 수 있는가의 여부보다 훨씬 - 더 중요합니다. - - - - 라이선스가 할 수 없는 일 - - 어떠한 라이선스도 미래의 소프트웨어 사용 가능성을 보장해 - 주지는 않습니다. 저작권자가 언제든지 저작권의 내용을 바꿀 수 - 있지만, BSD 커뮤니티에서 그러한 시도가 있다면 단순히 소스 코드를 - fork하게 됩니다. - - GPL은 라이선스를 무효로 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회사(Mattel)가 - GPL 저작권을 인수(cphack)하고, 저작권 전체를 무효화시킨 뒤, - 법정에 가서, 승소한 경우[2]입니다. 즉, 그들은 합법적으로 해당 - 배포본 전체와 모든 파생물에 대한 저작권을 무효화시켰습니다. 더 - 크고 널리 퍼져 있는 배포폰에 대해서도 이런 일이 일어날 수 -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소프트웨어가 진짜 - GPL인지에 대한 혼란이 있기도 합니다. - - 다른 예시로는, Red Hat이 FSF 컴파일러 또구들의 개발을 인수한 - 기술 회사인 Cygnus를 인수한 경우가 있습니다. Cygnus는 그들이 - GNU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을 판매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했기 - 때문에 이렇게 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그들로 하여금 50여 명의 - 엔지니어들을 고용하고 많은 수정을 할 수 있는 우세함을 통해 -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원하는 대로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 Donald Rosenberg가 언급하기를 "GPL과 같은 라이선스를 사용하는 - 프로젝트들은 누군가 더 나은 코드를 만들어 원 소유자에 비해 - 빠르게 일을 해나가는 방법을 프로젝트를 손에 넣을지도 모른다는 - 지속적인 위협 속에서 살아간다." [3] - - - - GPL의 장단점 - - GPL을 사용하는 흔한 이유 중 하나는 gcc 컴파일러를 수정하거나 - 확장할 때입니다. 이것은 모든 소프트웨어의 비용이 비싼 데 비해 - 결과로 만들어진 컴파일러를 다른 사람이 사용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 CPU를 개발할 때 특히 적합합니다. - - GPL은 CD를 판매하는 작은 회사들에게도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 이윤을 충분히 남기면서도 사용자에게 비싸지 않은 제품을 제공할 수 - 있습니다. GPL은 또한 GPL 지적 재산에 대한 문서 등의 다양한 기술 - 지원을 제공하는 회사들에게도 매력적입니다. - - GPL의 잘 알려지지 않고 의도적이지도 않은 사용은 대기업들이 - 소프트웨어 회사들의 가치를 싸게 평가하는 데 좋다는 것입니다. - 다시 말해, GPL은 잠재적으로 전체의 경제적 이익을 저해하고 - 독과점에 기여하는 마케팅 무기에 적합합니다. - - GPL은 소프트웨어를 상업화하고 이윤을 창출하고자 하는 - 사람들에게는 현실적인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PL은 - 대학원생이 자신의 연구 결과를 상업화하기 위해 회사를 차리는 것을 - 어렵게 하거나, 해당 학생이 연구 결과를 상업화해줄 것으로 - 기대하는 회사에 입사하는 것을 어렵게 합니다. - - 여러 소프트웨어 표준들의 정적 링크 구현을 사용해야 하는 - 사람들에게 GPL은 좋지 못한 라이선스인데, 이는 상용으로 구현된 - 표준의 사용을 막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GPL은 GPL 표준을 사용해야 - 빌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수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GPL은 - 하나의 상용 제품이 표준이 되는 방식을 막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 있습니다.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에는 적용되지 않는데, 이는 - 그것들이 정적 링크 대신 trap-based API를 사용하기 - 때문입니다.) - - GPL은 프로그래머들이 프로그램의 발전에 기여하고, 이들의 - 배포와 지원으로 경쟁하도록 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 - 상황은 필요한 많은 코어 시스템 표준에는 현실적이지 않은데, 이는 - 이러한 시스템이 기존의 비 GPL 라이선스 표준으로 상용화되거나 - 그러한 표준과 결합되는 환경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시간 - 시스템들은 대개 정적으로 링크되기 때문에, 많은 임베디드 시스템 - 회사들에게 GPL과 LGPL은 단연코 잠재적 문제점으로 - 여겨집니다. - - GPL은 연구 및 개발 단계에서, 수요에 관계없이, 노력을 - 유지시키기 위한 시도입니다. 이는 더 널리 배포하는 데 알 수 없는 - 비용이 드는 연구자 및 개발자들에게 최대한의 혜택을 - 제공합니다. - - GPL은 연구 결과가 상용 제품으로 변모하는 것을 막기 위해 - 고안되었습니다. 이는 고전적인 기술이 마침내 다다르게 되는 - 종착역과 같으며 이렇게 상용화되는 것을 막는 것은 일반적으로 - 어렵습니다; GPL은 그러한 과정을 봉쇄하도록 - 만들어졌습니다. - - - - BSD의 장점 - - BSD 형식의 라이선스는 장기간의 연구 또는 다음과 같은 개발 - 환경이 필요한 프로젝트에 이상적입니다: - - - - 거의 비용이 들지 않는 경우 - - - - 오랜 기간 동안 발전할 경우 - - - - 누구나 법적 제약 없이 최종 결과물을 상용화하는 - 것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 - - - 마지막 조건은 가장 지배적인 조항인데, 이는 Apache 프로젝트가 - 그들의 라이선스에 중점을 둔 사항이기도 합니다: - - This type of license is ideal for promoting the use - of a reference body of code that implements a protocol for - common service. This is another reason why we choose it for the - Apache group - many of us wanted to see HTTP survive and become - a true multiparty standard, and would not have minded in the - slightest if Microsoft or Netscape choose to incorporate our - HTTP engine or any other component of our code into their - products, if it helped further the goal of keeping HTTP - common... All this means that, strategically speaking, the - project needs to maintain sufficient momentum, and that - participants realize greater value by contributing their code to - the project, even code that would have had value if kept - proprietary. - - 개발자들은 BSD 라이선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 그들이 코드를 다룸에 있어 법적 분쟁으로부터 벗어나 그들이 하고 - 싶은 대로 하도록 허락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시스템을 - 개발하기보다 주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들, 혹은 다른 - 사람들이 코드를 개선해 주기를 기대하는 사람들, 혹은 (국가 - 공무원과 같이) 시스템 작업으로 생계를 유지하지는 않는 사람들의 - 경우 GPL을 선호하는데, 이는 다른 사람이 개발한 코드를 자신잉 - 사용할 수 있고 그들의 상관이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일을 막을 수도 - 있으며 결과적으로 잠재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무용지물"로 만들거나 - 방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경쟁자로 - 하여금 여러분을 돕도록 강제하고 싶다면, GPL은 매력적인 선택지가 - 될 것입니다. - - BSD 라이선스는 단순한 선물인 것은 아닙니다. 왜 - 우리는 우리의 경쟁자를 돕거나 그들이 우리가 만든 결과물을 훔쳐 - 가도록 내버려 두어야 하나요?라는 질문은 BSD 라이선스에 - 관련된 질문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BSD 라이선스 하에서, 만약 - 어떤 회사가 제품 시장을 독점하고 다른 이들이 이를 전략적이었다고 - 여길 경우, 다른 회사들은 최소한의 노력만으로 시장 경쟁과 - 공정성을 증대시킬 경쟁 BSD 파생본에 기여하는 작은 협회를 만들 수 - 있습니다. 이는 각 회사들로 하여금 이것이 제공하는 이점으로부터 - 이윤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주고, 경제적 유연성과 - 효율성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회원들이 더 빠르고 쉽게 이에 - 협력할수록, 더욱 성공적일 것입니다. BSD 라이선스는 그러한 - 행동을 가능하게 해 주면서도 가장 덜 복잡한 - 라이선스입니다. - - 완전하고 경쟁력 있는 오픈 소스 시스템을 단지 저장 매체의 - 가격만으로 널리 쓸 수 있게 한다는 GPL의 핵심적인 효과는 합리적인 - 목표입니다. BSD 형식의 라이선스는, 협회 창설을 통한 개인의 - 연합을 통해, 기술 개발 과정에 대한 경제적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 - - - BSD 라이선스를 사용하면 좋은 경우 - - - - BSD 라이선스는 연구 결과를 널리 배포하고 경제적 이윤을 -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적합합니다. 그것으로서, NSF, ONR - 그리고 DARPA와 같은 연구 개발 기관은 자금을 투자받은 -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 연구를 위해 소프트웨어, 데이터, 결과, - 그리고 오픈 하드웨어에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적용할 것을 - 장려해야 합니다. 그들은 또한 오픈 소스 시스템 구현과 - 진행중인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표준을 정할 것을 - 장려해야 합니다. - - - - 정부 정책은 비용과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할 때의 - 어려움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가능하다면, 연구 결과를 - 상용화에 친화적인 BSD 형식의 라이선스로 사용 가능하게 할 - 것을 요구해야 합니다. - - - - 많은 경우에, 저작권 또는 특허에 의해 상용 대학 - 라이선스에 종속되는 것보다 BSD 형식 라이선스의 형식을 취하는 - 것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대학의 연구 목표에 더 근접합니다. - 대학 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연구 결과를 공개하고, - 경제적으로 성공한 졸업생들에 의해 기부받는 것이 금전적으로 - 더 이득이 되는 실제적인 사례들이 존재합니다. - - - - 회사들은 사실상의 표준을 만든느 것이 마케팅 기술의 - 핵심이 된다는 것을 오랜 경험에 걸쳐 알아왔습니다. 만약 - 회사가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데 독특한 강점이 있다면, BSD - 라이선스는 이 역할을 잘 수행합니다. 라이선스는 회사의 전문 - 기술 덕분에 그들이 통제할 수 있으면서도 많은 사람들에게 - 법적인 관점에서 매력적입니다. 다른 사람들을 방해하거나 - 그들의 것을 빼앗고자 할 목적으로 그러한 표준을 만드는 경우 - GPL은 적절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GPL은 상용으로 - 적용 가능한 표준을 지향하지 않고 방해합니다. 그러한 GPL - suite를 사용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상용화와 법률 상의 문제를 - 발생시킵니다. GPL 표준과 그렇지 않은 것을 함께 활용하는 - 것은 대개 가능하지 않습니다. 진정한 기술 표준은 기술적이지 - 않은 이유 때문에 다른 표준을 배제할 것을 강제해서는 안 - 됩니다. - - - - 다른 회사들의 상용 제품의 핵심이 될 수 있는 표준을 - 개발하고 장려하는 데 관심이 있는 회사는 GPL에 대해 조심해야 - 합니다. 사용된 라이선스에 관계없이, 결과가 되는 - 소프트웨어는 기술적인 변화의 대부분과 시스템의 상태를 가장 - 잘 아는 사람들에게 맡겨질 것입니다. GPL은 단지 결과에 - 추가적인 법적 제약을 가할 뿐입니다. - - - - 오픈 소스 코드를 개발하는 큰 회사는 오픈 소스를 옹호하는 - 프로그래머를 조심해야 하는데, 이는 그들이 다른 곳으로 이직할 - 경우에도 여전히 그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일부 회사들은, 특히 해당 소프트웨어가 핵심 전략에 직접적으로 - 연관되어 있지 않을 때, 이러한 행동을 직원들의 특권으로써 - 장려합니다. 이는 사실 직접적인 비용 손실 없이 잠재적인 기회 - 비용만을 잃는 퇴직 혜택입니다. 직원을 회사 외부를 위해 - 일하도록 장려하는 것은 종종 회사가 손해 없이 제공할 수 있는 - 간단한 혜택이 되기도 합니다. - - - - 소프트웨어가 방치될 것이 걱정되는 작은 개발 회사는, - 가능하다면 BSD 라이선스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필요가 - 있습니다. 회사들은 그 규모에 관계없이 BSD 형식 오픈 소스 - 프로젝트를 구성함으로써 법적인, 그리고 구조적인 간접 비용을 - 최소화하는 상호간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 - - 비영리단체들은 가능하다면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 합니다. 서로 다른 라이선스의 코드를 함께 사용하는 것과 같은 - 소프트웨어상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BSD 형식의 라이선스가 - 장려되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과 밀접하게 관련있는 - 비영리단체는 GPL을 더욱 경계해야 할 것입니다. 법률을 - 적용하는 일이 많은 비용을 요구하는 일부 지역에서는, GPL에 - 비해 단순한 BSD 라이선스가 고려해볼 만한 이점이 될 - 것입니다. - - - - - - 맺음말 - - 오픈 소스 코드의 상용화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GPL과는 달리, - BSD 라이선스는 미래의 행동에 최소한의 제약만을 가합니다. 이는 - 프로젝트나 회사의 필요에 따라 BSD 코드를 오픈 소스로 유지하거나 - 상용 솔루션에 사용될 수 있도록 허락합니다. 다시 말해서, BSD - 라이선스는 개발 과정에서 법적인 시한 폭탄이 되지 - 않습니다. - - 더불어 BSD 라이선스는, GPL이나 LGPL 라이선스와는 달리 복잡한 - 법적 의무가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와 회사가 라이선스 위반 - 여부에 대해 걱정하는 대신 좋은 코드를 작성하고 홍보하는 데 -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 - - - Addenda - - [1] http://www.gnu.org/licenses/gpl.html + + 개요 + + 이 문서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에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구체적으로 이 문서는 GPL 대신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문서는 또한 BSD와 GPL 오픈 소스 라이선스에 대한 소개 및 간단한 요약이기도 합니다. + + + + 오픈 소스의 아주 간략한 역사 + + 오픈 소스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오래 전에,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래머들의 자발적인 공동체에 의해 개발되고 자유롭게 주고받아졌습니다. 1950년대 초반을 시작으로, SHARE와 DECUS와 같은 단체들은 컴퓨터 하드웨어 회사들이 자사의 제품에 동봉한 소프트웨어의 상당수를 개발했습니다. 그 당시 컴퓨터 회사들은 주로 하드웨어 사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소프트웨어의 비용을 낮추고 더 많은 프로그램들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은 곧 하드웨어 회사들의 경쟁력이 되었습니다. + + 이러한 방침은 1960년대에 바뀌었습니다. 1965년에 ADR은 하드웨어 제조사와는 독립적으로 라이선스된 최초의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했습니다. ADR은 IBM의 고객들에 의해 개발된 무료 IBM 패키지와 경쟁하고 있었습니다. ADR은 1968년에 그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그들의 프로그램이 (불법으로) 공유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은 그들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임대 형식의 장비에서만 제공했습니다. 그럼으로써 ADR은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유권을 얻었고, 소프트웨어의 재판매와 재사용을 하지 못하도록 통제할 수 있었습니다. + + 1969년에 미국 법무부는 IBM이 그들의 하드웨어에 무료 소프트웨어를 동봉하여 시장을 독점하려 한 것에 대해 벌금을 부과했습니다. 이 소송의 결과로, IBM은 더 이상 그들의 제품에 소프트웨어를 동봉하지 않았습니다; 즉,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는 독립적인 제품이 되었습니다. + + 1968년에 Informatics는 최초로 상용 killer-app을 발표하고 소프트웨어 제품, 소프트웨어 회사, 그리고 많은 이윤에 대한 개념을 빠르게 정착시켜 나갔습니다. Informatics는 현재 컴퓨터 산업의 표준과도 같은 영구 라이선스를 개발했습니다. 이 라이선스는 소프트웨어의 소유에 대한 권리가 소비자에게 주어지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 + + BSD 라이선스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닉스 + + 원본 유닉스 구현을 소유하고 있던 AT&T는 반독점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규제를 받고 있었습니다; 그 회사는 합법적으로 소프트웨어 제품을 판매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학술 기관에 저장 매체의 비용만을 받고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은 가능했습니다. + + OS conference에서 유닉스를 사용 가능하다고 발표한 이후에, 대학교들은 그것을 빠르게 채택했습니다. 유닉스는 대단히 저렴한 16비트 컴퓨터인 PDP-11에서 작동했고,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명백하게 유리한 고급 언어로 작성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대단히 유용한 특징이었습니다. DEC PDP-11은 소비자들이 그들만의 운영체제를 작성(그 당시에는 꽤나 보편적인 일이었습니다)하기 쉽도록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공개하고 있었습니다. DEC의 창립자인 Ken Olsen이 했던 말은 유명합니다, 당신이 좋은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다면 소프트웨어는 하늘이 내려 준다. + + 유닉스의 개발자인 Ken Thompson은 1975년에 그의 모교인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교(UCB)로 돌아왔고, 커널을 한줄씩 가르쳤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BSD(Berkeley Standard Distribution)라는 시스템으로 발전했습니다. UCB는 유닉스를 32비트로 변환시켰고, 가상 메모리와 TCP/IP 스택(인터넷의 핵심 기술)을 구현했습니다. UCB는 BSD를 BSD 라이선스라고 알려지게 된 규정에 따라 저장 매체의 비용만 받고 누구에게나 제공했습니다. 소비자들은 AT&T에서 유닉스를 구입했고 UCB에서 BSD 테이프(당시의 저장 매체)를 주문했습니다. + + 1980년대 중반에 정부의 ATT에 대한 독점 소송은 ATT가 회사의 사업부를 분할하는 것으로 끝났습니다. ATT는 여전히 유닉스를 소유하고 있었고 이제는 판매도 할 수 있었습니다. ATT는 공격적인 라이선스 정책을 추진했으며 오늘날의 주요한 상용 유닉스들은 ATT 기반이 되었습니다. + + 1990년대 초반에 ATT는 BSD에 관련된 라이선스의 위반으로 UCB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UCB는 ATT가 자사의 제품에 BSD의 향상된 기능을 아무런 승인이나 대가 지불 없이 포함시킨 것을 발견했고, 주로 ATT와 UCB 사이의 기나긴 소송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UCB의 프로그래머들 중 일부는 BSD에 포함된 ATT 코드를 모두 다시 작성하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이 작업의 결과로 bsd 4.4-lite라고 불리는 시스템이 만들어졌습니다 (이것은 완전한 시스템이 아니었기 때문에 lite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6개의 핵심적인 ATT 파일이 빠졌기 때문입니다). + + 얼마 후에, Dr. Dobbs의 잡지에 BSD 파생의 386 PC 버전 유닉스를 설명하는 긴 글이 수록되었습니다. 이것은 4.4 lite에 결손된 6개의 파일들을 BSD 라이선스의 것으로 대체한 버전이었습니다. 386BSD라고 이름지어진 이 시스템은 전 UCB 프로그래머인 William Jolitz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사용되는 PC 호환 BSD들의 기본적인 바탕이 되었습니다. + + 1990년대 중반에, Novell이 ATT의 유닉스에 대한 권리를 인수했고 (그 당시 비밀이었던) 협정에 의해 소송은 종료되었습니다. UCB는 곧 BSD에 대한 지원을 종료했습니다. + + + + FreeBSD 라이선스와 BSD 라이선스의 현재 상황 + + 지난 몇 년동안 FreeBSD에 적용되어 온 소위 new BSD license는 여러분이 프로그램 또는 그 소스를 가지고 무엇이든지 해도 되지만, 아무런 보증도 되지 않으며 저작자 중 아무도 책임지지 않음(즉, 여러분은 아무도 고소할 수 없습니다)을 나타내는 사실상 하나의 선언입니다. 이 new BSD license는 제품의 상용화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어떤 BSD 코드라도 여러분의 코드의 사용 가능성 또는 여러분의 미래의 행동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고 판매되거나 상용 제품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 + new BSD 라이선스를 공공재와 혼동하지 마십시오. 공공재에 속한 대상 역시 모두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것은 소유자가 없습니다. + + + + + GPL의 기원 + +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에 유닉스의 미래가 혼란스러웠을 동안, 또 다른 주요 라이선스인 GPL이 개발의 결실을 맺었습니다. + + Emacs의 개발자인 Richard Stallman이 MIT의 스태프 멤버였을 때, 그의 연구실은 시스템을 직접 개발하는 방식에서 상용 제품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꾸었습니다. Stallman은 그가 합법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화가 났습니다. (Stallman의 동료들 대다수는 MIT에서 개발하고 라이선스한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두 회사를 창업하기 위해 떠났습니다; 이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에 대한 관점에서 의견의 불일치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Stallman은 상용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에 대한 대안을 마련했고 이를 GPL, "GNU Public License"라고 이름지었습니다. 그는 또한 Free Software Foundation (FSF)라고 불리는 비영리 단체를 만들었는데, 이는 상용 라이선스에 종속적이지 않으면서 관련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완전한 운영 체제 개발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GNU is Not Unix"라는 뜻의 GNU라고 불렸습니다. + + GPL은 표준적인 상용 라이선스의 정반대 역할을 하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이 관점에서, GPL 프로그램에 어떤 수정이라도 가하면 (사용자에게 소스 코드를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방식으로) GPL 커뮤니티에 환원해야 하고 GPL 코드를 사용하거나 링크한 프로그램은 모두 GPL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GPL은 소프트웨어가 상용 제품이 되는 것을 막도록 의도하고 있습니다. GPL 본문의 마지막 문단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 + General Public License는 여러분의 프로그램을 상용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1] + + GPL는 복잡한 라이선스이기 때문에 GPL을 사용하는 데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 + + + 여러분은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고, 지원하고, 관련된 문서에 대해 필요한 요금을 원하는 만큼 책정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그 자체를 판매할 수는 없습니다. + + 프로그램을 컴파일하는 데 GPL 코드가 필요하다면, 그 프로그램은 GPL을 따라야 합니다. GPL 라이브러리에 정적으로 링크된 프로그램도 GPL을 따라야 합니다. + + GPL은 GPL 소프트웨어 및 연관된 모든 개발품을 누구든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 단순히 소프트웨어들을 한데 모아 놓는 것은, 예를 들어 여러 프로그램들이 하나의 디스크에 저장되는 경우, GPL 프로그램을 비 GPL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는 파생 작업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이는 gcc 컴파일러를 법적 문제 없이 상용 환경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 + 리눅스 커널이 GPL이기 때문에, 리눅스 커널에 정적으로 링크된 코드는 모두 GPL을 따라야 합니다. 동적으로 링크되고 로드할 수 있는 커널 모듈을 통해 이 요구사항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 이 허용은 회사로 하여금 바이너리 드라이버를 배포할 수 있도록 해 주지만, 특정한 버전의 리눅스 커널에서만 동작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 + + 이 복잡성 때문에, 오늘날 리눅스 및 그와 연관된 소프트웨어에서는 GPL의 법적 효력이 무시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장기적인 결과는 불분명합니다. + + + + + 리눅스와 LGPL의 기원 + + 상용 유닉스 전쟁이 벌어지는 동안, 리눅스 커널은 PC 유닉스의 클론으로 개발되었습니다. Linus Torvalds는 리눅스의 탄생에 대한 공로를 GNU C 컴파일러 및 그에 연관된 GNU 도구들에 돌리고 있습니다. 그는 리눅스 커널을 GPL로 만들었습니다. + + GPL은 GPL 코드에 정적으로 링크된 모든 코드 역시 GPL을 따르도록 요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 주십시오. 즉 해당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동적 링크는 GPL 위반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리눅스에서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대체로 시스템 라이브러리와 링크되어야 합니다. 이 결과로 LGPL ("Library", 나중에 "Lesser"로 다시 명명된, GPL)라고 하는 GPL의 수정판이 나타났습니다. LGPL은 상용 코드를 GNU C 라이브러리인 glibc와 링크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여러분은 LGPL 라이브러리와 동적으로 링크된 코드를 공개해야 할 의무는 없습니다. + + 만약 여러분이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흔히 요구되는 것처럼 프로그램과 glibc를 정적으로 링크하고자 한다면, 해당 프로그램을 사유 재산으로 유지할 수는 없습니다. 즉, 소스 코드는 반드시 공개되어야 합니다. GPL과 LGPL 모두 해당 코드를 직접 수정한 것은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 + + + + 오픈 소스 라이선스와 방치 문제 + + 사유 소프트웨어와 연관된 중요한 문제들 중 하나는 방치(orphaning)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하나의 이는 하나의 사업 실패나 제품 전략 변경이 피라미드 형태로 이에 종속된 많은 시스템과 회사들을 그들이 대처할 수 있는 범위 너머의 이유로 망하게 할 때 일어납니다. 수십 년에 걸친 경험은 잠깐 성공한 소프트웨어 공급자가 그 소프트웨어를 언제까지나 사용 가능하게 해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는 현재의 시장 조건과 전략이 빠르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GPL은 사유 지적 재산과의 링크를 막음으로써 방치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 + BSD 라이선스는 중소기업에게 아무런 법적 의무 또는 비용 없이 소프트웨어를 맡겨 놓는 것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만약 BSD 라이선스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단되면, 회사는 그에 종속적인 프로그램을 단순히 사유 재산을 넘겨받듯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다 나은 상황은 BSD 라이선스의 코드가 비공식 협회에 의해 유지되는 것입니다. 이러면 개발 과정이 하나의 회사 또는 제품 라인의 생존에 종속적이지 않게 됩니다. 개발 팀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단순히 소스 코드를 얻을 수 있는가의 여부보다 훨씬 더 중요합니다. + + + + + 라이선스가 할 수 없는 일 + + 어떠한 라이선스도 미래의 소프트웨어 사용 가능성을 보장해 주지는 않습니다. 저작권자가 언제든지 저작권의 내용을 바꿀 수 있지만, BSD 커뮤니티에서 그러한 시도가 있다면 단순히 소스 코드를 fork하게 됩니다. + + GPL은 라이선스를 무효로 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회사(Mattel)가 GPL 저작권을 인수(cphack)하고, 저작권 전체를 무효화시킨 뒤, 법정에 가서, 승소한 경우[2]입니다. 즉, 그들은 합법적으로 해당 배포본 전체와 모든 파생물에 대한 저작권을 무효화시켰습니다. 더 크고 널리 퍼져 있는 배포폰에 대해서도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소프트웨어가 진짜 GPL인지에 대한 혼란이 있기도 합니다. + + 다른 예시로는, Red Hat이 FSF 컴파일러 또구들의 개발을 인수한 기술 회사인 Cygnus를 인수한 경우가 있습니다. Cygnus는 그들이 GNU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을 판매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했기 때문에 이렇게 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그들로 하여금 50여 명의 엔지니어들을 고용하고 많은 수정을 할 수 있는 우세함을 통해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원하는 대로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Donald Rosenberg가 언급하기를 "GPL과 같은 라이선스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들은 누군가 더 나은 코드를 만들어 원 소유자에 비해 빠르게 일을 해나가는 방법을 프로젝트를 손에 넣을지도 모른다는 지속적인 위협 속에서 살아간다." [3] + + + + + GPL의 장단점 + + GPL을 사용하는 흔한 이유 중 하나는 gcc 컴파일러를 수정하거나 확장할 때입니다. 이것은 모든 소프트웨어의 비용이 비싼 데 비해 결과로 만들어진 컴파일러를 다른 사람이 사용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CPU를 개발할 때 특히 적합합니다. + + GPL은 CD를 판매하는 작은 회사들에게도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이윤을 충분히 남기면서도 사용자에게 비싸지 않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GPL은 또한 GPL 지적 재산에 대한 문서 등의 다양한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회사들에게도 매력적입니다. + + GPL의 잘 알려지지 않고 의도적이지도 않은 사용은 대기업들이 소프트웨어 회사들의 가치를 싸게 평가하는 데 좋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GPL은 잠재적으로 전체의 경제적 이익을 저해하고 독과점에 기여하는 마케팅 무기에 적합합니다. + + GPL은 소프트웨어를 상업화하고 이윤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현실적인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PL은 대학원생이 자신의 연구 결과를 상업화하기 위해 회사를 차리는 것을 어렵게 하거나, 해당 학생이 연구 결과를 상업화해줄 것으로 기대하는 회사에 입사하는 것을 어렵게 합니다. + + 여러 소프트웨어 표준들의 정적 링크 구현을 사용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GPL은 좋지 못한 라이선스인데, 이는 상용으로 구현된 표준의 사용을 막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GPL은 GPL 표준을 사용해야 빌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수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GPL은 하나의 상용 제품이 표준이 되는 방식을 막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에는 적용되지 않는데, 이는 그것들이 정적 링크 대신 trap-based API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 GPL은 프로그래머들이 프로그램의 발전에 기여하고, 이들의 배포와 지원으로 경쟁하도록 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은 필요한 많은 코어 시스템 표준에는 현실적이지 않은데, 이는 이러한 시스템이 기존의 비 GPL 라이선스 표준으로 상용화되거나 그러한 표준과 결합되는 환경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시간 시스템들은 대개 정적으로 링크되기 때문에, 많은 임베디드 시스템 회사들에게 GPL과 LGPL은 단연코 잠재적 문제점으로 여겨집니다. + + GPL은 연구 및 개발 단계에서, 수요에 관계없이, 노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시도입니다. 이는 더 널리 배포하는 데 알 수 없는 비용이 드는 연구자 및 개발자들에게 최대한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 + GPL은 연구 결과가 상용 제품으로 변모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이는 고전적인 기술이 마침내 다다르게 되는 종착역과 같으며 이렇게 상용화되는 것을 막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습니다; GPL은 그러한 과정을 봉쇄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 + + + + BSD의 장점 + + BSD 형식의 라이선스는 장기간의 연구 또는 다음과 같은 개발 환경이 필요한 프로젝트에 이상적입니다: + + + + 거의 비용이 들지 않는 경우 + 오랜 기간 동안 발전할 경우 + 누구나 법적 제약 없이 최종 결과물을 상용화하는 것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 + + 마지막 조건은 가장 지배적인 조항인데, 이는 Apache 프로젝트가 그들의 라이선스에 중점을 둔 사항이기도 합니다: + + This type of license is ideal for promoting the use of a reference body of code that implements a protocol for common service. This is another reason why we choose it for the Apache group - many of us wanted to see HTTP survive and become a true multiparty standard, and would not have minded in the slightest if Microsoft or Netscape choose to incorporate our HTTP engine or any other component of our code into their products, if it helped further the goal of keeping HTTP common... All this means that, strategically speaking, the project needs to maintain sufficient momentum, and that participants realize greater value by contributing their code to the project, even code that would have had value if kept proprietary. + + 개발자들은 BSD 라이선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그들이 코드를 다룸에 있어 법적 분쟁으로부터 벗어나 그들이 하고 싶은 대로 하도록 허락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시스템을 개발하기보다 주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들, 혹은 다른 사람들이 코드를 개선해 주기를 기대하는 사람들, 혹은 (국가 공무원과 같이) 시스템 작업으로 생계를 유지하지는 않는 사람들의 경우 GPL을 선호하는데, 이는 다른 사람이 개발한 코드를 자신이 사용할 수 있고 그들의 상관이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일을 막을 수도 있으며 결과적으로 잠재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무용지물"로 만들거나 방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경쟁자로 하여금 여러분을 돕도록 강제하고 싶다면, GPL은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 + + BSD 라이선스는 단순한 선물인 것은 아닙니다. 왜 우리는 우리의 경쟁자를 돕거나 그들이 우리가 만든 결과물을 훔쳐 가도록 내버려 두어야 하나요?라는 질문은 BSD 라이선스에 관련된 질문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BSD 라이선스 하에서, 만약 어떤 회사가 제품 시장을 독점하고 다른 이들이 이를 전략적이었다고 여길 경우, 다른 회사들은 최소한의 노력만으로 시장 경쟁과 공정성을 증대시킬 경쟁 BSD 파생본에 기여하는 작은 협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각 회사들로 하여금 이것이 제공하는 이점으로부터 이윤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주고, 경제적 유연성과 효율성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회원들이 더 빠르고 쉽게 이에 협력할수록, 더욱 성공적일 것입니다. BSD 라이선스는 그러한 행동을 가능하게 해 주면서도 가장 덜 복잡한 라이선스입니다. + + 완전하고 경쟁력 있는 오픈 소스 시스템을 단지 저장 매체의 가격만으로 널리 쓸 수 있게 한다는 GPL의 핵심적인 효과는 합리적인 목표입니다. BSD 형식의 라이선스는, 협회 창설을 통한 개인의 연합을 통해, 기술 개발 과정에 대한 경제적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 + + + + BSD 라이선스를 사용하면 좋은 경우 + + + + BSD 라이선스는 연구 결과를 널리 배포하고 경제적 이윤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적합합니다. 그것으로서, NSF, ONR 그리고 DARPA와 같은 연구 개발 기관은 자금을 투자받은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 연구를 위해 소프트웨어, 데이터, 결과, 그리고 오픈 하드웨어에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적용할 것을 장려해야 합니다. 그들은 또한 오픈 소스 시스템 구현과 진행중인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표준을 정할 것을 장려해야 합니다. + + 정부 정책은 비용과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할 때의 어려움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가능하다면, 연구 결과를 상용화에 친화적인 BSD 형식의 라이선스로 사용 가능하게 할 것을 요구해야 합니다. + + 많은 경우에, 저작권 또는 특허에 의해 상용 대학 라이선스에 종속되는 것보다 BSD 형식 라이선스의 형식을 취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대학의 연구 목표에 더 근접합니다. 대학 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연구 결과를 공개하고, 경제적으로 성공한 졸업생들에 의해 기부받는 것이 금전적으로 더 이득이 되는 실제적인 사례들이 존재합니다. + + 회사들은 사실상의 표준을 만드는 것이 마케팅 기술의 핵심이 된다는 것을 오랜 경험에 걸쳐 알아왔습니다. 만약 회사가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데 독특한 강점이 있다면, BSD 라이선스는 이 역할을 잘 수행합니다. 라이선스는 회사의 전문 기술 덕분에 그들이 통제할 수 있으면서도 많은 사람들에게 법적인 관점에서 매력적입니다. 다른 사람들을 방해하거나 그들의 것을 빼앗고자 할 목적으로 그러한 표준을 만드는 경우 GPL은 적절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GPL은 상용으로 적용 가능한 표준을 지향하지 않고 방해합니다. 그러한 GPL suite를 사용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상용화와 법률 상의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GPL 표준과 그렇지 않은 것을 함께 활용하는 것은 대개 가능하지 않습니다. 진정한 기술 표준은 기술적이지 않은 이유 때문에 다른 표준을 배제할 것을 강제해서는 안 됩니다. + + 다른 회사들의 상용 제품의 핵심이 될 수 있는 표준을 개발하고 장려하는 데 관심이 있는 회사는 GPL에 대해 조심해야 합니다. 사용된 라이선스에 관계없이, 결과가 되는 소프트웨어는 기술적인 변화의 대부분과 시스템의 상태를 가장 잘 아는 사람들에게 맡겨질 것입니다. GPL은 단지 결과에 추가적인 법적 제약을 가할 뿐입니다. + + 오픈 소스 코드를 개발하는 큰 회사는 오픈 소스를 옹호하는 프로그래머를 조심해야 하는데, 이는 그들이 다른 곳으로 이직할 경우에도 여전히 그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 회사들은, 특히 해당 소프트웨어가 핵심 전략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을 때, 이러한 행동을 직원들의 특권으로써 장려합니다. 이는 사실 직접적인 비용 손실 없이 잠재적인 기회 비용만을 잃는 퇴직 혜택입니다. 직원을 회사 외부를 위해 일하도록 장려하는 것은 종종 회사가 손해 없이 제공할 수 있는 간단한 혜택이 되기도 합니다. + + 소프트웨어가 방치될 것이 걱정되는 작은 개발 회사는, 가능하다면 BSD 라이선스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회사들은 그 규모에 관계없이 BSD 형식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구성함으로써 법적인, 그리고 구조적인 간접 비용을 최소화하는 상호간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 비영리단체들은 가능하다면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합니다. 서로 다른 라이선스의 코드를 함께 사용하는 것과 같은 소프트웨어상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BSD 형식의 라이선스가 장려되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과 밀접하게 관련있는 비영리단체는 GPL을 더욱 경계해야 할 것입니다. 법률을 적용하는 일이 많은 비용을 요구하는 일부 지역에서는, GPL에 비해 단순한 BSD 라이선스가 고려해볼 만한 이점이 될 것입니다. + + + + + + + 맺음말 + + 오픈 소스 코드의 상용화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GPL과는 달리, BSD 라이선스는 미래의 행동에 최소한의 제약만을 가합니다. 이는 프로젝트나 회사의 필요에 따라 BSD 코드를 오픈 소스로 유지하거나 상용 솔루션에 사용될 수 있도록 허락합니다. 다시 말해서, BSD 라이선스는 개발 과정에서 법적인 시한 폭탄이 되지 않습니다. + + 더불어 BSD 라이선스는, GPL이나 LGPL 라이선스와는 달리 복잡한 법적 의무가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와 회사가 라이선스 위반 여부에 대해 걱정하는 대신 좋은 코드를 작성하고 홍보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 + + + + 추가 정보 + + +[1] http://www.gnu.org/licenses/gpl.html [2] http://archives.cnn.com/2000/TECH/computing/03/28/cyberpatrol.mirrors/ @@ -578,6 +224,8 @@ http://www.oreilly.com/catalog/opensources/book/brian.html This whitepaper is a condensation of an original work available at -http://alumni.cse.ucsc.edu/~brucem/open_source_license.htm - -
+http://alumni.cse.ucsc.edu/~brucem/open_source_license.htm + + + +
diff --git a/ko_KR.UTF-8/articles/bsdl-gpl/ko_KR.po b/ko_KR.UTF-8/articles/bsdl-gpl/ko_KR.po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e3533e6991 --- /dev/null +++ b/ko_KR.UTF-8/articles/bsdl-gpl/ko_KR.po @@ -0,0 +1,1116 @@ +# $FreeBSD$ +# Hoyoung Kim , 2016. +# +msgid "" +msgstr "" +"Project-Id-Version: PACKAGE VERSION\n" +"POT-Creation-Date: 2016-01-05 09:10+0900\n" +"PO-Revision-Date: 2016-01-05 09:10+0900\n" +"Last-Translator: Hoyoung Kim \n" +"Language-Team: \n" +"Language: ko_KR\n" +"MIME-Version: 1.0\n"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n" +"Content-Transfer-Encoding: 8bit\n" +"X-Generator: Gtranslator 2.91.7\n" + +#. Put one translator per line, in the form NAME , YEAR1, YEAR2 +msgctxt "_" +msgid "translator-credits" +msgstr "번역자 정보" + +#. (itstool) path: info/title +#: article.translate.xml:5 +msgid "Why you should use a BSD style license for your Open Source Project" +msgstr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 +#. (itstool) path: affiliation/address +#: article.translate.xml:9 +#, no-wrap +msgid "" +"brucem@alumni.cse.ucsc.edu\n" +" " +msgstr "" +"brucem@alumni.cse.ucsc.edu\n" +" " + +#. (itstool) path: authorgroup/author +#: article.translate.xml:8 +msgid "" +"BruceMontague <_:address-1/> " +msgstr "" +"BruceMontague <_:address-1/> "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15 +msgid "FreeBSD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the FreeBSD Foundation." +msgstr "FreeBSD는 FreeBSD 재단의 등록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17 +msgid "" +"Intel, Celeron, Centrino, Core, EtherExpress, i386, i486, Itanium, Pentium, " +"and Xeon are trademarks or registered trademarks of Intel Corporation or its " +"subsidiaries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msgstr "" +"Intel, Celeron, Centrino, Core, EtherExpress, i386, i486, Itanium, Pentium, " +"그리고 Xeon은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Intel Corporation 혹은 그 자회사의 " +"상표 또는 등록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21 +msgid "" +"Many of the designations used by manufacturers and sellers to distinguish " +"their products are claimed as trademarks. Where those designations appear in " +"this document, and the FreeBSD Project was aware of the trademark claim, the " +"designations have been followed by the or the ® symbol." +msgstr "" +"생산자 및 판매자들이 그들의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많은 표기들은 상표" +"권으로 보호받습니다. 이 문서에 그런 표기들이 나타날 때, FreeBSD 프로젝트는 그" +"러한 상표권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표기 뒤에 또는 " +"® 기호를 사용합니다." + +#. (itstool) path: info/pubdate +#. (itstool) path: info/releaseinfo +#: article.translate.xml:29 article.translate.xml:31 +msgid "" +"$FreeBSD: head/en_US.ISO8859-1/articles/bsdl-gpl/article.xml 43184 " +"2013-11-13 07:52:45Z hrs $" +msgstr "$FreeBSD$"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35 +msgid "Introduction" +msgstr "개요"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7 +msgid "" +"This document makes a case for using a BSD style license for software and " +"data; specifically it recommends using a BSD style license in place of the " +"GPL. It can also be read as a BSD versus GPL Open Source License " +"introduction and summary." +msgstr "" +"이 문서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에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설" +"명합니다; 구체적으로 이 문서는 GPL 대신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사용할 것을 권" +"장합니다. 이 문서는 또한 BSD와 GPL 오픈 소스 라이선스에 대한 소개 및 간단한 " +"요약이기도 합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44 +msgid "Very Brief Open Source History" +msgstr "오픈 소스의 아주 간략한 역사"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46 +msgid "" +"Long before the term Open Source was used, software was " +"developed by loose associations of programmers and freely exchanged. " +"Starting in the early 1950's, organizations such as SHARE and DECUS developed much of the software that computer " +"hardware companies bundled with their hardware offerings. At that time " +"computer companies were in the hardware business; anything that reduced " +"software cost and made more programs available made the hardware companies " +"more competitive." +msgstr "" +"오픈 소스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오래 전에,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래" +"머들의 자발적인 공동체에 의해 개발되고 자유롭게 주고받아졌습니다. 1950년대 " +"초반을 시작으로, SHARE와 " +"DECUS와 같은 단체들은 컴퓨" +"터 하드웨어 회사들이 자사의 제품에 동봉한 소프트웨어의 상당수를 개발했습니" +"다. 그 당시 컴퓨터 회사들은 주로 하드웨어 사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소프트웨어" +"의 비용을 낮추고 더 많은 프로그램들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은 곧 하드웨" +"어 회사들의 경쟁력이 되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56 +msgid "" +"This model changed in the 1960's. In 1965 ADR developed the first licensed " +"software product independent of a hardware company. ADR was competing " +"against a free IBM package originally developed by IBM customers. ADR " +"patented their software in 1968. To stop sharing of their program, they " +"provided it under an equipment lease in which payment was spread over the " +"lifetime of the product. ADR thus retained ownership and could control " +"resale and reuse." +msgstr "" +"이러한 방침은 1960년대에 바뀌었습니다. 1965년에 ADR은 하드웨어 제조사와는 독" +"립적으로 라이선스된 최초의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했습니다. ADR은 IBM의 고객" +"들에 의해 개발된 무료 IBM 패키지와 경쟁하고 있었습니다. ADR은 1968년에 그들" +"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그들의 프로그램이 (불법으로) 공유" +"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은 그들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 +"해야 하는) 임대 형식의 장비에서만 제공했습니다. 그럼으로써 ADR은 소프트웨어" +"에 대한 소유권을 얻었고, 소프트웨어의 재판매와 재사용을 하지 못하도록 통제할 " +"수 있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65 +msgid "" +"In 1969 the US Department of Justice charged IBM with destroying businesses " +"by bundling free software with IBM hardware. As a result of this suit, IBM " +"unbundled its software; that is, software became independent products " +"separate from hardware." +msgstr "" +"1969년에 미국 법무부는 IBM이 그들의 하드웨어에 무료 소프트웨어를 동봉하여 시" +"장을 독점하려 한 것에 대해 벌금을 부과했습니다. 이 소송의 결과로, IBM은 더 " +"이상 그들의 제품에 소프트웨어를 동봉하지 않았습니다; 즉, 소프트웨어는 하드웨" +"어와는 독립적인 제품이 되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71 +msgid "" +"In 1968 Informatics introduced the first commercial killer-app and rapidly "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software product, the software company, and " +"very high rates of return. Informatics developed the perpetual license which " +"is now standard throughout the computer industry, wherein ownership is never " +"transferred to the customer." +msgstr "" +"1968년에 Informatics는 최초로 상용 killer-app을 발표하고 소프트웨어 제품, 소" +"프트웨어 회사, 그리고 많은 이윤에 대한 개념을 빠르게 정착시켜 나갔습니다. " +"Informatics는 현재 컴퓨터 산업의 표준과도 같은 영구 라이선스를 개발했습니" +"다. 이 라이선스는 소프트웨어의 소유에 대한 권리가 소비자에게 주어지지 않는다" +"는 특징이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80 +msgid "Unix from a BSD Licensing Perspective" +msgstr "BSD 라이선스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닉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82 +msgid "" +"AT&T, who owned the original Unix implementation, was a publicly " +"regulated monopoly tied up in anti-trust court; it was legally unable to " +"sell a product into the software market. It was, however, able to provide it " +"to academic institutions for the price of media." +msgstr "" +"원본 유닉스 구현을 소유하고 있던 AT&T는 반독점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규제" +"를 받고 있었습니다; 그 회사는 합법적으로 소프트웨어 제품을 판매할 수 없었습니" +"다. 그러나 학술 기관에 저장 매체의 비용만을 받고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은 " +"가능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88 +msgid "" +"Universities rapidly adopted Unix after an OS conference publicized its " +"availability. It was extremely helpful that Unix ran on the PDP-11, a very " +"affordable 16-bit computer, and was coded in a high-level language that was " +"demonstrably good for systems programming. The DEC PDP-11 had, in effect, an " +"open hardware interface designed to make it easy for customers to write " +"their own OS, which was common. As DEC founder Ken Olsen famously " +"proclaimed, software comes from heaven when you have good hardware." +msgstr "" +"OS conference에서 유닉스를 사용 가능하다고 발표한 이후에, 대학교들은 그것을 " +"빠르게 채택했습니다. 유닉스는 대단히 저렴한 16비트 컴퓨터인 PDP-11에서 작동" +"했고,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명백하게 유리한 고급 언어로 작성되어 있었습니다. " +"이는 대단히 유용한 특징이었습니다. DEC PDP-11은 소비자들이 그들만의 운영체제" +"를 작성(그 당시에는 꽤나 보편적인 일이었습니다)하기 쉽도록 하드웨어 인터페이" +"스를 공개하고 있었습니다. DEC의 창립자인 Ken Olsen이 했던 말은 유명합니다, " +"당신이 좋은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다면 소프트웨어는 하늘이 내려 준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98 +msgid "" +"Unix author Ken Thompson returned to his alma mater, University of " +"California Berkeley (UCB), in 1975 and taught the kernel line-by-line. This " +"ultimately resulted in an evolving system known as BSD (Berkeley Standard " +"Distribution). UCB converted Unix to 32-bits, added virtual memory, and " +"implemented the version of the TCP/IP stack upon which the Internet was " +"essentially built. UCB made BSD available for the cost of media, under what " +"became known as the BSD license. A customer purchased Unix " +"from AT&T and then ordered a BSD tape from UCB." +msgstr "" +"유닉스의 개발자인 Ken Thompson은 1975년에 그의 모교인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 +"교(UCB)로 돌아왔고, 커널을 한줄씩 가르쳤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 +"BSD(Berkeley Standard Distribution)라는 시스템으로 발전했습니다. UCB는 유닉" +"스를 32비트로 변환시켰고, 가상 메모리와 TCP/IP 스택(인터넷의 핵심 기술)을 구" +"현했습니다. UCB는 BSD를 BSD 라이선스라고 알려지게 된 규정에 " +"따라 저장 매체의 비용만 받고 누구에게나 제공했습니다. 소비자들은 AT&T에" +"서 유닉스를 구입했고 UCB에서 BSD 테이프(당시의 저장 매체)를 주문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08 +msgid "" +"In the mid-1980s a government anti-trust case against ATT ended with the " +"break-up of ATT. ATT still owned Unix and was now able to sell it. ATT " +"embarked on an aggressive licensing effort and most commercial Unixes of the " +"day became ATT-derived." +msgstr "" +"1980년대 중반에 정부의 ATT에 대한 독점 소송은 ATT가 회사의 사업부를 분할하는 " +"것으로 끝났습니다. ATT는 여전히 유닉스를 소유하고 있었고 이제는 판매도 할 " +"수 있었습니다. ATT는 공격적인 라이선스 정책을 추진했으며 오늘날의 주요한 상" +"용 유닉스들은 ATT 기반이 되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13 +msgid "" +"In the early 1990's ATT sued UCB over license violations related to BSD. UCB " +"discovered that ATT had incorporated, without acknowledgment or payment, " +"many improvements due to BSD into ATT's products, and a lengthy court case, " +"primarily between ATT and UCB, ensued. During this period some UCB " +"programmers embarked on a project to rewrite any ATT code associated with " +"BSD. This project resulted in a system called BSD 4.4-lite (lite because it " +"was not a complete system; it lacked 6 key ATT files)." +msgstr "" +"1990년대 초반에 ATT는 BSD에 관련된 라이선스의 위반으로 UCB에 소송을 제기했습" +"니다. UCB는 ATT가 자사의 제품에 BSD의 향상된 기능을 아무런 승인이나 대가 지" +"불 없이 포함시킨 것을 발견했고, 주로 ATT와 UCB 사이의 기나긴 소송 사건이 잇따" +"라 발생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UCB의 프로그래머들 중 일부는 BSD에 포함된 ATT " +"코드를 모두 다시 작성하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이 작업의 결과로 bsd 4.4-lite" +"라고 불리는 시스템이 만들어졌습니다 (이것은 완전한 시스템이 아니었기 때문에 " +"lite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6개의 핵심적인 ATT 파일이 빠졌기 때문입" +"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22 +msgid "" +"A lengthy series of articles published slightly later in Dr. Dobbs magazine " +"described a BSD-derived 386 PC version of Unix, with BSD-licensed " +"replacement files for the 6 missing 4.4 lite files. This system, named " +"386BSD, was due to ex-UCB programmer William Jolitz. It became the original " +"basis of all the PC BSDs in use today." +msgstr "" +"얼마 후에, Dr. Dobbs의 잡지에 BSD 파생의 386 PC 버전 유닉스를 설명하는 긴 글" +"이 수록되었습니다. 이것은 4.4 lite에 결손된 6개의 파일들을 BSD 라이선스의 것" +"으로 대체한 버전이었습니다. 386BSD라고 이름지어진 이 시스템은 전 UCB 프로그" +"래머인 William Jolitz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사용되는 PC 호환 " +"BSD들의 기본적인 바탕이 되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29 +msgid "" +"In the mid 1990s, Novell purchased ATT's Unix rights and a (then secret) " +"agreement was reached to terminate the lawsuit. UCB soon terminated its " +"support for BSD." +msgstr "" +"1990년대 중반에, Novell이 ATT의 유닉스에 대한 권리를 인수했고 (그 당시 비밀이" +"었던) 협정에 의해 소송은 종료되었습니다. UCB는 곧 BSD에 대한 지원을 종료했습" +"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135 +msgid "The Current State of FreeBSD and BSD Licenses" +msgstr "FreeBSD 라이선스와 BSD 라이선스의 현재 상황"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37 +msgid "" +"The so-called new BSD license applied to FreeBSD within the last few " +"years is effectively a statement that you can do anything with the program " +"or its source, but you do not have any warranty and none of the authors has " +"any liability (basically, you cannot sue anybody). This new BSD license is " +"intended to encourage product commercialization. Any BSD code can be sold or " +"included in proprietary products without any restrictions on the " +"availability of your code or your future behavior." +msgstr "" +"지난 몇 년동안 FreeBSD에 적용되어 온 소위 new BSD license는 여러분이 " +"프로그램 또는 그 소스를 가지고 무엇이든지 해도 되지만, 아무런 보증도 되지 않" +"으며 저작자 중 아무도 책임지지 않음(즉, 여러분은 아무도 고소할 수 없습니다)" +"을 나타내는 사실상 하나의 선언입니다. 이 new BSD license는 제품의 상용화를 " +"장려하고 있습니다. 어떤 BSD 코드라도 여러분의 코드의 사용 가능성 또는 여러분" +"의 미래의 행동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고 판매되거나 상용 제품에 포함될 수 있" +"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47 +msgid "" +"Do not confuse the new BSD license with public domain. While " +"an item in the public domain is also free for all to use, it has no owner." +msgstr "" +"new BSD 라이선스를 공공재와 혼동하지 마십시오. 공공재에 속한 " +"대상 역시 모두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것은 소유자가 없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154 +msgid "The origins of the GPL" +msgstr "GPL의 기원"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56 +msgid "" +"While the future of Unix had been so muddled in the late 1980s and early " +"1990s, the GPL, another development with important licensing considerations, " +"reached fruition." +msgstr ""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에 유닉스의 미래가 혼란스러웠을 동안, 또 다른 주요 " +"라이선스인 GPL이 개발의 결실을 맺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60 +msgid "" +"Richard Stallman, the developer of Emacs, was a member of the staff at MIT " +"when his lab switched from home-grown to proprietary systems. Stallman " +"became upset when he found that he could not legally add minor improvements " +"to the system. (Many of Stallman's co-workers had left to form two companies " +"based on software developed at MIT and licensed by MIT; there appears to " +"have been disagreement over access to the source code for this software). " +"Stallman devised an alternative to the commercial software license and " +"called it the GPL, or \"GNU Public License\". He also started a non-profit " +"foundation, the Free Software " +"Foundation (FSF), which intended to develop an entire operating " +"system, including all associated software, that would not be subject to " +"proprietary licensing. This system was called GNU, for \"GNU is Not Unix\"." +msgstr "" +"Emacs의 개발자인 Richard Stallman이 MIT의 스태프 멤버였을 때, 그의 연구실은 " +"시스템을 직접 개발하는 방식에서 상용 제품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꾸었습니다. " +"Stallman은 그가 합법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화가 났습니" +"다. (Stallman의 동료들 대다수는 MIT에서 개발하고 라이선스한 소프트웨어를 기반" +"으로 하는 두 회사를 창업하기 위해 떠났습니다; 이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에 대" +"한 관점에서 의견의 불일치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Stallman은 상용 소프트" +"웨어 라이선스에 대한 대안을 마련했고 이를 GPL, \"GNU Public License\"라고 이" +"름지었습니다. 그는 또한 Free " +"Software Foundation (FSF)라고 불리는 비영리 단체를 만들었는데, 이는 상" +"용 라이선스에 종속적이지 않으면서 관련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완전한 운영 체" +"제 개발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GNU is Not Unix\"라는 뜻의 GNU라고 " +"불렸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75 +msgid "" +"The GPL was designed to be the antithesis of the standard proprietary " +"license. To this end, any modifications that were made to a GPL program were " +"required to be given back to the GPL community (by requiring that the source " +"of the program be available to the user) and any program that used or linked " +"to GPL code was required to be under the GPL. The GPL was intended to keep " +"software from becoming proprietary. As the last paragraph of the GPL states:" +msgstr "" +"GPL은 표준적인 상용 라이선스의 정반대 역할을 하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이 관" +"점에서, GPL 프로그램에 어떤 수정이라도 가하면 (사용자에게 소스 코드를 제공하" +"도록 요구하는 방식으로) GPL 커뮤니티에 환원해야 하고 GPL 코드를 사용하거나 링" +"크한 프로그램은 모두 GPL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GPL은 소프트웨어가 상" +"용 제품이 되는 것을 막도록 의도하고 있습니다. GPL 본문의 마지막 문단은 다음" +"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84 +msgid "" +"This General Public License does not permit incorporating your " +"program into proprietary programs.[1]" +msgstr "" +"General Public License는 여러분의 프로그램을 상용 프로그램에 포함시키" +"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1]"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88 +msgid "" +"The GPL is a complex license so here are some rules of thumb when " +"using the GPL:" +msgstr "" +"GPL는 복잡한 라이선스이기 때문에 GPL을 사용하는 데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습" +"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94 +msgid "" +"you can charge as much as you want for distributing, supporting, or " +"documenting the software, but you cannot sell the software itself." +msgstr "" +"여러분은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고, 지원하고, 관련된 문서에 대해 필요한 요금을 원" +"하는 만큼 책정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그 자체를 판매할 수는 없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98 +msgid "" +"the rule-of-thumb states that if GPL source is required for a program to " +"compile, the program must be under the GPL. Linking statically to a GPL " +"library requires a program to be under the GPL." +msgstr "" +"프로그램을 컴파일하는 데 GPL 코드가 필요하다면, 그 프로그램은 GPL을 따라야 합" +"니다. GPL 라이브러리에 정적으로 링크된 프로그램도 GPL을 따라야 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03 +msgid "" +"the GPL requires that any patents associated with GPLed software must be " +"licensed for everyone's free use." +msgstr "" +"GPL은 GPL 소프트웨어 및 연관된 모든 개발품을 누구든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 +"록 라이선스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07 +msgid "" +"simply aggregating software together, as when multiple programs are put on " +"one disk, does not count as including GPLed programs in non-GPLed programs." +msgstr "" +"단순히 소프트웨어들을 한데 모아 놓는 것은, 예를 들어 여러 프로그램들이 하나" +"의 디스크에 저장되는 경우, GPL 프로그램을 비 GPL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것으" +"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12 +msgid "" +"output of a program does not count as a derivative work. This enables the " +"gcc compiler to be used in commercial environments without legal problems." +msgstr ""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는 파생 작업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이는 gcc 컴파일러를 " +"법적 문제 없이 상용 환경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16 +msgid "" +"since the Linux kernel is under the GPL, any code statically linked with the " +"Linux kernel must be GPLed. This requirement can be circumvented by " +"dynamically linking loadable kernel modules. This permits companies to " +"distribute binary drivers, but often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y will " +"only work for particular versions of the Linux kernel." +msgstr "" +"리눅스 커널이 GPL이기 때문에, 리눅스 커널에 정적으로 링크된 코드는 모두 GPL" +"을 따라야 합니다. 동적으로 링크되고 로드할 수 있는 커널 모듈을 통해 이 요구" +"사항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 이 허용은 회사로 하여금 바이너리 드라이버를 배포" +"할 수 있도록 해 주지만, 특정한 버전의 리눅스 커널에서만 동작하게 된다는 단점" +"도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24 +msgid "" +"Due in part to its complexity, in many parts of the world today the " +"legalities of the GPL are being ignored in regard to Linux and related " +"software. The long-term ramifications of this are unclear." +msgstr "" +"이 복잡성 때문에, 오늘날 리눅스 및 그와 연관된 소프트웨어에서는 GPL의 법적 효" +"력이 무시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장기적인 결과는 불분명합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232 +msgid "The origins of Linux and the LGPL" +msgstr "리눅스와 LGPL의 기원"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34 +msgid "" +"While the commercial Unix wars raged, the Linux kernel was developed as a PC " +"Unix clone. Linus Torvalds credits the existence of the GNU C compiler and " +"the associated GNU tools for the existence of Linux. He put the Linux kernel " +"under the GPL." +msgstr "" +"상용 유닉스 전쟁이 벌어지는 동안, 리눅스 커널은 PC 유닉스의 클론으로 개발되었" +"습니다. Linus Torvalds는 리눅스의 탄생에 대한 공로를 GNU C 컴파일러 및 그에 " +"연관된 GNU 도구들에 돌리고 있습니다. 그는 리눅스 커널을 GPL로 만들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39 +msgid "" +"Remember that the GPL requires anything that statically links to any code " +"under the GPL also be placed under the GPL. The source for this code must " +"thus be made available to the user of the program. Dynamic linking, however, " +"is not considered a violation of the GPL. Pressure to put proprietary " +"applications on Linux became overwhelming. Such applications often must link " +"with system libraries. This resulted in a modified version of the GPL called " +"the LGPL (\"Library\", since renamed to \"Lesser\", GPL). The LGPL " +"allows proprietary code to be linked to the GNU C library, glibc. You do not " +"have to release the source to code which has been dynamically linked to an " +"LGPLed library." +msgstr "" +"GPL은 GPL 코드에 정적으로 링크된 모든 코드 역시 GPL을 따르도록 요구하고 있다" +"는 사실을 기억해 주십시오. 즉 해당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가 사용자에게 제공되" +"어야 합니다. 그러나 동적 링크는 GPL 위반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리눅스에서 "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대" +"체로 시스템 라이브러리와 링크되어야 합니다. 이 결과로 LGPL " +"(\"Library\", 나중에 \"Lesser\"로 다시 명명된, GPL)라고 하는 GPL의 수정판이 " +"나타났습니다. LGPL은 상용 코드를 GNU C 라이브러리인 glibc와 링크하는 것을 허" +"용합니다. 여러분은 LGPL 라이브러리와 동적으로 링크된 코드를 공개해야 할 의무" +"는 없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52 +msgid "" +"If you statically link an application with glibc, such as is often required " +"in embedded systems, you cannot keep your application proprietary, that is, " +"the source must be released. Both the GPL and LGPL require any modifications " +"to the code directly under the license to be released." +msgstr "" +"만약 여러분이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흔히 요구되는 것처럼 프로그램과 glibc를 정" +"적으로 링크하고자 한다면, 해당 프로그램을 사유 재산으로 유지할 수는 없습니" +"다. 즉, 소스 코드는 반드시 공개되어야 합니다. GPL과 LGPL 모두 해당 코드를 " +"직접 수정한 것은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261 +msgid "Open Source licenses and the Orphaning Problem" +msgstr "오픈 소스 라이선스와 방치 문제"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63 +msgid "" +"One of the se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proprietary software is known as " +"orphaning. This occurs when a single business failure or " +"change in a product strategy causes a huge pyramid of dependent systems and " +"companies to fail for reasons beyond their control. Decades of experience " +"have shown that the momentary size or success of a software supplier is no " +"guarantee that their software will remain available, as current market " +"conditions and strategies can change rapidly." +msgstr "" +"사유 소프트웨어와 연관된 중요한 문제들 중 하나는 방치(orphaning)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하나의 이는 하나의 사업 실패" +"나 제품 전략 변경이 피라미드 형태로 이에 종속된 많은 시스템과 회사들을 그들" +"이 대처할 수 있는 범위 너머의 이유로 망하게 할 때 일어납니다. 수십 년에 걸" +"친 경험은 잠깐 성공한 소프트웨어 공급자가 그 소프트웨어를 언제까지나 사용 가" +"능하게 해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는 현재의 시장 조건" +"과 전략이 빠르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72 +msgid "" +"The GPL attempts to prevent orphaning by severing the link to proprietary " +"intellectual property." +msgstr "" +"GPL은 사유 지적 재산과의 링크를 막음으로써 방치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습니" +"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75 +msgid "" +"A BSD license gives a small company the equivalent of software-in-escrow " +"without any legal complications or costs. If a BSD-licensed program becomes " +"orphaned, a company can simply take over, in a proprietary manner, the " +"program on which they are dependent. An even better situation occurs when a " +"BSD code-base is maintained by a small informal consortium, since the " +"development process is not dependent on the survival of a single company or " +"product line. The survivability of the development team when they are " +"mentally in the zone is much more important than simple physical " +"availability of the source code." +msgstr "" +"BSD 라이선스는 중소기업에게 아무런 법적 의무 또는 비용 없이 소프트웨어를 맡" +"겨 놓는 것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만약 BSD 라이선스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단되" +"면, 회사는 그에 종속적인 프로그램을 단순히 사유 재산을 넘겨받듯 계속 사용할 " +"수 있습니다. 보다 나은 상황은 BSD 라이선스의 코드가 비공식 협회에 의해 유지되" +"는 것입니다. 이러면 개발 과정이 하나의 회사 또는 제품 라인의 생존에 종속적이" +"지 않게 됩니다. 개발 팀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단순히 소스 코드를 얻을 " +"수 있는가의 여부보다 훨씬 더 중요합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289 +msgid "What a license cannot do" +msgstr "라이선스가 할 수 없는 일"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91 +msgid "" +"No license can guarantee future software availability. Although a copyright " +"holder can traditionally change the terms of a copyright at anytime, the " +"presumption in the BSD community is that such an attempt simply causes the " +"source to fork." +msgstr "" +"어떠한 라이선스도 미래의 소프트웨어 사용 가능성을 보장해 주지는 않습니다. 저" +"작권자가 언제든지 저작권의 내용을 바꿀 수 있지만, BSD 커뮤니티에서 그러한 시" +"도가 있다면 단순히 소스 코드를 fork하게 됩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97 +msgid "" +"The GPL explicitly disallows revoking the license. It has occurred, however, " +"that a company (Mattel) purchased a GPL copyright (cphack), revoked the " +"entire copyright, went to court, and prevailed [2]. That is, they legally " +"revoked the entire distribution and all derivative works based on the " +"copyright. Whether this could happen with a larger and more dispersed " +"distribution is an open question; there is also some confusion regarding " +"whether the software was really under the GPL." +msgstr "" +"GPL은 라이선스를 무효로 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 +"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회사(Mattel)가 GPL 저작권을 인수(cphack)하고, 저작" +"권 전체를 무효화시킨 뒤, 법정에 가서, 승소한 경우[2]입니다. 즉, 그들은 합법" +"적으로 해당 배포본 전체와 모든 파생물에 대한 저작권을 무효화시켰습니다. 더 " +"크고 널리 퍼져 있는 배포폰에 대해서도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습" +"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소프트웨어가 진짜 GPL인지에 대한 혼란이 있기도 합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07 +msgid "" +"In another example, Red Hat purchased Cygnus, an engineering company that " +"had taken over development of the FSF compiler tools. Cygnus was able to do " +"so because they had developed a business model in which they sold support " +"for GNU software. This enabled them to employ some 50 engineers and drive " +"the direction of the programs by contributing the preponderance of " +"modifications. As Donald Rosenberg states \"projects using licenses like the " +"GPL...live under constant threat of having someone take over the project by " +"producing a better version of the code and doing it faster than the original " +"owners.\" [3]" +msgstr "" +"다른 예시로는, Red Hat이 FSF 컴파일러 또구들의 개발을 인수한 기술 회사인 " +"Cygnus를 인수한 경우가 있습니다. Cygnus는 그들이 GNU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 +"을 판매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했기 때문에 이렇게 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그들" +"로 하여금 50여 명의 엔지니어들을 고용하고 많은 수정을 할 수 있는 우세함을 통" +"해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원하는 대로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Donald " +"Rosenberg가 언급하기를 \"GPL과 같은 라이선스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들은 누군가 " +"더 나은 코드를 만들어 원 소유자에 비해 빠르게 일을 해나가는 방법을 프로젝트" +"를 손에 넣을지도 모른다는 지속적인 위협 속에서 살아간다.\" [3]"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321 +msgid "GP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msgstr "GPL의 장단점"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23 +msgid "" +"A common reason to use the GPL is when modifying or extending the gcc " +"compiler. This is particularly apt when working with one-off specialty CPUs " +"in environments where all software costs are likely to be considered " +"overhead, with minimal expectations that others will use the resulting " +"compiler." +msgstr "" +"GPL을 사용하는 흔한 이유 중 하나는 gcc 컴파일러를 수정하거나 확장할 때입니" +"다. 이것은 모든 소프트웨어의 비용이 비싼 데 비해 결과로 만들어진 컴파일러를 " +"다른 사람이 사용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CPU를 개발할 때 특히 적합합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29 +msgid "" +"The GPL is also attractive to small companies selling CDs in an environment " +"where \"buy-low, sell-high\" may still give the end-user a very inexpensive " +"product. It is also attractive to companies that expect to survive by " +"providing various forms of technical support, including documentation, for " +"the GPLed intellectual property world." +msgstr "" +"GPL은 CD를 판매하는 작은 회사들에게도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이윤을 충분히 남" +"기면서도 사용자에게 비싸지 않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GPL은 또한 GPL 지" +"적 재산에 대한 문서 등의 다양한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회사들에게도 매력적입니" +"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36 +msgid "" +"A less publicized and unintended use of the GPL is that it is very favorable " +"to large companies that want to undercut software companies. In other words, " +"the GPL is well suited for use as a marketing weapon, potentially reducing " +"overall economic benefit and contributing to monopolistic behavior." +msgstr "" +"GPL의 잘 알려지지 않고 의도적이지도 않은 사용은 대기업들이 소프트웨어 회사들" +"의 가치를 싸게 평가하는 데 좋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GPL은 잠재적으로 전체" +"의 경제적 이익을 저해하고 독과점에 기여하는 마케팅 무기에 적합합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42 +msgid "" +"The GPL can present a real problem for those wishing to commercialize and " +"profit from software. For example, the GPL adds to the difficulty a graduate " +"student will have in directly forming a company to commercialize his " +"research results, or the difficulty a student will have in joining a company " +"on the assumption that a promising research project will be commercialized." +msgstr "" +"GPL은 소프트웨어를 상업화하고 이윤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현실적인 문" +"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PL은 대학원생이 자신의 연구 결과를 상업화하" +"기 위해 회사를 차리는 것을 어렵게 하거나, 해당 학생이 연구 결과를 상업화해줄 " +"것으로 기대하는 회사에 입사하는 것을 어렵게 합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49 +msgid "" +"For those who must work with statically-linked implementations of multiple " +"software standards, the GPL is often a poor license, because it precludes " +"using proprietary implementations of the standards. The GPL thus minimizes " +"the number of programs that can be built using a GPLed standard. The GPL was " +"intended to not provide a mechanism to develop a standard on which one " +"engineers proprietary products. (This does not apply to Linux applications " +"because they do not statically link, rather they use a trap-based API.)" +msgstr "" +"여러 소프트웨어 표준들의 정적 링크 구현을 사용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GPL은 좋" +"지 못한 라이선스인데, 이는 상용으로 구현된 표준의 사용을 막기 때문입니다. 그" +"래서 GPL은 GPL 표준을 사용해야 빌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수를 최소화하고 있습" +"니다. GPL은 하나의 상용 제품이 표준이 되는 방식을 막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 +"습니다.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에는 적용되지 않는데, 이는 그것들이 정적 링크 대" +"신 trap-based API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59 +msgid "" +"The GPL attempts to make programmers contribute to an evolving suite of " +"programs, then to compete in the distribution and support of this suite. " +"This situation is unrealistic for many required core system standards, which " +"may be applied in widely varying environments which require commercial " +"customization or integration with legacy standards under existing (non-GPL) " +"licenses. Real-time systems are often statically linked, so the GPL and LGPL " +"are definitely considered potential problems by many embedded systems " +"companies." +msgstr "" +"GPL은 프로그래머들이 프로그램의 발전에 기여하고, 이들의 배포와 지원으로 경쟁" +"하도록 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은 필요한 많은 코어 시스템 표준에" +"는 현실적이지 않은데, 이는 이러한 시스템이 기존의 비 GPL 라이선스 표준으로 상" +"용화되거나 그러한 표준과 결합되는 환경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시간 " +"시스템들은 대개 정적으로 링크되기 때문에, 많은 임베디드 시스템 회사들에게 GPL" +"과 LGPL은 단연코 잠재적 문제점으로 여겨집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69 +msgid "" +"The GPL is an attempt to keep efforts, regardless of demand, at the research " +"and development stages. This maximizes the benefits to researchers and " +"developers, at an unknown cost to those who would benefit from wider " +"distribution." +msgstr "" +"GPL은 연구 및 개발 단계에서, 수요에 관계없이, 노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시도입니" +"다. 이는 더 널리 배포하는 데 알 수 없는 비용이 드는 연구자 및 개발자들에게 " +"최대한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74 +msgid "" +"The GPL was designed to keep research results from transitioning to " +"proprietary products. This step is often assumed to be the last step in the " +"traditional technology transfer pipeline and it is usually difficult enough " +"under the best of circumstances; the GPL was intended to make it impossible." +msgstr "" +"GPL은 연구 결과가 상용 제품으로 변모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이" +"는 고전적인 기술이 마침내 다다르게 되는 종착역과 같으며 이렇게 상용화되는 것" +"을 막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습니다; GPL은 그러한 과정을 봉쇄하도록 만들어졌습" +"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383 +msgid "BSD Advantages" +msgstr "BSD의 장점"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85 +msgid "" +"A BSD style license is a good choice for long duration research or other " +"projects that need a development environment that:" +msgstr "" +"BSD 형식의 라이선스는 장기간의 연구 또는 다음과 같은 개발 환경이 필요한 프로" +"젝트에 이상적입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91 +msgid "has near zero cost" +msgstr "거의 비용이 들지 않는 경우"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92 +msgid "will evolve over a long period of time" +msgstr "오랜 기간 동안 발전할 경우"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94 +msgid "" +"permits anyone to retain the option of commercializing final results with " +"minimal legal issues." +msgstr "누구나 법적 제약 없이 최종 결과물을 상용화하는 것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399 +msgid "" +"This final consideration may often be the dominant one, as it was when the " +"Apache project decided upon its license:" +msgstr "" +"마지막 조건은 가장 지배적인 조항인데, 이는 Apache 프로젝트가 그들의 라이선스" +"에 중점을 둔 사항이기도 합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402 +msgid "" +"This type of license is ideal for promoting the use of a reference " +"body of code that implements a protocol for common service. This is another " +"reason why we choose it for the Apache group - many of us wanted to see HTTP " +"survive and become a true multiparty standard, and would not have minded in " +"the slightest if Microsoft or Netscape choose to incorporate our HTTP engine " +"or any other component of our code into their products, if it helped further " +"the goal of keeping HTTP common... All this means that, strategically " +"speaking, the project needs to maintain sufficient momentum, and that " +"participants realize greater value by contributing their code to the " +"project, even code that would have had value if kept proprietary." +msgstr "" +"This type of license is ideal for promoting the use of a reference " +"body of code that implements a protocol for common service. This is another " +"reason why we choose it for the Apache group - many of us wanted to see HTTP " +"survive and become a true multiparty standard, and would not have minded in " +"the slightest if Microsoft or Netscape choose to incorporate our HTTP engine " +"or any other component of our code into their products, if it helped further " +"the goal of keeping HTTP common... All this means that, strategically " +"speaking, the project needs to maintain sufficient momentum, and that " +"participants realize greater value by contributing their code to the " +"project, even code that would have had value if kept proprietary."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415 +msgid "" +"Developers tend to find the BSD license attractive as it keeps legal issues " +"out of the way and lets them do whatever they want with the code. In " +"contrast, those who expect primarily to use a system rather than program it, " +"or expect others to evolve the code, or who do not expect to make a living " +"from their work associated with the system (such as government employees), " +"find the GPL attractive, because it forces code developed by others to be " +"given to them and keeps their employer from retaining copyright and thus " +"potentially \"burying\" or orphaning the software. If you want to force your " +"competitors to help you, the GPL is attractive." +msgstr "" +"개발자들은 BSD 라이선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그들이 코드를 다룸에 " +"있어 법적 분쟁으로부터 벗어나 그들이 하고 싶은 대로 하도록 허락하기 때문입니" +"다. 반면, 시스템을 개발하기보다 주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들, 혹은 다" +"른 사람들이 코드를 개선해 주기를 기대하는 사람들, 혹은 (국가 공무원과 같이) " +"시스템 작업으로 생계를 유지하지는 않는 사람들의 경우 GPL을 선호하는데, 이는 " +"다른 사람이 개발한 코드를 자신이 사용할 수 있고 그들의 상관이 저작권을 가지" +"고 있는 일을 막을 수도 있으며 결과적으로 잠재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무용지물" +"\"로 만들거나 방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경쟁자로 " +"하여금 여러분을 돕도록 강제하고 싶다면, GPL은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427 +msgid "" +"A BSD license is not simply a gift. The question why should we help " +"our competitors or let them steal our work? comes up often in " +"relation to a BSD license. Under a BSD license, if one company came to " +"dominate a product niche that others considered strategic, the other " +"companies can, with minimal effort, form a mini-consortium aimed at " +"reestablishing parity by contributing to a competitive BSD variant that " +"increases market competition and fairness. This permits each company to " +"believe that it will be able to profit from some advantage it can provide, " +"while also contributing to economic flexibility and efficiency. The more " +"rapidly and easily the cooperating members can do this, the more successful " +"they will be. A BSD license is essentially a minimally complicated license " +"that enables such behavior." +msgstr "" +"BSD 라이선스는 단순한 선물인 것은 아닙니다. 왜 우리는 우리의 경쟁자" +"를 돕거나 그들이 우리가 만든 결과물을 훔쳐 가도록 내버려 두어야 하나요?라는 질문은 BSD 라이선스에 관련된 질문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BSD 라" +"이선스 하에서, 만약 어떤 회사가 제품 시장을 독점하고 다른 이들이 이를 전략적" +"이었다고 여길 경우, 다른 회사들은 최소한의 노력만으로 시장 경쟁과 공정성을 증" +"대시킬 경쟁 BSD 파생본에 기여하는 작은 협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각 회사" +"들로 하여금 이것이 제공하는 이점으로부터 이윤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을 주고, 경제적 유연성과 효율성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회원들이 더 빠르고 " +"쉽게 이에 협력할수록, 더욱 성공적일 것입니다. BSD 라이선스는 그러한 행동을 " +"가능하게 해 주면서도 가장 덜 복잡한 라이선스입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442 +msgid "" +"A key effect of the GPL, making a complete and competitive Open Source " +"system widely available at cost of media, is a reasonable goal. A BSD style " +"license, in conjunction with ad-hoc-consortiums of individuals, can achieve " +"this goal without destroying the economic assumptions built around the " +"deployment-end of the technology transfer pipeline." +msgstr "" +"완전하고 경쟁력 있는 오픈 소스 시스템을 단지 저장 매체의 가격만으로 널리 쓸 " +"수 있게 한다는 GPL의 핵심적인 효과는 합리적인 목표입니다. BSD 형식의 라이선" +"스는, 협회 창설을 통한 개인의 연합을 통해, 기술 개발 과정에 대한 경제적 기대" +"를 저버리지 않고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452 +msgid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using a BSD license" +msgstr "BSD 라이선스를 사용하면 좋은 경우"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56 +msgid "" +"The BSD license is preferable for transferring research results in a way " +"that will widely be deployed and most benefit an economy. As such, research " +"funding agencies, such as the NSF, ONR and DARPA, should encourage in the " +"earliest phases of funded research projects, the adoption of BSD style " +"licenses for software, data, results, and open hardware. They should also " +"encourage formation of standards based around implemented Open Source " +"systems and ongoing Open Source projects." +msgstr "" +"BSD 라이선스는 연구 결과를 널리 배포하고 경제적 이윤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 +"데 적합합니다. 그것으로서, NSF, ONR 그리고 DARPA와 같은 연구 개발 기관은 자" +"금을 투자받은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 연구를 위해 소프트웨어, 데이터, 결과, 그리" +"고 오픈 하드웨어에 BSD 형식의 라이선스를 적용할 것을 장려해야 합니다. 그들" +"은 또한 오픈 소스 시스템 구현과 진행중인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표준" +"을 정할 것을 장려해야 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66 +msgid "" +"Government policy should minimize the costs and difficulties in moving from " +"research to deployment. When possible, grants should require results to be " +"available under a commercialization friendly BSD style license." +msgstr "" +"정부 정책은 비용과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할 때의 어려움을 최소화해야 합니" +"다. 가능하다면, 연구 결과를 상용화에 친화적인 BSD 형식의 라이선스로 사용 가" +"능하게 할 것을 요구해야 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71 +msgid "" +"In many cases, the long-term results of a BSD style license more accurately " +"reflect the goals proclaimed in the research charter of universities then " +"what occurs when results are copyrighted or patented and subject to " +"proprietary university licensing. Anecdotal evidence exists that " +"universities are financially better rewarded in the long run by releasing " +"research results and then appealing to donations from commercially " +"successful alumni." +msgstr "" +"많은 경우에, 저작권 또는 특허에 의해 상용 대학 라이선스에 종속되는 것보다 " +"BSD 형식 라이선스의 형식을 취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대학의 연구 목표" +"에 더 근접합니다. 대학 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연구 결과를 공개하" +"고, 경제적으로 성공한 졸업생들에 의해 기부받는 것이 금전적으로 더 이득이 되" +"는 실제적인 사례들이 존재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80 +msgid "" +"Companies have long recognized that the creation of de facto standards is a " +"key marketing technique. The BSD license serves this role well, if a company " +"really has a unique advantage in evolving the system. The license is legally " +"attractive to the widest audience while the company's expertise ensures " +"their control. There are times when the GPL may be the appropriate vehicle " +"for an attempt to create such a standard, especially when attempting to " +"undermine or co-opt others. The GPL, however, penalizes the evolution of " +"that standard, because it promotes a suite rather than a commercially " +"applicable standard. Use of such a suite constantly raises commercialization " +"and legal issues. It may not be possible to mix standards when some are " +"under the GPL and others are not. A true technical standard should not " +"mandate exclusion of other standards for non-technical reasons." +msgstr "" +"회사들은 사실상의 표준을 만드는 것이 마케팅 기술의 핵심이 된다는 것을 오랜 경" +"험에 걸쳐 알아왔습니다. 만약 회사가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데 독특한 강점이 있" +"다면, BSD 라이선스는 이 역할을 잘 수행합니다. 라이선스는 회사의 전문 기술 덕" +"분에 그들이 통제할 수 있으면서도 많은 사람들에게 법적인 관점에서 매력적입니" +"다. 다른 사람들을 방해하거나 그들의 것을 빼앗고자 할 목적으로 그러한 표준을 " +"만드는 경우 GPL은 적절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GPL은 상용으로 적용 " +"가능한 표준을 지향하지 않고 방해합니다. 그러한 GPL suite를 사용하는 것은 지" +"속적으로 상용화와 법률 상의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GPL 표준과 그렇지 않은 것" +"을 함께 활용하는 것은 대개 가능하지 않습니다. 진정한 기술 표준은 기술적이지 " +"않은 이유 때문에 다른 표준을 배제할 것을 강제해서는 안 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96 +msgid "" +"Companies interested in promoting an evolving standard, which can become the " +"core of other companies' commercial products, should be wary of the GPL. " +"Regardless of the license used, the resulting software will usually devolve " +"to whoever actually makes the majority of the engineering changes and most " +"understands the state of the system. The GPL simply adds additional legal " +"friction to the result." +msgstr "" +"다른 회사들의 상용 제품의 핵심이 될 수 있는 표준을 개발하고 장려하는 데 관심" +"이 있는 회사는 GPL에 대해 조심해야 합니다. 사용된 라이선스에 관계없이, 결과" +"가 되는 소프트웨어는 기술적인 변화의 대부분과 시스템의 상태를 가장 잘 아는 사" +"람들에게 맡겨질 것입니다. GPL은 단지 결과에 추가적인 법적 제약을 가할 뿐입니" +"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504 +msgid "" +"Large companies, in which Open Source code is developed, should be aware " +"that programmers appreciate Open Source because it leaves the software " +"available to the employee when they change employers. Some companies " +"encourage this behavior as an employment perk, especially when the software " +"involved is not directly strategic. It is, in effect, a front-loaded " +"retirement benefit with potential lost opportunity costs but no direct " +"costs. Encouraging employees to work for peer acclaim outside the company is " +"a cheap portable benefit a company can sometimes provide with near zero " +"downside." +msgstr "" +"오픈 소스 코드를 개발하는 큰 회사는 오픈 소스를 옹호하는 프로그래머를 조심해" +"야 하는데, 이는 그들이 다른 곳으로 이직할 경우에도 여전히 그 소프트웨어를 사" +"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 회사들은, 특히 해당 소프트웨어가 핵심 전략에 "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을 때, 이러한 행동을 직원들의 특권으로써 장려합니" +"다. 이는 사실 직접적인 비용 손실 없이 잠재적인 기회 비용만을 잃는 퇴직 혜택" +"입니다. 직원을 회사 외부를 위해 일하도록 장려하는 것은 종종 회사가 손해 없" +"이 제공할 수 있는 간단한 혜택이 되기도 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515 +msgid "" +"Small companies with software projects vulnerable to orphaning should " +"attempt to use the BSD license when possible. Companies of all sizes should " +"consider forming such Open Source projects when it is to their mutual " +"advantage to maintain the minimal legal and organization overheads " +"associated with a true BSD-style Open Source project." +msgstr "" +"소프트웨어가 방치될 것이 걱정되는 작은 개발 회사는, 가능하다면 BSD 라이선스" +"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회사들은 그 규모에 관계없이 BSD " +"형식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구성함으로써 법적인, 그리고 구조적인 간접 비용을 최" +"소화하는 상호간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522 +msgid "" +"Non-profits should participate in Open Source projects when possible. To " +"minimize software engineering problems, such as mixing code under different " +"licenses, BSD-style licenses should be encouraged. Being leery of the GPL " +"should particularly be the case with non-profits that interact with the " +"developing world. In some locales where application of law becomes a costly " +"exercise, the simplicity of the new BSD license, as compared to the GPL, may " +"be of considerable advantage." +msgstr "" +"비영리단체들은 가능하다면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합니다. 서로 다른 라" +"이선스의 코드를 함께 사용하는 것과 같은 소프트웨어상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 +"해, BSD 형식의 라이선스가 장려되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비영리단체는 GPL을 더욱 경계해야 할 것입니다. 법률을 적용하는 일이 많" +"은 비용을 요구하는 일부 지역에서는, GPL에 비해 단순한 BSD 라이선스가 고려해" +"볼 만한 이점이 될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537 +msgid "Conclusion" +msgstr "맺음말"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539 +msgid "" +"In contrast to the GPL, which is designed to prevent the proprietary " +"commercialization of Open Source code, the BSD license places minimal " +"restrictions on future behavior. This allows BSD code to remain Open Source " +"or become integrated into commercial solutions, as a project's or company's " +"needs change. In other words, the BSD license does not become a legal time-" +"bomb at any point in the development process." +msgstr "" +"오픈 소스 코드의 상용화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GPL과는 달리, BSD 라이선스는 미" +"래의 행동에 최소한의 제약만을 가합니다. 이는 프로젝트나 회사의 필요에 따라 " +"BSD 코드를 오픈 소스로 유지하거나 상용 솔루션에 사용될 수 있도록 허락합니" +"다. 다시 말해서, BSD 라이선스는 개발 과정에서 법적인 시한 폭탄이 되지 않습니" +"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547 +msgid "" +"In addition, since the BSD license does not come with the legal complexity " +"of the GPL or LGPL licenses, it allows developers and companies to spend " +"their time creating and promoting good code rather than worrying if that " +"code violates licensing." +msgstr "" +"더불어 BSD 라이선스는, GPL이나 LGPL 라이선스와는 달리 복잡한 법적 의무가 주어" +"지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와 회사가 라이선스 위반 여부에 대해 걱정하는 대신 좋" +"은 코드를 작성하고 홍보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555 +msgid "Addenda" +msgstr "추가 정보" + +#. (itstool) path: sect1/programlisting +#: article.translate.xml:557 +#, no-wrap +msgid "" +"\n" +"[1] http://www.gnu.org/licenses/gpl.html\n" +"\n" +"[2] http://archives.cnn.com/2000/TECH/computing/03/28/cyberpatrol.mirrors/\n" +"\n" +"[3] Open Source: the Unauthorized White Papers, Donald K. Rosenberg, IDG Books,\n" +" 2000. Quotes are from page 114, ``Effects of the GNU GPL''.\n" +"\n" +"[4] In the \"What License to Use?\" section of\n" +" http://www.oreilly.com/catalog/opensources/book/brian.html\n" +"\n" +"This whitepaper is a condensation of an original work available at\n" +"http://alumni.cse.ucsc.edu/~brucem/open_source_license.htm\n" +"\n" +msgstr "" +"\n" +"[1] http://www.gnu.org/licenses/gpl.html\n" +"\n" +"[2] http://archives.cnn.com/2000/TECH/computing/03/28/cyberpatrol.mirrors/\n" +"\n" +"[3] Open Source: the Unauthorized White Papers, Donald K. Rosenberg, IDG Books,\n" +" 2000. Quotes are from page 114, ``Effects of the GNU GPL''.\n" +"\n" +"[4] In the \"What License to Use?\" section of\n" +" http://www.oreilly.com/catalog/opensources/book/brian.html\n" +"\n" +"This whitepaper is a condensation of an original work available at\n" +"http://alumni.cse.ucsc.edu/~brucem/open_source_license.htm\n" +"\n" diff --git a/ko_KR.UTF-8/articles/contributing/Makefile b/ko_KR.UTF-8/articles/contributing/Makefile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c2dac0132e --- /dev/null +++ b/ko_KR.UTF-8/articles/contributing/Makefile @@ -0,0 +1,20 @@ +# The FreeBSD Korean Documentation Project +# +# $FreeBSD$ +# +# Article: Contributing to FreeBSD + +DOC?= article + +FORMATS?= html +WITH_ARTICLE_TOC?= YES + +INSTALL_COMPRESSED?=gz +INSTALL_ONLY_COMPRESSED?= + +SRCS= article.xml + +URL_RELPREFIX?= ../../../.. +DOC_PREFIX?= ${.CURDIR}/../../.. + +.include "${DOC_PREFIX}/share/mk/doc.project.mk" diff --git a/ko_KR.UTF-8/articles/contributing/article.xml b/ko_KR.UTF-8/articles/contributing/article.xml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b8a4f0541c --- /dev/null +++ b/ko_KR.UTF-8/articles/contributing/article.xml @@ -0,0 +1,660 @@ + + +
+ FreeBSD에 기여하기 + + + + 이 글은 개인이나 단체가 FreeBSD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 + + + JordanHubbard + SamLawrance + MarkLinimon + + + + FreeBSD는 FreeBSD 재단의 등록 상표입니다. + IEEE, POSIX, 그리고 802는 미국에서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nc.의 등록 상표입니다. + 생산자 및 판매자들이 그들의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많은 표기들은 상표권으로 보호받습니다. 이 문서에 그런 표기들이 나타날 때, FreeBSD 프로젝트는 그러한 상표권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표기 뒤에 또는 ® 기호를 사용합니다. + + + $FreeBSD$ + + $FreeBSD$ + + + contributing + + 그러니까 FreeBSD에 기여하고 싶으시다는 말씀이군요? 훌륭합니다! FreeBSD는 살아남기 위해 그 사용자들의 기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기여는 단순히 고맙게 받아들여질 뿐만 아니라, FreeBSD의 지속적인 성장에 필수적이기도 합니다. + + FreeBSD는 다양한 연령층과 기술적 전문 지식을 가진 전 세계의 기여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데, 기여자들의 규모는 크고 또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거리는 이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보다 항상 더 많이 존재하고, 더 많은 도움은 언제나 감사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 + 자원봉사자로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하고 싶은 일에만 참여하면 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여러분이 FreeBSD 커뮤니티의 다른 멤버들이 여러분에게 어떤 일을 할 것을 원하고 있는지 미리 알아볼 것을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은 봉사에 참여하기로 마음먹기 전에 이에 대해 고려해 보고 싶으실 수도 있겠군요. + + FreeBSD 프로젝트는 단순히 커널 또는 몇몇의 유틸리티들만이 아니라, 운영체제 환경 전체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TODO 목록은 다양한 분야의 일거리들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문서화 작업, 베타 테스트와 프리젠테이션에서부터 시스템 인스톨러 그리고 아주 특화된 종류의 커널 개발에 이르기까지 등등. 어떤 분야에 어떤 수준의 기술을 가지고 있더라도, 거의 확실하게 프로젝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 + FreeBSD에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들도 우리에게 연락할 것이 권장됩니다. 여러분의 제품이 동작하게 할 특별한 확장이 필요한가요? 너무 특이하지만 않다면, 우리는 여러분의 요청을 받아들일 것입니다. 부가 가치 제품으로 작업하고 있나요? 우리에게 알려 주세요! 우리는 부분적으로 협력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자유 소프트웨어 세계는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개발되고, 판매되고, 또 유지되는지에 대한 기존의 많은 전제들에 도전하고 있고, 우리는 최소한 여러분에게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 + + 어떤 도움이 필요한가요? + + 아래에 제시된 작업 및 보조 프로젝트들의 목록은 여러 TODO 항목들과 사용자 요청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 + 비-프로그래머를 위한 진행 작업들 + + FreeBSD에 관여하는 사람들 중에는 프로그래머가 아닌 사람들도 많습니다. 프로젝트에는 문서 작성자, 웹 디자이너, 기타 도움을 주는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이 기여하는 데에는 시간 투자와 배우려는 의지만 있으면 됩니다. + + + + FAQ와 Handbook을 주기적으로 읽어 보세요. 만약 무언가가 어색하게 설명되어 있거나, 너무 오래 되었거나 심지어 완전히 잘못되어 있다면, 우리에게 알려 주세요. 직접 고친 내용을 보내 주신다면 더욱 좋습니다(DocBook은 배우기 어렵지 않습니다만, 그냥 ASCII 형식으로 보내 주셔도 괜찮습니다). + + + + FreeBSD 문서를 여러분의 모국어로 번역하는 것을 도와 주세요. 만약 문서가 이미 여러분의 언어로 존재한다면, 다른 문서를 추가적으로 번역하거나 번역본이 최신 상태인지를 점검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먼저 FreeBSD Documentation Project Primer의 Translation FAQ를 살펴 보세요. 여러분은 모든 FreeBSD 문서를 다 번역하는 데 헌신할 필요는 없습니다 — 자원봉사자로서, 여러분은 원하는 만큼 많은 또는 적은 양을 번역할 수 있습니다. 한번 누군가가 번역을 시작하면, 다른 사람들은 거의 항상 그 노력에 동참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문서의 일부만을 번역할 시간 또는 노력밖에 없다면, 설치 과정 부분을 번역해 주세요. + + + + FreeBSD general questions mailing list를 종종 (또는 심지어 정기적으로) 읽어 주세요. 여러분의 전문 지식을 나누고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 주는 일은 대단히 만족스러울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심지어 종종 스스로 새로운 것을 배울 수도 있습니다! 이 포럼들은 할 일들의 아이디어의 원천이 되기도 합니다. + + + + + + 프로그래머를 위한 진행 작업들 + + 여기에 수록된 일들 대다수는 상당한 시간 투자 또는 FreeBSD 커널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 심지어 둘 다를 요구합니다. 그러나, 심심풀이 해커들을 위한 유용한 작업들도 많이 있습니다. + + + + 만약 여러분이 FreeBSD-CURRENT를 돌리고 있고 인터넷 연결이 괜찮다면, 하루에 한 번씩 전체 릴리즈를 빌드하는 current.FreeBSD.org이 있습니다—종종 최신 릴리즈를 설치해 보고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제보해 주세요. + + + + FreeBSD problem reports mailing list를 읽어 보세요. 여러분이 조언을 해줄 수 있거나 패치를 테스트해볼 수 있는 문제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는 심지어 그것들 중 하나를 스스로 고쳐볼 수도 있겠지요. + + + + 만약 여러분이 -CURRENT에서는 고쳐졌지만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대체로 약 2주 정도)에도 -STABLE에 반영되지 않은 버그를 알고 있다면, 커미터에게 예의 바른 알림을 보내 주세요. + + + + contributed software를 소스 트리의 src/contrib으로 옮겨 주세요. + + + + src/contrib의 소스 코드를 최신 상태로 유지시켜 주세요. + + + + 추가적 경고 표시를 활성화한 뒤 소스 트리 (또는 그 일부) 빌드를 해 보고 경고가 나타나는 내용을 수정해 주세요. + + + + gets()을 사용하거나 malloc.h을 include하는 등 deprecate된 방법을 사용하는 포트가 있으면 경고를 수정해 주세요. + + + + 여러분이 FreeBSD에 맞도록 패치한 ports에 기여했다면, 그 패치를 원 저자에게 보내 주세요 (이렇게 하면 그들이 다음 버전을 출시할 때 여러분이 할 일이 훨씬 간편해질 것입니다). + + + + POSIX와 같은 공식 표준들을 살펴 보세요. 그리고 FreeBSD가 그러한 표준이 요구하는 조건에 충족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특히 표준의 사소하거나 불분명한 부분에서의 경우에, 그에 대한 PR을 보내 주세요. 가능하다면, 어떻게 고치는지를 찾아서 PR에 패치를 포함시켜 주세요. 만약 표준이 잘못되었다고 생각된다면, 해당 표준을 관리하는 단체에 문의해 보세요. + + + + 이 목록에 추가할 다른 일들을 제안해 주세요! + + + + + + PR 데이터베이스로 할 것들 + + problem reports database + + FreeBSD PR list는 FreeBSD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모든 문제점 보고와 개선 사항 요청을 담고 있습니다. PR 데이터베이스는 프로그래머 작업과 비-프로그래머 작업을 모두 포함합니다. PR들을 살펴보고, 흥미로운 것이 있는지 살펴 보세요. 이들 중 일부는 매우 간단해서 누군가 살펴보고 PR에 포함된 수정 사항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다른 것들은 더 복잡하거나, 심지어는 수정 사항이 아예 포함되지 않아 있을 수도 있습니다. + + 다른 누군가가 맡고 있지 않은 PR부터 시작하세요. 만약 다른 누군가가 PR을 맡고 있는데 여러분이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면, 맡고 있는 사람에게 이메일을 보내서 여러분이 작업해도 좋은지 요청해 보세요—그들은 이미 테스트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 패치를 가지고 있거나, 여러분과 의논할 만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 + + + 진행중인 포트 작업들 + + 포트 컬렉션은 끝없이 진행되고 있는 작업입니다. 우리는 사용자들에게 사용하기 쉽고, 최신 상태로 유지되며, 높은 품질의 제3자 소프트웨어 저장소를 제공하고 싶어합니다. 우리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약간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도와줄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 +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참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포트에 기여하는 것은 프로젝트에 무언가를 되돌려 주는 것을 돕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여러분이 책임감 있는 역할을 찾고 있든지, 아니면 비 오는 날 할 만한 재미난 일거리를 찾고 있든지 간에, 우리는 여러분이 도와 준다면 무척이나 기쁠 것입니다! + + 포트 트리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잘 동작할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여러 쉬운 방법들이 있습니다: + + + + 멋지거나 유용한 소프트웨어를 찾아 포트를 만들어 주세요. + + + + 관리자가 없는 포트들이 많이 있습니다. 관리자가 되어 포트를 관리해 주세요. + + + + 만약 여러분이 포트를 만들었거나 관리하기로 마음먹었다면, 관리자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 보세요. + + + + 좀더 빠르게 끝낼 수 있는 일을 찾고 있다면 버그 또는 작동하지 않는 포트를 수정해 주세요. + + + + + + Ideas 페이지에 있는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 FreeBSD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자원봉사자를 위한 FreeBSD 계획과 아이디어 목록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목록은 정기적으로 갱신되며 프로그래머 작업과 비-프로그래머 작업에 대한 항목들이 설명과 함께 제시되어 있습니다. + + + + + 어떻게 기여할 수 있나요 + + 시스템에 기여하는 방법은 대개 다음의 5가지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에 해당됩니다: + + + 버그 보고와 일반적 조언 + + 일반적인 기술적 관심사에 대한 아이디어나 제안은 FreeBSD technical discussions mailing list에 메일을 보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내용에 관심이 있는 (그리고 수많은 메일들을 견뎌낼 인내심이 있는) 사람들은 FreeBSD technical discussions mailing list를 구독하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다른 메일링 리스트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The FreeBSD Handbook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만일 여러분이 버그를 찾아냈거나 특별한 수정을 제출하고자 한다면, bug submission form을 이용해 주세요. bug report의 각 항목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해 주세요. 패치의 크기가 65KB를 넘지 않는다면, report에 직접 패치를 첨부해 주세요. 패치가 소스 트리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다면 report의 synopsys 부분에 [PATCH]를 적어 주세요. 패치를 첨부할 때, 복사-붙여넣기를 이용하면 탭이 공백(space)으로 바뀌어 적용이 불가능해기지 때문에 복사-붙여넣기 방식으로 첨부하면 안 됩니다. 패치가 20KB보다 훨씬 크다면, 업로드하기 전에 (gzip1이나 bzip21 등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 + report를 제출한 이후에, 여러분은 tracking number가 있는 확인 메일을 받을 겁니다. 이 문제에 대한 상세한 사항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tracking number를 보관해 두세요. + + 좋은 problem report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이 article을 참고하세요. + + + + 문서 수정하기 + + documentation submissions + + 문서의 편집은 FreeBSD documentation project mailing list에 의해 관리됩니다. 전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FreeBSD Documentation Project Primer를 참고해 주세요. 다른 버그 리포트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제출 및 편집(사소한 것이라도 환영합니다!) 내용을 보내 주세요. + + + + 기존 소스 코드 수정하기 + + FreeBSD-CURRENT + + 기존의 소스 코드에 무언가를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것은 까다로운 작업이며 여러분이 FreeBSD 개발의 최신 상태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시스템에 대해 활동적으로 작업하는 개발자들의 여러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FreeBSD-CURRENT라는 특별한 on-going 릴리즈가 있습니다. FreeBSD-CURRENT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는 The FreeBSD Handbook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오래된 소스로 작업하는 것은 불행히도 여러분의 수정이 종종 이미 필요없게 되거나 FreeBSD에 적용되기에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스템의 최신 상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FreeBSD announcements mailing list와 FreeBSD-CURRENT mailing list 리스트를 구독하면, 이러한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 Assuming that you can manage to secure fairly up-to-date sources to base your changes on, the next step is to produce a set of diffs to send to the FreeBSD maintainers. 이는 diff1 명령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집니다. + + 패치를 제출하는 데 선호되는 diff1 형식은 diff -u에 의해 생성되, 하나로 통합된 출력입니다. + + diff + + % diff -u oldfile newfile + + 또는 + + % diff -u -r -N olddir newdir + + 는 주어진 소스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대해 하나로 통합된 diff를 생성할 것입니다. + + diff1에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 + 여러분이 diff 파일을 만들었다면 (그리고 patch1 명령어로 확인했다면), FreeBSD에 반영하기 위해 버그 리포트의 형식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diff를 그냥 FreeBSD technical discussions mailing list에 보내지 마세요! 그것들은 잊혀질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여러분의 제출을 무척이나 감사히 여기고 있습니다만 (이것은 자원봉사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우리는 바쁘기 때문에, 때때로 바로 작업에 착수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할 때까지 PR 데이터베이스에 남아 있을 것입니다. 제출할 때 리포트의 synopsis에 [PATCH]을 포함시켜서 패치라는 것을 알려 주세요. + +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새 파일을 추가했거나, 기존의 파일을 삭제했거나, 파일의 이름을 바꾼 경우), 그 바꾼 내용을 tar 파일로 첨부해 주세요. shar1으로 생성된 아카이브도 괜찮습니다. + + 만약 여러분의 수정이 잠재적으로 민감할 수 있는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면, 예를 들어 배포와 관련된 라이선스 문제에 대해 확신이 없는 경우라면, 버그 리포트로 제출하는 대신 코어 팀 core@FreeBSD.org에 직접 보내 주세요. 코어 팀 core@FreeBSD.org은 FreeBSD에 대해 관한 많은 일을 매일 하는 사람들의 작은 모임입니다. 이들은 매우 바쁘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메일을 보내 주세요. + + 코딩 스타일에 대해서는 intro9style9를 참조해 주세요. 여러분이 코드를 제출하기 전에 이 정보에 대해 최소한 알고 있었다면 우리는 감사할 것입니다. + + + + 새로운 코드 또는 주요한 부가가치 패키지들 + + 큰 규모의 작업에서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경우에, 혹은 FreeBSD에 새롭고 중요한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에, 수정한 내용을 다른 사람이 액세스할 수 있도록 tar 파일 형식으로 보내거나 웹/FTP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것은 거의 언제나 필요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액세스할 수 있는 웹 또는 FTP 사이트가 없다면, 적절한 FreeBSD 메일링 리스트에 여러분의 수정사항을 호스팅해줄 것을 요청하세요. + + 많은 양의 코드에 대해 작업할 때, 저작권에 대한 민감한 주제 역시 언제나 나타납니다. FreeBSD는 BSD 또는 ISC 형식의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선호합니다. GPLv2와 같은 카피레프트 라이센스 역시 종종 허용됩니다. 전체적인 목록은 코어 팀 라이선스 정책 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 + 금전 또는 하드웨어 + + 우리는 FreeBSD 프로젝트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부를 받는 것을 매우 기쁘게 여기고 있으며, 우리와 같이 자원봉사 노력을 할 때에, 약간의 기부도 많은 일을 해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장비를 직접 구입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지원 가능한 장비를 확대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기부받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 + + 재단에 기부하기 + + FreeBSD 재단은 FreeBSD 프로젝트의 목표를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비과세의 단체입니다. 501(c)3의 회원으로서, FreeBSD 재단은 Colorado 주 소득세뿐만 아니라 미국 연방 소득세도 면제받습니다. 비과세 단체에 기부하는 것은 종종 과세 대상인 연방 소득으로부터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 기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주소로 수표를 보내 주시면 됩니다:
+ The FreeBSD Foundation + P.O. Box 20247, + Boulder, + CO 80308 + USA +
+ + FreeBSD 재단은 이제 Paypal을 통한 온라인 기부도 받고 있습니다. 기부하기 위해서는, 재단 웹 사이트를 방문해 주세요. + + FreeBSD 재단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The FreeBSD Foundation -- an Introduction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메일로 재단에 연락하려면, bod@FreeBSDFoundation.org을 이용하세요. +
+ + + 하드웨어 기부하기 + + donations + + FreeBSD 프로젝트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의 기부를 기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하드웨어 기부에 관심이 있다면, Donations Liaison Office에 연락해 주세요. + +
+
+ + + 포트에 기여하기 + + + 관리되지 않는 포트를 책임지기 + + + 관리되지 않는 포트 선택하기 + + 관리되지 않는 포트를 책임지는 것은 참여하기에 좋은 방법입니다. 관리되지 않는 포트는 누군가가 자원봉사로 작업할 때에만 업데이트되고 고쳐집니다. 관리되지 않는 포트는 많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포트를 책임지는 것부터 시작해 보면 좋을 것입니다. + + 관리되지 않는 포트는 그 MAINTAINERports@FreeBSD.org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관리되지 않는 포트와 그것들의 현재 문제점 및 problem reports에 대한 목록은 Ports Monitoring System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어떤 포트는 그 의존성 관계 때문에 다른 많은 포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사람들이 그러한 포트를 관리하기 전에 약간의 경험을 해볼 것을 원합니다. + + INDEX라고 이름붙여진 포트의 마스터 인덱스를 살펴보면 포트의 의존성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파일의 이름은 FreeBSD의 릴리즈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NDEX-8.) 일부 포트는 기본 INDEX 빌드에는 포함되지 않는 부가적인 의존성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이 다른 포트의 Makefile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포트를 찾아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 + + 포트를 책임지는 방법 + + 우선 관리자로서의 책임에 대해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또 Porter's Handbook을 읽어 보세요. 여러분이 편안하게 다룰 수 있을 범위를 넘어서서 무리할 필요는 없습니다. + + 여러분은 원한다면 관리되지 않는 포트의 관리 권한을 언제든지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냥 MAINTAINER을 여러분의 이메일 주소로 설정하고 해당 내용을 PR(Problem Report)로 보내 주세요. 포트에 빌드 에러가 있거나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면, 같은 PR에 그러한 수정 내용을 포함해도 좋습니다. 많은 커미터들은 FreeBSD에 남긴 흔적이 없는 누군가에게 관리 권한을 부여하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도움이 되는 행동일 것입니다. 빌드 오류를 고치거나 포트를 업데이트하는 PR을 제출하는 것은 이러한 흔적을 남기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 여러분의 PR을 ports 카테고리와 change-request 클래스로 설정한 뒤 제출해 주세요. 커미터가 여러분의 PR을 검토하고, 수정 사항을 커밋하고, 마침내 PR을 종료시킬 것입니다. 이 과정은 종종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커미터들 역시 자원봉사자들입니다 :). + + + + + 포트 관리자를 위한 도전 과제 + + 이 항목은 포트가 관리되어야 하는 이유 및 포트 관리자의 책임에 대해 설명해줄 것입니다. + + + 포트의 관리가 필요한 이유 + + 포트를 만드는 일은 일회성 작업입니다. 포트가 최신 상태인지, 그리고 빌드 및 실행이 문제없이 되는지를 확인하는 일은 지속적인 관리 노력이 필요합니다. 관리자는 그들의 시간 중 일부를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투자하는 사람들입니다. + + 포트에 관리가 필요한 가장 주요한 이유는 FreeBSD 커뮤니티에 최신의 많은 3rd party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추가적인 목표는 각각의 포트들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도 계속 포트 컬렉션 프레임워크 안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유지시키기 위함입니다. + + 관리자로서, 여러분은 다음의 도전 과제들을 담당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 + 새로운 소프트웨어 버전 및 업데이트. + + 포팅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새로운 버전과 업데이트가 있을 수 있고, 최신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들은 포트 컬렉션에 포함될 필요가 있습니다. + + + + + + 종속된 포트가 수정되었을 경우. + + 여러분의 포트에 종속된 포트가 크게 수정되었을 경우, 여러분의 포트 역시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 업데이트되어야 할 수 있습니다. + + + + + + 종속된 포트에 영향을 미치는 수정 사항들. + + 만일 여러분이 관리하는 포트에 다른 포트가 의존하고 있다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포트를 수정하기 위해 다른 관리자들과 공동 작업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 + + + + 다른 사용자, 관리자 및 개발자와의 소통. + + 관리자로서의 역할 중 하나는 지원자의 역할입니다. 일반적인 지원을 제공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여러분이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환영할 것입니다). 여러분이 제공해야 하는 것은 FreeBSD 환경에서 여러분의 포트에 나타나는 특정한 문제들의 해결에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 + + + + + 버그 추적하기. + + 포트는 FreeBSD 환경에서 특정하게 나타나는 버그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러한 버그들이 제보되었을 때 조사하고, 찾아내고, 이들을 고쳐야 합니다. 포트 컬렉션에 넣기 전에 포트를 전체적으로 테스트해보는 것은 더욱 좋습니다. + + + + + + 포트의 기반 및 정책의 수정 + + 때때로 포트와 패키지를 빌드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이 업데이트되거나 그 기반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제안이 나오기도 합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포트가 영향을 받아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게 될 경우를 위해 이러한 변화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 + + + + + 베이스 시스템의 수정. + + FreeBSD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커널 또는 심지어 정책이 바뀌면 포트 역시 자연스럽게 수정이 필요해질 수 있습니다. + + + + + + + 관리자로서의 책임 + + + 여러분의 포트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세요 + + 이 항목은 여러분의 포트를 최신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 이것은 개괄적인 내용입니다. 포트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Porter's Handbook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 + 업데이트 지켜보기 + +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버전, 업데이트 그리고 보안 수정 사항을 위해 upstream vendor를 주시하세요. 이를 위해서 announcement 메일링 리스트 또는 뉴스 웹 페이지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용자들이 종종 여러분에게 연락해서 여러분의 포트가 언제 업데이트될 것인지에 대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다른 이유로 바쁘거나 지금 업데이트할 수 없는 어떤 이유가 있다면, 그들에게 업데이트 제출을 도와줄 수 있는지 요청해 보세요. + + 여러분은 또한 FreeBSD Ports Version Check로부터 여러분의 포트에 대한 새 버전의 distfile이 사용 가능하다는 자동 이메일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 시스템에 대한 (앞으로의 이메일을 그만 받는 방법을 포함한) 더 많은 정보는 해당 메시지에 제공될 것입니다. + + + + 수정 사항을 적용시키기 + + 변경 사항이 사용 가능해지면, 포트에 적용시켜 주세요. 원본 포트와 업데이트된 포트 사이의 패치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 + + + 검토 및 테스트하기 + + 여러분의 수정 사항 전체를 검토하고 테스트해보세요: + + + + 가능한 많은 플랫폼과 아키텍처에서 여러분의 포트를 빌드, 설치 그리고 테스트해보세요. 하나의 브랜치 혹은 플랫폼에서 잘 작동하던 포트가 다른 곳에서 실패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 + + + 여러분의 포트의 의존성 관계가 완전한지 점검해 주세요. 권장되는 방법은 여러분의 포트를 tinderbox로 설치해 보는 것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위해서는 resources를 참조해 주세요. + + + + 패킹 리스트가 최신 상태인지 확인하세요. 이는 새로운 파일 및 디렉토리를 추가하는 일과 사용되지 않는 내용을 제거하는 일을 포함합니다. + + + + portlint1를 이용하여 여러분의 포트를 검토하세요. portlint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중요한 사항을 위해서는 resources를 참조하세요. + + + + 여러분의 포트에 대한 수정 사항이 다른 포트를 고장내는 일이 있을지에 대해 고려해 주세요. 만약 그럴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포트의 관리자와 수정 내용을 조율해 주세요. 이는 여러분의 업데이트가 shared library의 버전에 수정을 가하는 경우에 특히 중요합니다; 이 경우, 적어도, 종속된 포트는 PORTREVISION bump를 얻어서 portmaster 또는 portupgrade1와 같은 자동화된 도구에 의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 + + 수정 내용 제출하기 + + 수정 사항에 대한 설명 및 원본과 수정본 사이의 변경 내역을 포함한 패치를 담은 PR을 통해 여러분의 업데이트를 보내 주세요. 좋은 PR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은 Writing FreeBSD Problem Reports를 참조해 주세요. + + + 포트 전체에 대한 shar1 아카이브를 제출하지는 말아 주세요; 그 대신에, diff1 -ruN를 사용해 주세요. 이렇게 하면, 정확히 무엇이 수정되었는지 커미터들이 훨씬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orter's Handbook에 있는 Upgrading 항목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 + + 기다리기 + + 때가 되면 커미터가 여러분의 PR을 담당할 것입니다. 이는 몇 분, 또는 몇 주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 — 그러므로 그동안 기다려 주세요. + + + + 피드백하기 + + 만약 커미터가 여러분의 수정 사항에서 문제점을 찾아내면, 그들은 대체로 여러분에게 다시 알려줄 것입니다. 신속한 답변은 여러분의 PR이 빨리 커밋되는 데 도움이 되고,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대화의 흐름을 유지하는 데에도 좋습니다. + + + + 그리고 마지막으로 + + 여러분의 수정 사항이 커밋되고 여러분의 포트가 업데이트될 것입니다. 그런 다음 PR은 커미터에 의해 닫힐 것입니다. 그것으로 끝입니다! + + + + + + 여러분의 포트가 지속적으로 올바르게 빌드되는지를 확인해 주세요 + + 이 항목은 포트가 올바르게 빌드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를 찾아내고 고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 + FreeBSD는 포트 컬렉션이 -STABLE 가지에서 동작하는 것만을 보장합니다. FreeBSD는 포트 컬렉션이 -STABLE 가지에서 동작하는 것만을 보장합니다. + + FreeBSD 설치본의 대부분은 (i386 아키텍처라고 불리는) PC-호환 기종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우리는 여러분이 포트를 그 아키텍처에서 동작하도록 작업할 것을 기대합니다. 포트가 amd64 아키텍처에서 네이티브로 동작한다면 더욱 좋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이러한 기종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얼마든지 도움을 요청해도 괜찮습니다. + + + x86 이외의 장치에서의 빌드 실패에 대한 대부분의 이유는 프로그램 작성자가, 예를 들어, 포인터를 int로 가정했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오래된 gcc 컴파일러가 사용된 경우입니다. 점점 더 많은 프로그램 작성자들은 이러한 가정을 제거하기 위해 그들의 코드에 대해 재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작성자가 그들의 코드를 적극적으로 유지보수하지 않는다면, 여러분은 스스로 이 일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 + 여러분의 포트가 성공적으로 빌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분은 다음의 작업을 해야 합니다: + + + + 빌드 실패 주시하기 + + 빌드에 실패하거나 오래된 포트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pkg-fallout@FreeBSD.orgdistfiles scanner로부터의 메일을 확인해 주세요. + + + + 정보 모으기 + + 여러분이 문제점을 인식하면, 그것을 고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모으세요. 여러분이 문제점을 인식하면, 그것을 고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모으세요. 만약 그러한 빌드 실패가 사용자에 의해 여러분에게 보고되었다면, 문제점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요청하세요: + + + + 빌드 로그 + + + + 포트를 빌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 및 옵션들 (/etc/make.conf에 세팅된 옵션들을 포함) + + + + pkg_info1를 통해 보여지는, 그들의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들의 목록 + + + + uname1 -a을 통해 보여지는, 그들의 현재 FreeBSD의 버전 + + + + 그들의 포트 컬렉션이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때 + + + + 그들의 포트 트리와 INDEX가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때 + + + + + + 문제점을 조사하고 해결책을 찾아보기 + + 불행히도 이를 위한 간단한 프로세스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기억하세요: 뭔가 잘 안 풀린다면, 도움을 요청하세요! FreeBSD 포트 메일링 리스트는 시작하기에 좋은 곳이고, 상부의 개발자들은 대개 대단히 잘 도와줍니다. + + + + 수정 내용 제출하기 + + 포트를 업데이트할 때와 마찬가지로, 여러분은 이제 수정 사항을 적용하고, 검토하고 테스트하고, PR로 수정 사항을 제출하고, 필요하다면 피드백을 제공해야 합니다. + + + + 상부의 저자에게 패치 보내주기 + + 특정한 경우에, 여러분은 포트가 FreeBSD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패치를 만들어야 합니다. 일부 (그러나 모두는 아닌) 상부의 작성자들은 다음 릴리즈에 그러한 패치를 그들의 코드에 반영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는 다른 BSD 기반 시스템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중복된 작업을 할 노력을 절약해줄 수도 있습니다. 적용 가능한 패치를 작성자에게 보내 주는 호의를 베푸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 + + + + + + 여러분의 포트에 관련된 버그 보고와 PR을 살펴 보세요 + + 이 항목은 버그를 찾아내고 고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 + FreeBSD에 특정한 버그는 일반적으로 FreeBSD에는 적용되지 않는 빌드 및 런타임 환경을 가정하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여러분이 이런 유형의 문제를 마주하게 될 가능성은 낮지만, 이것은 더 미묘한 문제이며 찾아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 여러분의 포트가 의도한 대로 계속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분은 다음의 작업들을 해야 합니다: + + + + 버그 보고에 응답하기 + + 버그는 Problem Report database를 통한 이메일로 여러분에게 보고될 것입니다. 버그는 또한 사용자들에 의해 여러분에게 직접적으로 보고될 수도 있습니다. + + 여러분은 PR 및 다른 보고에 대해 14일 이내로 응답해야 합니다만, 그렇게 오래 걸리지는 않도록 노력해 주세요. 단지 여러분이 해당 PR에 대해 작업하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답장만이라도, 가능한 한 빨리 응답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세요. + + 만약 여러분이 14일이 지나도록 응답하지 않았다면, 다른 커미터는 maintainer-timeout을 통해 여러분이 응답하지 않은 PR로부터 커밋할 수 있습니다. + + + + 정보 모으기 + + 만약 버그를 보고한 사람이 수정 사항을 제공하지 않았다면, 여러분은 그 수정을 하기 위한 정보를 모을 필요가 있습니다. + + 만약 버그를 재현할 수 있다면, 여러분은 필요한 정보의 대부분을 스스로 모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버그를 보고한 사람에게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모아줄 것을 요청하세요: + + + + 그들의 행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 예상했던 프로그램의 행동과 실제 행동 + + + + 버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입력했던 데이터의 복사본 + + + + 그들의 빌드 및 실행 환경에 대한 정보 — 예를 들어, 설치된 패키지들의 목록과 env1의 출력값 + + + + Core dumps + + + + Stack traces + + + + + + 잘못된 보고를 배제하기 + + 일부 버그 제보는 잘못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순히 프로그램을 잘못 사용했을 수 있습니다; 또는 그들이 설치한 패키지가 오래되었고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종종 제보된 버그는 FreeBSD에 국한되는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upstream 개발자에게 버그를 제보해 주세요. 만약 여러분이 고칠 수 있을 만한 버그라면, 다음 upstream 릴리즈가 배포되기 전에 여러분이 직접 포트를 패치해서 수정 사항을 적용시켜도 됩니다. + + + + 해결책을 찾아보기 + + 빌드 오류와 마주쳤다면, 여러분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아볼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겠습니다, 뭔가 잘 안 풀린다면 도움을 요청하세요! + + + + 수정 사항을 제출하거나 승인하기 + + 포트를 업데이트할 때와 마찬가지로, 여러분은 이제 수정 사항을 적용시키고, 검토 및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내용을 PR로 제출(또는 해당 문제점에 대해 이미 존재하는 PR에 follow-up을 제출)해야 합니다. 다른 사용자가 이미 PR로 변경 사항을 제출했다면, 여러분은 그 변경 사항에 대한 승인 여부를 말하는 follow-up을 보낼 수도 있습니다. + + + + + + 지원을 제공해 주세요 + + 관리자로서의 역할 중 하나는 지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이는 소프트웨어 자체에 대한 일반적인 지원이 아니라 — 포트 그리고 FreeBSD에 특정한 특이 사항과 문제점에 대한 지원을 의미합니다. 사용자들은 질문, 제안, 문제점 그리고 패치에 대해서 여러분에게 연락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그러한 연락들은 FreeBSD에 특정한 내용들일 것입니다. + + 종종 여러분은 외교적 수완을 발휘해서, 일반적인 지원을 찾는 사람들에게 적절한 리소스를 알려 주어야 합니다. 이보다는 덜 자주 있는 일이지만, 여러분은 RPM이 왜 최신 상태가 아닌지 또는 소프트웨어를 아무개 리눅스에서 어떻게 실행시키는지에 대해 묻는 사람과 마주칠 수도 있습니다. 그들에게 여러분의 포트가 최신 상태임을 알리고(물론, 그럴 경우에만요!), 그들에게 FreeBSD를 사용해볼 것을 권하는 기회를 잡아 보세요. + + 종종 사용자와 개발자들은 여러분을 (여러분의 시간을 귀중히 여기는) 바쁜 사람으로 여기고 여러분을 위해 약간의 일을 해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들은 다음과 같은 일들을 해줄 수도 있습니다: + + + + 여러분의 포트를 업데이트하는 PR을 제출하거나 패치를 보내주는 일, + + + + 조사하고 아마도 PR에 고친 내용을 제공하는 일, 또는 + + + + 아니면 여러분의 포트에 대한 수정 사항을 제출하는 일. + + + + 이러한 경우에 여러분의 주요 의무는 적절한 때에 응답하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관리자의 무응답에 대한 제한 시간은 14일입니다. 이 기간이 지마면 수정 사항은 미승인 상태(unapproved)로 커밋될 것입니다. 그들은 여러분을 위해 이 일을 하는 수고를 했습니다; 그러므로 최소한 신속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세요. 그리고 나서 가급적 빨리 이를 검토하고, 승인하고, 그들과 함께 수정 사항을 다듬거나 이에 대해 논의해 주세요. + + 만약 여러분이 그들의 기여에 감사를 표한다면 (물론 그래야 합니다만) 앞으로 그들이 여러분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해줄 수도 있을 것입니다 :-). + + + + + + 고장난 포트를 찾아내고 고치기 + + 관심이 필요한 포트를 찾아보기에 정말 좋은 두 개의 장소가 있습니다. + + 여러분은 해결되지 않은 PR들을 찾아보기 위해 Problem Report 데이터베이스의 웹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포트 PR의 대부분은 업데이트이지만, 요약된 내용을 조금만 훑어보면 여러분은 흥미로운 일거리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sw-bug 클래스는 시작하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 + 다른 장소는 FreeBSD Ports Monitoring System입니다. 빌드 오류가 있고 관리되지 않는 포트와 BROKEN이라고 표시된 포트에 특히 유의해서 살펴 보세요. 이미 관리되고 있는 포트에 대한 수정 사항을 제출하는 것도 괜찮지만, 관리자가 이미 같은 문제에 대해 작업하고 있는지 물어 보아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 + 여러분이 버그나 문제점을 발견했다면, 정보를 모으고, 분석한 뒤 고쳐 보세요! 이미 PR이 존재한다면, 같이 협력하세요. 그렇지 않다면 새로운 PR을 생성하세요. 여러분의 수정 사항은 검토되고 나서, 만약 모든 것이 괜찮다면, 커밋될 것입니다. + + + + 그만두어야 할 때 + + 여러분의 흥미와 상황이 변함에 따라, 여러분은 여러분의 포트에 대한 일부 (또는 모든) 기여를 계속할 시간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괜찮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더이상 포트를 사용하지 않거나 투자할 시간이 없거나 관리자로서의 흥미를 잃었다면 우리에게 알려 주세요. 그러면 우리는 일을 진행하면서 여러분의 답변을 기다리지 않고 포트의 문제들에 다른 사람들이 작업하도록 허락할 수 있습니다. 기억하세요, FreeBSD는 자원봉사자들에 의한 프로젝트입니다, 그러므로 포트를 관리하는 일이 이제 재미없다면, 다른 누군가에게 넘겨줄 때입니다! + + 어느 경우에든지, 여러분이 일정 기간동안 여러분의 포트를 활동적으로 관리하지 않았다면 포트 관리 팀(portmgr)은 여러분의 관리 권한을 초기화시킬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이 기간은 3개월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것은, 이 기간동안 해결되지 않은 문제나 미루어진 업데이트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 + + 포트 관리자와 기여자를 위한 자료 + + Porter's Handbook은 포트 시스템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입니다. 곁에 두고 자주 살펴 보세요! + + Writing FreeBSD Problem Reports은 훌륭한 PR을 작성하고 제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2005년에는 11000개 이상의 포트 PR이 제출되었습니다! 이 글을 따라하는 것은 여러분의 PR을 다루는 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해 준다는 점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 + Problem Report database. + + FreeBSD Ports Monitoring System은 빌드 에러 또는 problem report와 같이 포트에 대한 상호 참조 정보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관리자라면 이러한 정보를 여러분의 포트의 빌드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tributor로서 여러분은 제대로 동작하지 않고 관리되지 않아서 고쳐질 필요가 있는 포트를 찾아보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FreeBSD Ports distfile scanner는 distfiles를 다운로드할 수 없는 포트를 보여줍니다. 여러분은 이를 여러분의 포트를 확인해 보거나 MASTER_SITES이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는 포트를 찾아보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ports-mgmt/poudriere는 포트의 설치, 패키징, 그리고 제거까지의 전 과정을 전체적으로 테스트해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관련된 문서는 poudriere home page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portlint1는 여러분의 포트가 많은 중요한 외형적 그리고 기능적 지침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portlint는 단순한 휴리스틱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여러분은 이를 지침서의 역할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만약 portlint가 합리적이지 않아 보이는 수정을 제안한다면, Porter's Handbook를 참고하거나 도움을 요청하세요. + + FreeBSD ports mailing list는 포트와 관련된 일반적인 논의가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여기는 도움을 요청하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여러분은 구독하거나, 리스트 아카이브를 읽어보고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FreeBSD ports bugs mailing list와 FreeBSD CVS ports commit list의 아카이브를 읽어보는 것도 흥미로울 수 있습니다. + + + + +
diff --git a/ko_KR.UTF-8/articles/contributing/ko_KR.po b/ko_KR.UTF-8/articles/contributing/ko_KR.po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12889b539c --- /dev/null +++ b/ko_KR.UTF-8/articles/contributing/ko_KR.po @@ -0,0 +1,2199 @@ +# $FreeBSD$ +msgid "" +msgstr "" +"Project-Id-Version: \n" +"POT-Creation-Date: 2016-01-05 04:55+0900\n" +"PO-Revision-Date: 2016-01-04 05:31+0900\n" +"Last-Translator: Hoyoung Kim \n" +"Language-Team: \n" +"Language: ko_KR\n" +"MIME-Version: 1.0\n"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n" +"Content-Transfer-Encoding: 8bit\n" +"X-Generator: Gtranslator 2.91.7\n" + +#. Put one translator per line, in the form NAME , YEAR1, YEAR2 +msgctxt "_" +msgid "translator-credits" +msgstr "번역자 정보" + +#. (itstool) path: info/title +#: article.translate.xml:4 +msgid "Contributing to FreeBSD" +msgstr "FreeBSD에 기여하기" + +#. (itstool) path: abstract/para +#: article.translate.xml:8 +msgid "" +"This article describes the different ways in which an individual or " +"organization may contribute to the FreeBSD Project." +msgstr "" +"이 글은 개인이나 단체가 FreeBSD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 +"소개합니다." + +#. (itstool) path: authorgroup/author +#: article.translate.xml:14 +msgid "" +"JordanHubbard" +msgstr "" +"JordanHubbard" + +#. (itstool) path: authorgroup/author +#: article.translate.xml:15 +msgid "" +"SamLawrance" +msgstr "" +"SamLawrance" + +#. (itstool) path: authorgroup/author +#: article.translate.xml:16 +msgid "" +"MarkLinimon" +msgstr "" +"MarkLinimon"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20 +msgid "FreeBSD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the FreeBSD Foundation." +msgstr "FreeBSD는 FreeBSD 재단의 등록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22 +msgid "" +"IEEE, POSIX, and 802 are registered trademarks of Institute of Electrical "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 in the United States." +msgstr "" +"IEEE, POSIX, 그리고 802는 미국에서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 +"Engineers, Inc.의 등록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25 +msgid "" +"Many of the designations used by manufacturers and sellers to distinguish " +"their products are claimed as trademarks. Where those designations appear in " +"this document, and the FreeBSD Project was aware of the trademark claim, the " +"designations have been followed by the or the ® symbol." +msgstr "" +"생산자 및 판매자들이 그들의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많은 표기들은 상표" +"권으로 보호받습니다. 이 문서에 그런 표기들이 나타날 때, FreeBSD 프로젝트는 그" +"러한 상표권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표기 뒤에 또는 " +"® 기호를 사용합니다." + +#. (itstool) path: info/pubdate +#. (itstool) path: info/releaseinfo +#: article.translate.xml:33 article.translate.xml:35 +msgid "" +"$FreeBSD: head/en_US.ISO8859-1/articles/contributing/article.xml 47585 " +"2015-10-16 02:35:41Z wblock $" +msgstr "$FreeBSD$" + +#. (itstool) path: article/indexterm +#: article.translate.xml:38 +msgid "contributing" +msgstr "contributing" + +#. (itstool) path: article/para +#: article.translate.xml:40 +msgid "" +"So you want to contribute to FreeBSD? That is great! FreeBSD " +"relies on the contributions of its user base to " +"survive. Your contributions are not only appreciated, they are vital to " +"FreeBSD's continued growth." +msgstr "" +"그러니까 FreeBSD에 기여하고 싶으시다는 말씀이군요? 훌륭합니다! FreeBSD는 살" +"아남기 위해 그 사용자들의 기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여" +"러분의 기여는 단순히 고맙게 받아들여질 뿐만 아니라, FreeBSD의 지속적인 성장" +"에 필수적이기도 합니다." + +#. (itstool) path: article/para +#: article.translate.xml:45 +msgid "" +"A large and growing number of international contributors, of greatly varying " +"ages and areas of technical expertise, develop FreeBSD. There is always more " +"work to be done than there are people available to do it, and more help is " +"always appreciated." +msgstr "" +"FreeBSD는 다양한 연령층과 기술적 전문 지식을 가진 전 세계의 기여자들에 의해 " +"개발되고 있는데, 기여자들의 규모는 크고 또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거리는 " +"이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보다 항상 더 많이 존재하고, 더 많은 도움은 언제나 감" +"사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 +#. (itstool) path: article/para +#: article.translate.xml:50 +msgid "" +"As a volunteer, what you do is limited only by what you want to do. However, " +"we do ask that you are aware of what other members of the FreeBSD community " +"will expect of you. You may want to take this into account before deciding " +"to volunteer." +msgstr "" +"자원봉사자로서, 여러분은 여러분이 하고 싶은 일에만 참여하면 됩니다. 그러나, " +"우리는 여러분이 FreeBSD 커뮤니티의 다른 멤버들이 여러분에게 어떤 일을 할 것" +"을 원하고 있는지 미리 알아볼 것을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은 봉사에 참여하기로 " +"마음먹기 전에 이에 대해 고려해 보고 싶으실 수도 있겠군요." + +#. (itstool) path: article/para +#: article.translate.xml:55 +msgid "" +"The FreeBSD project is responsible for an entire operating system " +"environment, rather than just a kernel or a few scattered utilities. As " +"such, our TODO lists span a very wide range of tasks: " +"from documentation, beta testing and presentation, to the system installer " +"and highly specialized types of kernel development. People of any skill " +"level, in almost any area, can almost certainly help the project." +msgstr "" +"FreeBSD 프로젝트는 단순히 커널 또는 몇몇의 유틸리티들만이 아니라, 운영체제 환" +"경 전체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TODO 목록은 다양한 분야의 일거리들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문서화 작업, 베" +"타 테스트와 프리젠테이션에서부터 시스템 인스톨러 그리고 아주 특화된 종류의 커" +"널 개발에 이르기까지 등등. 어떤 분야에 어떤 수준의 기술을 가지고 있더라도, " +"거의 확실하게 프로젝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 +#. (itstool) path: article/para +#: article.translate.xml:63 +msgid "" +"Commercial entities engaged in FreeBSD-related enterprises are also " +"encouraged to contact us. Do you need a special extension to make your " +"product work? You will find us receptive to your requests, given that they " +"are not too outlandish. Are you working on a value-added product? Please let " +"us know! We may be able to work cooperatively on some aspect of it. The free " +"software world is challenging many existing assumptions about how software " +"is developed, sold, and maintained, and we urge you to at least give it a " +"second look." +msgstr "" +"FreeBSD에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들도 우리에게 연락할 것이 권장됩니다. " +"여러분의 제품이 동작하게 할 특별한 확장이 필요한가요? 너무 특이하지만 않다" +"면, 우리는 여러분의 요청을 받아들일 것입니다. 부가 가치 제품으로 작업하고 있" +"나요? 우리에게 알려 주세요! 우리는 부분적으로 협력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 +"다. 자유 소프트웨어 세계는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개발되고, 판매되고, 또 유지되" +"는지에 대한 기존의 많은 전제들에 도전하고 있고, 우리는 최소한 여러분에게 또 "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74 +msgid "What Is Needed" +msgstr "어떤 도움이 필요한가요?"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76 +msgid "" +"The following list of tasks and sub-projects represents something of an " +"amalgam of various TODO lists and user requests." +msgstr "" +"아래에 제시된 작업 및 보조 프로젝트들의 목록은 여러 TODO 항목들과 사용자 요청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81 +msgid "Ongoing Non-Programmer Tasks" +msgstr "비-프로그래머를 위한 진행 작업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83 +msgid "" +"Many people who are involved in FreeBSD are not programmers. The Project " +"includes documentation writers, Web designers, and support people. All that " +"these people need to contribute is an investment of time and a willingness " +"to learn." +msgstr "" +"FreeBSD에 관여하는 사람들 중에는 프로그래머가 아닌 사람들도 많습니다. 프로젝" +"트에는 문서 작성자, 웹 디자이너, 기타 도움을 주는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습니" +"다. 이들이 기여하는 데에는 시간 투자와 배우려는 의지만 있으면 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91 +msgid "" +"Read through the FAQ and Handbook periodically. If anything is badly " +"explained, out of date or even just completely wrong, let us know. Even " +"better, send us a fix (Docbook is not difficult to learn, but there is no " +"objection to ASCII submissions)." +msgstr "" +"FAQ와 Handbook을 주기적으로 읽어 보세요. 만약 무언가가 어색하게 설명되어 있" +"거나, 너무 오래 되었거나 심지어 완전히 잘못되어 있다면, 우리에게 알려 주세" +"요. 직접 고친 내용을 보내 주신다면 더욱 좋습니다(DocBook은 배우기 어렵지 않" +"습니다만, 그냥 ASCII 형식으로 보내 주셔도 괜찮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99 +msgid "" +"Help translate FreeBSD documentation into your native language. If " +"documentation already exists for your language, you can help translate " +"additional documents or verify that the translations are up-to-date. First " +"take a look at the Translations FAQ in the FreeBSD " +"Documentation Project Primer. You are not committing yourself to translating " +"every single FreeBSD document by doing this — as a volunteer, you can do as " +"much or as little translation as you desire. Once someone begins " +"translating, others almost always join the effort. If you only have the time " +"or energy to translate one part of the documentation, please translate the " +"installation instructions." +msgstr "" +"FreeBSD 문서를 여러분의 모국어로 번역하는 것을 도와 주세요. 만약 문서가 이" +"미 여러분의 언어로 존재한다면, 다른 문서를 추가적으로 번역하거나 번역본이 최" +"신 상태인지를 점검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먼저 FreeBSD Documentation Project " +"Primer의 Translation FAQ를 살펴 보세요. 여러분은 모" +"든 FreeBSD 문서를 다 번역하는 데 헌신할 필요는 없습니다 — 자원봉사자로서, 여" +"러분은 원하는 만큼 많은 또는 적은 양을 번역할 수 있습니다. 한번 누군가가 번" +"역을 시작하면, 다른 사람들은 거의 항상 그 노력에 동참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 +"문서의 일부만을 번역할 시간 또는 노력밖에 없다면, 설치 과정 부분을 번역해 주" +"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15 +msgid "" +"Read the FreeBSD general questions mailing list " +"occasionally (or even regularly). It can be very satisfying to share your " +"expertise and help people solve their problems; sometimes you may even learn " +"something new yourself! These forums can also be a source of ideas for " +"things to work on." +msgstr "" +"FreeBSD general questions mailing list를 종종 (또는 심지" +"어 정기적으로) 읽어 주세요. 여러분의 전문 지식을 나누고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 +"하도록 도와 주는 일은 대단히 만족스러울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심지어 종종 스" +"스로 새로운 것을 배울 수도 있습니다! 이 포럼들은 할 일들의 아이디어의 원천" +"이 되기도 합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126 +msgid "Ongoing Programmer Tasks" +msgstr "프로그래머를 위한 진행 작업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28 +msgid "" +"Most of the tasks listed here require either a considerable investment of " +"time, or an in-depth knowledge of the FreeBSD kernel, or both. However, " +"there are also many useful tasks which are suitable for weekend " +"hackers." +msgstr "" +"여기에 수록된 일들 대다수는 상당한 시간 투자 또는 FreeBSD 커널에 대한 깊이 있" +"는 지식, 심지어 둘 다를 요구합니다. 그러나, 심심풀이 해커들" +"을 위한 유용한 작업들도 많이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36 +msgid "" +"If you run FreeBSD-CURRENT and have a good Internet connection, there is a " +"machine current.FreeBSD.org " +"which builds a full release once a day—every now and again, try to install " +"the latest release from it and report any failures in the process." +msgstr "" +"만약 여러분이 FreeBSD-CURRENT를 돌리고 있고 인터넷 연결이 괜찮다면, 하루에 " +"한 번씩 전체 릴리즈를 빌드하는 current." +"FreeBSD.org이 있습니다—종종 최신 릴리즈를 설치해 보고 과정에서 " +"오류가 발생하면 제보해 주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45 +msgid "" +"Read the FreeBSD problem reports mailing list. There might be a " +"problem you can comment constructively on or with patches you can test. Or " +"you could even try to fix one of the problems yourself." +msgstr "" +"FreeBSD problem reports mailing list를 읽어 보세요. 여러분이 조언" +"을 해줄 수 있거나 패치를 테스트해볼 수 있는 문제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는 " +"심지어 그것들 중 하나를 스스로 고쳐볼 수도 있겠지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52 +msgid "" +"If you know of any bug fixes which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 +"CURRENT but have not been merged into -STABLE after a decent interval " +"(normally a couple of weeks), send the committer a polite reminder." +msgstr "" +"만약 여러분이 -CURRENT에서는 고쳐졌지만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대체로 약 2주 " +"정도)에도 -STABLE에 반영되지 않은 버그를 알고 있다면, 커미터에게 예의 바른 알" +"림을 보내 주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59 +msgid "" +"Move contributed software to src/contrib in the source " +"tree." +msgstr "" +"contributed software를 소스 트리의 src/contrib으로 옮겨 " +"주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65 +msgid "Make sure code in src/contrib is up to date." +msgstr "" +"src/contrib의 소스 코드를 최신 상태로 유지시켜 주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71 +msgid "" +"Build the source tree (or just part of it) with extra warnings enabled and " +"clean up the warnings." +msgstr "" +"추가적 경고 표시를 활성화한 뒤 소스 트리 (또는 그 일부) 빌드를 해 보고 경고" +"가 나타나는 내용을 수정해 주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76 +msgid "" +"Fix warnings for ports which do deprecated things like using " +"gets() or including malloc.h." +msgstr "" +"gets()을 사용하거나 malloc.h을 " +"include하는 등 deprecate된 방법을 사용하는 포트가 있으면 경고를 수정해 주세" +"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82 +msgid "" +"If you have contributed any ports and you had to make FreeBSD-specific " +"changes, send your patches back to the original authors (this will make your " +"life easier when they bring out the next version)." +msgstr "" +"여러분이 FreeBSD에 맞도록 패치한 ports에 기여했다면, 그 패치를 원 저자에게 보" +"내 주세요 (이렇게 하면 그들이 다음 버전을 출시할 때 여러분이 할 일이 훨씬 간" +"편해질 것입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89 +msgid "" +"Get copies of formal standards like POSIX. Compare FreeBSD's behavior to that required by the standard. If " +"the behavior differs, particularly in subtle or obscure corners of the " +"specification, send in a PR about it. If you are able, figure out how to fix " +"it and include a patch in the PR. If you think the standard is wrong, ask " +"the standards body to consider the question." +msgstr "" +"POSIX와 같은 공식 표준들을 살펴 " +"보세요. 그리고 FreeBSD가 그러한 표준이 요구하는 조건에 충족되는지 확인해 보" +"세요.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특히 표준의 사소하거나 불분명한 부분에서의 경우" +"에, 그에 대한 PR을 보내 주세요. 가능하다면, 어떻게 고치는지를 찾아서 PR에 패" +"치를 포함시켜 주세요. 만약 표준이 잘못되었다고 생각된다면, 해당 표준을 관리" +"하는 단체에 문의해 보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00 +msgid "Suggest further tasks for this list!" +msgstr "이 목록에 추가할 다른 일들을 제안해 주세요!"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206 +msgid "Work through the PR Database" +msgstr "PR 데이터베이스로 할 것들" + +#. (itstool) path: sect2/indexterm +#: article.translate.xml:208 +msgid "problem reports database" +msgstr "problem reports database"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212 +msgid "" +"The FreeBSD PR list shows all the current active problem reports and requests for " +"enhancement that have been submitted by FreeBSD users. The PR database " +"includes both programmer and non-programmer tasks. Look through the open " +"PRs, and see if anything there takes your interest. Some of these might be " +"very simple tasks that just need an extra pair of eyes to look over them and " +"confirm that the fix in the PR is a good one. Others might be much more " +"complex, or might not even have a fix included at all." +msgstr "" +"FreeBSD PR list" +"는 FreeBSD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모든 문제점 보고와 개선 사항 요청을 담고 있습" +"니다. PR 데이터베이스는 프로그래머 작업과 비-프로그래머 작업을 모두 포함합니" +"다. PR들을 살펴보고, 흥미로운 것이 있는지 살펴 보세요. 이들 중 일부는 매우 " +"간단해서 누군가 살펴보고 PR에 포함된 수정 사항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만 확인하" +"면 됩니다. 다른 것들은 더 복잡하거나, 심지어는 수정 사항이 아예 포함되지 않" +"아 있을 수도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223 +msgid "" +"Start with the PRs that have not been assigned to anyone else. If a PR is " +"assigned to someone else, but it looks like something you can handle, email " +"the person it is assigned to and ask if you can work on it—they might " +"already have a patch ready to be tested, or further ideas that you can " +"discuss with them." +msgstr "" +"다른 누군가가 맡고 있지 않은 PR부터 시작하세요. 만약 다른 누군가가 PR을 맡" +"고 있는데 여러분이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면, 맡고 있는 사람에게 이메일" +"을 보내서 여러분이 작업해도 좋은지 요청해 보세요—그들은 이미 테스트받을 준비" +"가 되어 있는 패치를 가지고 있거나, 여러분과 의논할 만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 +"을 수도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232 +msgid "Ongoing Ports Tasks" +msgstr "진행중인 포트 작업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234 +msgid "" +"The Ports Collection is a perpetual work in progress. We want to provide our " +"users with an easy to use, up to date, high quality repository of third " +"party software. We need people to donate some of their time and effort to " +"help us achieve this goal." +msgstr "" +"포트 컬렉션은 끝없이 진행되고 있는 작업입니다. 우리는 사용자들에게 사용하기 " +"쉽고, 최신 상태로 유지되며, 높은 품질의 제3자 소프트웨어 저장소를 제공하고 싶" +"어합니다. 우리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약간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도와줄 "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240 +msgid "" +"Anyone can get involved, and there are lots of different ways to do so. " +"Contributing to ports is an excellent way to help give back " +"something to the project. Whether you are looking for an ongoing role, or a " +"fun challenge for a rainy day, we would love to have your help!" +msgstr ""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참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포트에 기여하" +"는 것은 프로젝트에 무언가를 되돌려 주는 것을 돕는 훌륭한 방법" +"입니다. 여러분이 책임감 있는 역할을 찾고 있든지, 아니면 비 오는 날 할 만한 " +"재미난 일거리를 찾고 있든지 간에, 우리는 여러분이 도와 준다면 무척이나 기쁠 "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246 +msgid "" +"There are a number of easy ways you can contribute to keeping the ports tree " +"up to date and in good working order:" +msgstr "" +"포트 트리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잘 동작할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해 할 수 있" +"는 여러 쉬운 방법들이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52 +msgid "" +"Find some cool or useful software and create a port for it." +msgstr "" +"멋지거나 유용한 소프트웨어를 찾아 포트를 만들어 주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58 +msgid ""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orts that have no maintainer. Become a " +"maintainer and adopt a port." +msgstr "" +"관리자가 없는 포트들이 많이 있습니다. 관리자가 되어 포트를 관리해 주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64 +msgid "" +"If you have created or adopted a port, be aware of what you need to do as a maintainer." +msgstr "" +"만약 여러분이 포트를 만들었거나 관리하기로 마음먹었다면, 관리자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 보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70 +msgid "" +"When you are looking for a quick challenge you could fix a bug or a broken port." +msgstr "" +"좀더 빠르게 끝낼 수 있는 일을 찾고 있다면 버그 " +"또는 작동하지 않는 포트를 수정해 주세요."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278 +msgid "Pick one of the items from the Ideas page" +msgstr "Ideas 페이지에 있는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280 +msgid "" +"The FreeBSD list of " +"projects and ideas for volunteers is also available for people " +"willing to contribute to the FreeBSD project. The list is being regularly " +"updated and contains items for both programmers and non-programmers with " +"information about each project." +msgstr "" +"FreeBSD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자원봉사자를 위한 FreeBSD 계획과 아이디어 목록" +"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목록은 정기적으로 갱신되며 프로그래머 작업과 비-프" +"로그래머 작업에 대한 항목들이 설명과 함께 제시되어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290 +msgid "How to Contribute" +msgstr "어떻게 기여할 수 있나요"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92 +msgid "" +"Contributions to the system generally fall into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 +"5 categories:" +msgstr "" +"시스템에 기여하는 방법은 대개 다음의 5가지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에 해당됩니" +"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296 +msgid "Bug Reports and General Commentary" +msgstr "버그 보고와 일반적 조언"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298 +msgid "" +"An idea or suggestion of general technical interest " +"should be mailed to the FreeBSD technical discussions mailing list. Likewise, people with an interest in such things (and a tolerance for " +"a high volume of mail!) may subscribe to the FreeBSD technical discussions mailing list. See The FreeBSD Handbook for more information " +"about this and other mailing lists." +msgstr "" +"일반적인 기술적 관심사에 대한 아이디어나 제안은 FreeBSD technical discussions mailing list에 메일을 보내야 합니" +"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내용에 관심이 있는 (그리고 수많은 메일들을 견뎌낼 인내심이 있는) 사람들은 FreeBSD technical " +"discussions mailing list를 구독하면 됩니다. 이와 더불어 다른 메일링 " +"리스트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The FreeBSD Handbook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06 +msgid "" +"If you find a bug or are submitting a specific change, please report it " +"using the bug " +"submission form. Try to fill-in each field of the bug report. Unless " +"they exceed 65KB, include any patches directly in the report. If the patch " +"is suitable to be applied to the source tree put [PATCH] " +"in the synopsis of the report. When including patches, do not use cut-and-paste because cut-and-paste turns tabs into spaces and " +"makes them unusable. When patches are a lot larger than 20KB, consider " +"compressing them (eg. with gzip1 or " +"bzip21) prior to uploading them." +msgstr "" +"만일 여러분이 버그를 찾아냈거나 특별한 수정을 제출하고자 한다면, bug submission form을 이용" +"해 주세요. bug report의 각 항목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해 주세요. 패치의 크기" +"가 65KB를 넘지 않는다면, report에 직접 패치를 첨부해 주세요. 패치가 소스 트" +"리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다면 report의 synopsys 부분에 [PATCH]를 적어 주세요. 패치를 첨부할 때, 복사-붙여넣기를 이용하면 탭이 공백" +"(space)으로 바뀌어 적용이 불가능해기지 때문에 복사-붙여넣기 방식으로 첨부하" +"면 안 됩니다. 패치가 20KB보다 훨씬 크다면, 업로드하기 " +"전에 (gzip1이나 bzip21 등을 이용하여) 압축하" +"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19 +msgid "" +"After filing a report, you should receive confirmation along with a tracking " +"number. Keep this tracking number so that you can update us with details " +"about the problem." +msgstr "" +"report를 제출한 이후에, 여러분은 tracking number가 있는 확인 메일을 받을 겁니" +"다. 이 문제에 대한 상세한 사항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tracking number를 보관" +"해 두세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23 +msgid "" +"See also this article on how to write good " +"problem reports." +msgstr "" +"좋은 problem report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이 article을 " +"참고하세요."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329 +msgid "Changes to the Documentation" +msgstr "문서 수정하기" + +#. (itstool) path: sect2/indexterm +#: article.translate.xml:331 +msgid "documentation submissions" +msgstr "documentation submissions"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35 +msgid "" +"Changes to the documentation are overseen by the FreeBSD documentation " +"project mailing list. Please look at the FreeBSD Documentation Project Primer for complete instructions. " +"Send submissions and changes (even small ones are welcome!) using the same " +"method any other bug report." +msgstr "" +"문서의 편집은 FreeBSD documentation project mailing list에 의해 관리됩" +"니다. 전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FreeBSD Documentation Project " +"Primer를 참고해 주세요. 다른 버그 리포트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제출 " +"및 편집(사소한 것이라도 환영합니다!) 내용을 보내 주세요."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345 +msgid "Changes to Existing Source Code" +msgstr "기존 소스 코드 수정하기" + +#. (itstool) path: sect2/indexterm +#: article.translate.xml:347 +msgid "FreeBSD-CURRENT" +msgstr "FreeBSD-CURRENT"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49 +msgid "" +"An addition or change to the existing source code is a somewhat trickier " +"affair and depends a lot on how far out of date you are with the current " +"state of FreeBSD development. There is a special on-going release of FreeBSD " +"known as FreeBSD-CURRENT which is made available in a variety " +"of ways for the convenience of developers working actively on the system. " +"See The FreeBSD Handbook for more information about " +"getting and using FreeBSD-CURRENT." +msgstr "" +"기존의 소스 코드에 무언가를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것은 까다로운 작업이며 여러분" +"이 FreeBSD 개발의 최신 상태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크게 영향" +"을 받습니다. 시스템에 대해 활동적으로 작업하는 개발자들의 여러 편의를 위해 " +"만들어진 FreeBSD-CURRENT라는 특별한 on-going 릴리즈가 있습니" +"다. FreeBSD-CURRENT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는 The " +"FreeBSD Handbook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59 +msgid "" +"Working from older sources unfortunately means that your changes may " +"sometimes be too obsolete or too divergent for easy re-integration into " +"FreeBSD. Chances of this can be minimized somewhat by subscribing to the " +"FreeBSD announcements mailing list and the FreeBSD-" +"CURRENT mailing list lists, where discussions on the current state of " +"the system take place." +msgstr "" +"오래된 소스로 작업하는 것은 불행히도 여러분의 수정이 종종 이미 필요없게 되거" +"나 FreeBSD에 적용되기에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스템의 최신 상" +"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FreeBSD announcements mailing list" +"와 FreeBSD-CURRENT mailing list 리스트를 구독하면, 이러한 가능" +"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66 +msgid "" +"Assuming that you can manage to secure fairly up-to-date sources to base " +"your changes on, the next step is to produce a set of diffs to send to the " +"FreeBSD maintainers. This is done with the " +"diff1 command." +msgstr "" +"Assuming that you can manage to secure fairly up-to-date sources to base " +"your changes on, the next step is to produce a set of diffs to send to the " +"FreeBSD maintainers. 이는 diff1 명령어를 이용하여 이루" +"어집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71 +msgid "" +"The preferred diff1 format for submitting patches is the unified " +"output format generated by diff -u." +msgstr "" +"패치를 제출하는 데 선호되는 diff1 형식은 diff -" +"u에 의해 생성되, 하나로 통합된 출력입니다." + +#. (itstool) path: sect2/indexterm +#: article.translate.xml:375 +msgid "diff" +msgstr "diff" + +#. (itstool) path: sect2/screen +#: article.translate.xml:379 +#, no-wrap +msgid "% diff -u oldfile newfile" +msgstr "% diff -u oldfile newfile"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81 +msgid "or" +msgstr "또는" + +#. (itstool) path: sect2/screen +#: article.translate.xml:383 +#, no-wrap +msgid "% diff -u -r -N olddir newdir" +msgstr "% diff -u -r -N olddir newdir"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85 +msgid "" +"would generate a set of unified diffs for the given source file or directory " +"hierarchy." +msgstr "" +"는 주어진 소스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대해 하나로 통합된 diff를 생성할 것입니" +"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88 +msgid "" +"See diff1 for more information." +msgstr "" +"diff1에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90 +msgid "" +"Once you have a set of diffs (which you may test with the " +"patch1 command), you should submit them for inclusion with FreeBSD as " +"a bug report. Do not just send the diffs to the FreeBSD technical discussions mailing list or they will get lost! " +"We greatly appreciate your submission (this is a volunteer project!); " +"because we are busy, we may not be able to address it immediately, but it " +"will remain in the PR database until we do. Indicate your submission by " +"including [PATCH] in the synopsis of the report." +msgstr "" +"여러분이 diff 파일을 만들었다면 (그리고 patch1 명령어로 확인했다면), " +"FreeBSD에 반영하기 위해 버그 리포트의 형식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diff를 그냥 " +"FreeBSD technical discussions mailing list에 보내지 마세" +"요! 그것들은 잊혀질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여러분의 제출을 무척이" +"나 감사히 여기고 있습니다만 (이것은 자원봉사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우리는 바" +"쁘기 때문에, 때때로 바로 작업에 착수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 +"할 때까지 PR 데이터베이스에 남아 있을 것입니다. 제출할 때 리포트의 synopsis" +"에 [PATCH]을 포함시켜서 패치라는 것을 알려 주세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402 +msgid "" +"If you feel it appropriate (e.g. you have added, deleted, or renamed files), " +"bundle your changes into a tar file. Archives created " +"with shar1 are also welcome." +msgstr ""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새 파일을 추가했거나, 기존의 파일을 삭" +"제했거나, 파일의 이름을 바꾼 경우), 그 바꾼 내용을 tar 파" +"일로 첨부해 주세요. shar1으로 생성된 아카이브도 " +"괜찮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408 +msgid "" +"If your change is of a potentially sensitive nature, such as if you are " +"unsure of copyright issues governing its further distribution then you " +"should send it to Core Team core@FreeBSD.org directly rather " +"than submitting as a bug report. The Core Team core@FreeBSD.org reaches a much smaller group of people who do much of the day-to-day " +"work on FreeBSD. Note that this group is also very busy " +"and so you should only send mail to them where it is truly necessary." +msgstr "" +"만약 여러분의 수정이 잠재적으로 민감할 수 있는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면, 예를 " +"들어 배포와 관련된 라이선스 문제에 대해 확신이 없는 경우라면, 버그 리포트로 " +"제출하는 대신 코어 팀 core@FreeBSD.org에 직접 보내 주세요. 코" +"어 팀 core@FreeBSD.org은 FreeBSD에 대해 관한 많은 일을 매일 하" +"는 사람들의 작은 모임입니다. 이들은 매우 바쁘기 때문" +"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메일을 보내 주세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417 +msgid "" +"Please refer to intro9 and " +"style9 for some information on coding style. We would appreciate it " +"if you were at least aware of this information before submitting code." +msgstr "" +"코딩 스타일에 대해서는 intro9와 " +"style9를 참조해 주세요. 여러분이 코드를 제출하기 전에 이 정보에 대해 " +"최소한 알고 있었다면 우리는 감사할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424 +msgid "New Code or Major Value-Added Packages" +msgstr "새로운 코드 또는 주요한 부가가치 패키지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426 +msgid "" +"In the case of a significant contribution of a large body work, or the " +"addition of an important new feature to FreeBSD, it becomes almost always " +"necessary to either send changes as tar files or upload them to a web or FTP " +"site for other people to access. If you do not have access to a web or FTP " +"site, ask on an appropriate FreeBSD mailing list for someone to host the " +"changes for you." +msgstr "" +"큰 규모의 작업에서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경우에, 혹은 FreeBSD에 새롭고 중요한 기" +"능을 추가하는 경우에, 수정한 내용을 다른 사람이 액세스할 수 있도록 tar 파일 " +"형식으로 보내거나 웹/FTP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것은 거의 언제나 필요합니다. 만" +"약 여러분이 액세스할 수 있는 웹 또는 FTP 사이트가 없다면, 적절한 FreeBSD 메일" +"링 리스트에 여러분의 수정사항을 호스팅해줄 것을 요청하세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434 +msgid "" +"When working with large amounts of code, the touchy subject of copyrights " +"also invariably comes up. FreeBSD prefers free software licenses such as BSD " +"or ISC. Copyleft licenses such as GPLv2 are sometimes permitted. The " +"complete listing can be found on the core team licensing policy page." +msgstr "" +"많은 양의 코드에 대해 작업할 때, 저작권에 대한 민감한 주제 역시 언제나 나타납" +"니다. FreeBSD는 BSD 또는 ISC 형식의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선호합니다. GPLv2" +"와 같은 카피레프트 라이센스 역시 종종 허용됩니다. 전체적인 목록은 코어 팀 라이" +"선스 정책 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443 +msgid "Money or Hardware" +msgstr "금전 또는 하드웨어"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445 +msgid "" +"We are always very happy to accept donations to further the cause of the " +"FreeBSD Project and, in a volunteer effort like ours, a little can go a long " +"way! Donations of hardware are also very important to expanding our list of " +"supported peripherals since we generally lack the funds to buy such items " +"ourselves." +msgstr "" +"우리는 FreeBSD 프로젝트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부를 받는 것을 매우 기쁘게 여기" +"고 있으며, 우리와 같이 자원봉사 노력을 할 때에, 약간의 기부도 많은 일을 해낼 "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장비를 직접 구입할 여유가 없기 때문" +"에, 지원 가능한 장비를 확대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기부받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합" +"니다." + +#. (itstool) path: sect3/title +#: article.translate.xml:453 +msgid "Donating Funds" +msgstr "재단에 기부하기"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455 +msgid "" +"The FreeBSD Foundation is a non-profit, tax-exempt foundation established to " +"further the goals of the FreeBSD Project. As a 501(c)3 entity, the " +"Foundation is generally exempt from US federal income tax as well as " +"Colorado State income tax. Donations to a tax-exempt entity are often " +"deductible from taxable federal income." +msgstr "" +"FreeBSD 재단은 FreeBSD 프로젝트의 목표를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비과" +"세의 단체입니다. 501(c)3의 회원으로서, FreeBSD 재단은 Colorado 주 소득세뿐" +"만 아니라 미국 연방 소득세도 면제받습니다. 비과세 단체에 기부하는 것은 종종 " +"과세 대상인 연방 소득으로부터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para/address +#: article.translate.xml:463 +#, no-wrap +msgid "" +"\n" +"\t The FreeBSD Foundation\n" +"\t P.O. Box 20247,\n" +"\t Boulder,\n" +"\t CO 80308\n" +"\t USA\n" +"\t " +msgstr "" +"\n" +"\t The FreeBSD Foundation\n" +"\t P.O. Box 20247,\n" +"\t Boulder,\n" +"\t CO 80308\n" +"\t USA\n" +"\t "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462 +msgid "Donations may be sent in check form to: <_:address-1/>" +msgstr "" +"기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주소로 수표를 보내 주시면 됩니다: <_:address-1/>"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471 +msgid "" +"The FreeBSD Foundation is now able to accept donations through the web with " +"PayPal. To place a donation, please visit the Foundation web site." +msgstr "" +"FreeBSD 재단은 이제 Paypal을 통한 온라인 기부도 받고 있습니다. 기부하기 위해" +"서는, 재단 웹 사이트를 방문해 주세요."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477 +msgid "" +"More information about the FreeBSD Foundation can be found in The " +"FreeBSD Foundation -- an Introduction. To contact the Foundation by " +"email, write to bod@FreeBSDFoundation.org." +msgstr "" +"FreeBSD 재단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The FreeBSD Foundation -- an " +"Introduction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메일로 재단에 연락하려면, " +"bod@FreeBSDFoundation.org을 이용하세요." + +#. (itstool) path: sect3/title +#: article.translate.xml:485 +msgid "Donating Hardware" +msgstr "하드웨어 기부하기" + +#. (itstool) path: sect3/indexterm +#: article.translate.xml:487 +msgid "donations" +msgstr "donations"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489 +msgid "" +"The FreeBSD Project happily accepts donations of hardware that it can find " +"good use for. If you are interested in donating hardware, please contact the " +"Donations Liaison Office." +msgstr "" +"FreeBSD 프로젝트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의 기부를 기쁘게 받아들이" +"고 있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하드웨어 기부에 관심이 있다면, Donations Liaison Office에 연락해 주세" +"요."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499 +msgid "Contributing to ports" +msgstr "포트에 기여하기"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502 +msgid "Adopting an unmaintained port" +msgstr "관리되지 않는 포트를 책임지기" + +#. (itstool) path: sect3/title +#: article.translate.xml:505 +msgid "Choosing an unmaintained port" +msgstr "관리되지 않는 포트 선택하기"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507 +msgid "" +"Taking over maintainership of ports that are unmaintained is a great way to " +"get involved. Unmaintained ports are only updated and fixed when somebody " +"volunteers to work on them. There are a large number of unmaintained ports. " +"It is a good idea to start with adopting a port that you use regularly." +msgstr "" +"관리되지 않는 포트를 책임지는 것은 참여하기에 좋은 방법입니다. 관리되지 않" +"는 포트는 누군가가 자원봉사로 작업할 때에만 업데이트되고 고쳐집니다. 관리되" +"지 않는 포트는 많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포트를 책임지는 " +"것부터 시작해 보면 좋을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514 +msgid "" +"Unmaintained ports have their MAINTAINER set to " +"ports@FreeBSD.org. A list of unmaintained ports and their " +"current errors and problem reports can be seen at the FreeBSD Ports Monitoring System." +msgstr "" +"관리되지 않는 포트는 그 MAINTAINER이 " +"ports@FreeBSD.org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관리되지 않는 포트" +"와 그것들의 현재 문제점 및 problem reports에 대한 목록은 Ports Monitoring System에서 찾아볼 "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521 +msgid "" +"Some ports affect a large number of others due to dependencies and slave " +"port relationships. Generally, we want people to have some experience before " +"they maintain such ports." +msgstr "" +"어떤 포트는 그 의존성 관계 때문에 다른 많은 포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우리는 사람들이 그러한 포트를 관리하기 전에 약간의 경험을 해볼 것" +"을 원합니다."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526 +msgid "" +"You can find out whether or not a port has dependencies or slave ports by " +"looking at a master index of ports called INDEX. (The " +"name of the file varies by release of FreeBSD; for instance, " +"INDEX-8.) Some ports have conditional dependencies that " +"are not included in a default INDEX build. We expect " +"you to be able to recognize such ports by looking through other ports' " +"Makefiles." +msgstr "" +"INDEX라고 이름붙여진 포트의 마스터 인덱스를 살펴보면 포" +"트의 의존성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파일의 이름은 FreeBSD의 릴리즈에 따" +"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NDEX-8.) 일부 포트는 " +"기본 INDEX 빌드에는 포함되지 않는 부가적인 의존성 관계" +"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이 다른 포트의 Makefile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포트를 찾아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 (itstool) path: sect3/title +#: article.translate.xml:538 +msgid "How to adopt the port" +msgstr "포트를 책임지는 방법"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540 +msgid "" +"First make sure you understand your responsibilities as a maintainer. Also read the Porter's " +"Handbook. Please do not commit yourself to more than you " +"feel you can comfortably handle." +msgstr "" +"우선 관리자로서의 책임에 대해 명확히 " +"이해해야 합니다. 또 Porter's Handbook을 읽어 보세요. " +"여러분이 편안하게 다룰 수 있을 범위를 넘어서서 무리할 필요는 없습니" +"다."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548 +msgid "" +"You may request maintainership of any unmaintained port as soon as you wish. " +"Simply set MAINTAINER to your own email address and send " +"a PR (Problem Report) with the change. If the port has build errors or needs " +"updating, you may wish to include any other changes in the same PR. This " +"will help because many committers are less willing to assign maintainership " +"to someone who does not have a known track record with FreeBSD. Submitting " +"PRs that fix build errors or update ports are the best ways to establish one." +msgstr "" +"여러분은 원한다면 관리되지 않는 포트의 관리 권한을 언제든지 요청할 수 있습니" +"다. 그냥 MAINTAINER을 여러분의 이메일 주소로 설정하고 해" +"당 내용을 PR(Problem Report)로 보내 주세요. 포트에 빌드 에러가 있거나 업데이" +"트가 필요하다면, 같은 PR에 그러한 수정 내용을 포함해도 좋습니다. 많은 커미터" +"들은 FreeBSD에 남긴 흔적이 없는 누군가에게 관리 권한을 부여하고 싶어하지 않" +"기 때문에, 이는 도움이 되는 행동일 것입니다. 빌드 오류를 고치거나 포트를 업" +"데이트하는 PR을 제출하는 것은 이러한 흔적을 남기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558 +msgid "" +"File your PR with category ports and class " +"change-request. A committer will examine your PR, commit " +"the changes, and finally close the PR. Sometimes this process can take a " +"little while (committers are volunteers, too :)." +msgstr "" +"여러분의 PR을 ports 카테고리와 change-request 클래스로 설정한 뒤 제출해 주세요. 커미터가 여러분의 PR을 검토하고, " +"수정 사항을 커밋하고, 마침내 PR을 종료시킬 것입니다. 이 과정은 종종 시간이 " +"걸릴 수도 있습니다(커미터들 역시 자원봉사자들입니다 :)."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567 +msgid "The challenge for port maintainers" +msgstr "포트 관리자를 위한 도전 과제"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569 +msgid "" +"This section will give you an idea of why ports need to be maintained and " +"outline the responsibilities of a port maintainer." +msgstr "" +"이 항목은 포트가 관리되어야 하는 이유 및 포트 관리자의 책임에 대해 설명해줄 "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3/title +#: article.translate.xml:574 +msgid "Why ports require maintenance" +msgstr "포트의 관리가 필요한 이유"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576 +msgid "" +"Creating a port is a once-off task. Ensuring that a port is up to date and " +"continues to build and run requires an ongoing maintenance effort. " +"Maintainers are the people who dedicate some of their time to meeting these " +"goals." +msgstr "" +"포트를 만드는 일은 일회성 작업입니다. 포트가 최신 상태인지, 그리고 빌드 및 " +"실행이 문제없이 되는지를 확인하는 일은 지속적인 관리 노력이 필요합니다. 관리" +"자는 그들의 시간 중 일부를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투자하는 사람들입니다."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581 +msgid "" +"The foremost reason ports need maintenance is to bring the latest and " +"greatest in third party software to the FreeBSD community. An additional " +"challenge is to keep individual ports working within the Ports Collection " +"framework as it evolves." +msgstr "" +"포트에 관리가 필요한 가장 주요한 이유는 FreeBSD 커뮤니티에 최신의 많은 3rd " +"party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추가적인 목표는 각각의 포트들이 지속" +"적으로 개선되어도 계속 포트 컬렉션 프레임워크 안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유지시" +"키기 위함입니다." + +#. (itstool) path: sect3/para +#: article.translate.xml:587 +msgid "As a maintainer, you will need to manage the following challenges:" +msgstr "관리자로서, 여러분은 다음의 도전 과제들을 담당할 필요가 있습니다:" + +#. (itstool) path: formalpara/title +#: article.translate.xml:593 +msgid "New software versions and updates." +msgstr "새로운 소프트웨어 버전 및 업데이트." + +#. (itstool) path: formalpara/para +#: article.translate.xml:595 +msgid "" +"New versions and updates of existing ported software become available all " +"the time, and these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Ports Collection in " +"order to provide up-to-date software." +msgstr "" +"포팅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새로운 버전과 업데이트가 있을 수 있고, " +"최신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들은 포트 컬렉션에 포함될 필요가 있습니" +"다." + +#. (itstool) path: formalpara/title +#: article.translate.xml:604 +msgid "Changes to dependencies." +msgstr "종속된 포트가 수정되었을 경우." + +#. (itstool) path: formalpara/para +#: article.translate.xml:606 +msgid "" +"If significant changes are made to the dependencies of your port, it may " +"need to be updated so that it will continue to work correctly." +msgstr "" +"여러분의 포트에 종속된 포트가 크게 수정되었을 경우, 여러분의 포트 역시 올바르" +"게 동작하기 위해 업데이트되어야 할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formalpara/title +#: article.translate.xml:614 +msgid "Changes affecting dependent ports." +msgstr "종속된 포트에 영향을 미치는 수정 사항들." + +#. (itstool) path: formalpara/para +#: article.translate.xml:616 +msgid "" +"If other ports depend on a port that you maintain, changes to your port may " +"require coordination with other maintainers." +msgstr "" +"만일 여러분이 관리하는 포트에 다른 포트가 의존하고 있다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 +"포트를 수정하기 위해 다른 관리자들과 공동 작업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 (itstool) path: formalpara/title +#: article.translate.xml:624 +msgid "Interaction with other users, maintainers and developers." +msgstr "다른 사용자, 관리자 및 개발자와의 소통." + +#. (itstool) path: formalpara/para +#: article.translate.xml:627 +msgid "" +"Part of being a maintainer is taking on a support role. You are not expected " +"to provide general support (but we welcome it if you choose to do so). What " +"you should provide is a point of coordination for FreeBSD-specific issues " +"regarding your ports." +msgstr "" +"관리자로서의 역할 중 하나는 지원자의 역할입니다. 일반적인 지원을 제공해야 " +"할 필요는 없습니다 (여러분이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환영할 것입니다). 여러분" +"이 제공해야 하는 것은 FreeBSD 환경에서 여러분의 포트에 나타나는 특정한 문제들" +"의 해결에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 +#. (itstool) path: formalpara/title +#: article.translate.xml:637 +msgid "Bug hunting." +msgstr "버그 추적하기." + +#. (itstool) path: formalpara/para +#: article.translate.xml:639 +msgid "" +"A port may be affected by bugs which are specific to FreeBSD. You will need " +"to investigate, find, and fix these bugs when they are reported. Thoroughly " +"testing a port to identify problems before they make their way into the " +"Ports Collection is even better." +msgstr "" +"포트는 FreeBSD 환경에서 특정하게 나타나는 버그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여러분은 그러한 버그들이 제보되었을 때 조사하고, 찾아내고, 이들을 고쳐야 합니" +"다. 포트 컬렉션에 넣기 전에 포트를 전체적으로 테스트해보는 것은 더욱 좋습니" +"다." + +#. (itstool) path: formalpara/title +#: article.translate.xml:649 +msgid "Changes to ports infrastructure and policy." +msgstr "포트의 기반 및 정책의 수정" + +#. (itstool) path: formalpara/para +#: article.translate.xml:651 +msgid "" +"Occasionally the systems that are used to build ports and packages are " +"updated or a new recommendation affecting the infrastructure is made. You " +"should be aware of these changes in case your ports are affected and require " +"updating." +msgstr "" +"때때로 포트와 패키지를 빌드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이 업데이트되거나 그 기반" +"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제안이 나오기도 합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포트가 영" +"향을 받아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게 될 경우를 위해 이러한 변화에 대해 알고 있어" +"야 합니다." + +#. (itstool) path: formalpara/title +#: article.translate.xml:661 +msgid "Changes to the base system." +msgstr "베이스 시스템의 수정." + +#. (itstool) path: formalpara/para +#: article.translate.xml:663 +msgid "" +"FreeBSD is under constant development. Changes to software, libraries, the " +"kernel or even policy changes can cause flow-on change requirements to ports." +msgstr "" +"FreeBSD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커널 또는 심" +"지어 정책이 바뀌면 포트 역시 자연스럽게 수정이 필요해질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3/title +#: article.translate.xml:672 +msgid "Maintainer responsibilities" +msgstr "관리자로서의 책임" + +#. (itstool) path: sect4/title +#: article.translate.xml:675 +msgid "Keep your ports up to date" +msgstr "여러분의 포트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세요"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677 +msgid "" +"This section outlines the process to follow to keep your ports up to date." +msgstr "" +"이 항목은 여러분의 포트를 최신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 +"다."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680 +msgid "" +"This is an overview. More information about upgrading a port is available in " +"the Porter's Handbook." +msgstr "" +"이것은 개괄적인 내용입니다. 포트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 +"는 Porter's Handbook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687 +msgid "Watch for updates" +msgstr "업데이트 지켜보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689 +msgid "" +"Monitor the upstream vendor for new versions, updates and security fixes for " +"the software. Announcement mailing lists or news web pages are useful for " +"doing this. Sometimes users will contact you and ask when your port will be " +"updated. If you are busy with other things or for any reason just cannot " +"update it at the moment, ask if they will help you by submitting an update." +msgstr ""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버전, 업데이트 그리고 보안 수정 사항을 위해 upstream " +"vendor를 주시하세요. 이를 위해서 announcement 메일링 리스트 또는 뉴스 웹 페" +"이지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용자들이 종종 여러분에게 연락해서 여러분의 포트" +"가 언제 업데이트될 것인지에 대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다른 이유" +"로 바쁘거나 지금 업데이트할 수 없는 어떤 이유가 있다면, 그들에게 업데이트 제" +"출을 도와줄 수 있는지 요청해 보세요."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698 +msgid "" +"You may also receive automated email from the FreeBSD Ports Version " +"Check informing you that a newer version of your port's distfile " +"is available. More information about that system (including how to stop " +"future emails) will be provided in the message." +msgstr "" +"여러분은 또한 FreeBSD Ports Version Check로부터 여러분의 " +"포트에 대한 새 버전의 distfile이 사용 가능하다는 자동 이메일을 받을 수도 있습" +"니다. 그 시스템에 대한 (앞으로의 이메일을 그만 받는 방법을 포함한) 더 많은 " +"정보는 해당 메시지에 제공될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707 +msgid "Incorporate changes" +msgstr "수정 사항을 적용시키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709 +msgid "" +"When they become available, incorporate the changes into the port. You need " +"to be able to generate a patch between the original port and your updated " +"port." +msgstr "" +"변경 사항이 사용 가능해지면, 포트에 적용시켜 주세요. 원본 포트와 업데이트된 " +"포트 사이의 패치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715 +msgid "Review and test" +msgstr "검토 및 테스트하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717 +msgid "Thoroughly review and test your changes:" +msgstr "여러분의 수정 사항 전체를 검토하고 테스트해보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721 +msgid "" +"Build, install and test your port on as many platforms and architectures as " +"you can. It is common for a port to work on one branch or platform and fail " +"on another." +msgstr "" +"가능한 많은 플랫폼과 아키텍처에서 여러분의 포트를 빌드, 설치 그리고 테스트해" +"보세요. 하나의 브랜치 혹은 플랫폼에서 잘 작동하던 포트가 다른 곳에서 실패하" +"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728 +msgid "" +"Make sure your port's dependencies are complete. The recommended way of " +"doing this is by installing your own ports tinderbox. See resources for more " +"information." +msgstr "" +"여러분의 포트의 의존성 관계가 완전한지 점검해 주세요. 권장되는 방법은 여러분" +"의 포트를 tinderbox로 설치해 보는 것입니다. 더 자" +"세한 정보를 위해서는 resources를 참조해 주" +"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736 +msgid "" +"Check that the packing list is up to date. This involves adding in any new " +"files and directories and removing unused entries." +msgstr "" +"패킹 리스트가 최신 상태인지 확인하세요. 이는 새로운 파일 및 디렉토리를 추가" +"하는 일과 사용되지 않는 내용을 제거하는 일을 포함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742 +msgid "" +"Verify your port using portlint1 as a guide. See resources " +"for important information about using portlint." +msgstr "" +"portlint1를 이용하여 여러분의 포" +"트를 검토하세요. portlint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 +"중요한 사항을 위해서는 resources를 참조하" +"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749 +msgid "" +"Consider whether changes to your port might cause any other ports to break. " +"If this is the case, coordinate the changes with the maintainers of those " +"ports.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if your update changes the shared " +"library version; in this case, at the very least, the dependent ports will " +"need to get a PORTREVISION bump so that they will " +"automatically be upgraded by automated tools such as " +"portmaster or portupgrade1." +msgstr "" +"여러분의 포트에 대한 수정 사항이 다른 포트를 고장내는 일이 있을지에 대해 고려" +"해 주세요. 만약 그럴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포트의 관리자와 수정 내용" +"을 조율해 주세요. 이는 여러분의 업데이트가 shared library의 버전에 수정을 가" +"하는 경우에 특히 중요합니다; 이 경우, 적어도, 종속된 포트는 " +"PORTREVISION bump를 얻어서 portmaster 또는 portupgrade1와 같은 자동화된 도구에 " +"의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765 article.translate.xml:915 +msgid "Submit changes" +msgstr "수정 내용 제출하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767 +msgid "" +"Send your update by submitting a PR with an explanation of the changes and a " +"patch conta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port and the updated " +"one. Please refer to Writing FreeBSD Problem Reports " +"for information on how to write a really good PR." +msgstr "" +"수정 사항에 대한 설명 및 원본과 수정본 사이의 변경 내역을 포함한 패치를 담은 " +"PR을 통해 여러분의 업데이트를 보내 주세요. 좋은 PR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내" +"용은 Writing FreeBSD Problem Reports를 참조해 주세요." + +#. (itstool) path: note/para +#: article.translate.xml:775 +msgid "" +"Please do not submit a shar1 archive of the entire " +"port; instead, use diff1 -ruN. In this way, committers can much more easily see exactly what " +"changes are being made. The Porter's Handbook section on Upgrading has more information." +msgstr "" +"포트 전체에 대한 shar1 아카이브를 제출하지는 " +"말아 주세요; 그 대신에, diff1 -ruN" +"를 사용해 주세요. 이렇게 하면, 정확히 무엇이 수정되었는지 커미터들이 훨씬 쉽" +"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orter's Handbook에 있는 Upgrading 항목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785 +msgid "Wait" +msgstr "기다리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787 +msgid "" +"At some stage a committer will deal with your PR. It may take minutes, or it " +"may take weeks — so please be patient." +msgstr "" +"때가 되면 커미터가 여러분의 PR을 담당할 것입니다. 이는 몇 분, 또는 몇 주가 " +"소요될 수 있습니다 — 그러므로 그동안 기다려 주세요."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793 +msgid "Give feedback" +msgstr "피드백하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795 +msgid "" +"If a committer finds a problem with your changes, they will most likely " +"refer it back to you. A prompt response will help get your PR committed " +"faster, and is better for maintaining a thread of conversation when trying " +"to resolve any problems." +msgstr "" +"만약 커미터가 여러분의 수정 사항에서 문제점을 찾아내면, 그들은 대체로 여러분" +"에게 다시 알려줄 것입니다. 신속한 답변은 여러분의 PR이 빨리 커밋되는 데 도움" +"이 되고,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대화의 흐름을 유지하는 데에도 좋습니다."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803 +msgid "And Finally" +msgstr "그리고 마지막으로"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805 +msgid "" +"Your changes will be committed and your port will have been updated. The PR " +"will then be closed by the committer. That's it!" +msgstr "" +"여러분의 수정 사항이 커밋되고 여러분의 포트가 업데이트될 것입니다. 그런 다" +"음 PR은 커미터에 의해 닫힐 것입니다. 그것으로 끝입니다!" + +#. (itstool) path: sect4/title +#: article.translate.xml:813 +msgid "Ensure your ports continue to build correctly" +msgstr "여러분의 포트가 지속적으로 올바르게 빌드되는지를 확인해 주세요"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815 +msgid "" +"This section is about discovering and fixing problems that stop your ports " +"from building correctly." +msgstr "" +"이 항목은 포트가 올바르게 빌드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를 찾아내고 고치는 방법" +"에 대한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818 +msgid "" +"FreeBSD only guarantees that the Ports Collection works on the -" +"STABLE branches. In theory, you should be able to get by with " +"running the latest release of each stable branch (since the ABIs are not " +"supposed to change) but if you can run the branch, that is even better." +msgstr "" +"FreeBSD는 포트 컬렉션이 -STABLE 가지에서 동작하는 것만을 " +"보장합니다. FreeBSD는 포트 컬렉션이 -STABLE 가지에서 동작" +"하는 것만을 보장합니다."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826 +msgid "" +"Since the majority of FreeBSD installations run on PC-compatible machines " +"(what is termed the i386 architecture), we expect you to " +"keep the port working on that architecture. We prefer that ports also work " +"on the amd64 architecture running native. It is " +"completely fair to ask for help if you do not have one of these machines." +msgstr "" +"FreeBSD 설치본의 대부분은 (i386 아키텍처라고 불리는) PC-호" +"환 기종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우리는 여러분이 포트를 그 아키텍처에서 동작하도" +"록 작업할 것을 기대합니다. 포트가 amd64 아키텍처에서 네이" +"티브로 동작한다면 더욱 좋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이러한 기종을 가지고 있지 않" +"다면 얼마든지 도움을 요청해도 괜찮습니다." + +#. (itstool) path: note/para +#: article.translate.xml:835 +msgid "" +"The usual failure modes for non-x86 machines are that the " +"original programmers assumed that, for instance, pointers are ints, or that a relatively lax older gcc " +"compiler was being used. More and more, application authors are reworking " +"their code to remove these assumptions — but if the author is not actively " +"maintaining their code, you may need to do this yourself." +msgstr "" +"x86 이외의 장치에서의 빌드 실패에 대한 대부분의 이유는 프" +"로그램 작성자가, 예를 들어, 포인터를 int로 가정했거나, 또" +"는 상대적으로 오래된 gcc 컴파일러가 사용된 경우입" +"니다. 점점 더 많은 프로그램 작성자들은 이러한 가정을 제거하기 위해 그들의 코" +"드에 대해 재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작성자가 그들의 코드를 적극적으로 " +"유지보수하지 않는다면, 여러분은 스스로 이 일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846 +msgid "" +"These are the tasks you need to perform to ensure your port is able to be " +"built:" +msgstr "" +"여러분의 포트가 성공적으로 빌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분은 다음의 작업을 " +"해야 합니다:"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851 +msgid "Watch for build failures" +msgstr "빌드 실패 주시하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853 +msgid "" +"Check your mail for mail from pkg-fallout@FreeBSD.org and " +"the distfiles scanner to see if any of the port which are failing to build are out of date." +msgstr "" +"빌드에 실패하거나 오래된 포트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pkg-" +"fallout@FreeBSD.orgdistfiles scanner로부터의 메일을 확인해 주세요."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861 article.translate.xml:977 +msgid "Collect information" +msgstr "정보 모으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863 +msgid "" +"Once you are aware of a problem, collect information to help you fix it. " +"Build errors reported by pkg-fallout are accompanied by " +"logs which will show you where the build failed. If the failure was reported " +"to you by a user, ask them to send you information which may help in " +"diagnosing the problem, such as:" +msgstr "" +"여러분이 문제점을 인식하면, 그것을 고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모으세요. 여" +"러분이 문제점을 인식하면, 그것을 고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모으세요. 만" +"약 그러한 빌드 실패가 사용자에 의해 여러분에게 보고되었다면, 문제점을 진단하" +"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요청하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873 +msgid "Build logs" +msgstr "빌드 로그"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877 +msgid "" +"The commands and options used to build the port (including options set in " +"/etc/make.conf)" +msgstr "" +"포트를 빌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 및 옵션들 (/etc/make.conf에 세팅된 옵션들을 포함)"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883 +msgid "" +"A list of packages installed on their system as shown by " +"pkg_info1" +msgstr "" +"pkg_info1를 통해 보여지는, 그들의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들의 " +"목록"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888 +msgid "" +"The version of FreeBSD they are running as shown by " +"uname1 -a" +msgstr "" +"uname1 -a을 통해 보여지는, 그들의 현재 FreeBSD의 버" +"전"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893 +msgid "When their ports collection was last updated" +msgstr "그들의 포트 컬렉션이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때"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898 +msgid "When their ports tree and INDEX was last updated" +msgstr "" +"그들의 포트 트리와 INDEX가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때"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905 +msgid "Investigate and find a solution" +msgstr "문제점을 조사하고 해결책을 찾아보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907 +msgid "" +"Unfortunately there is no straightforward process to follow to do this. " +"Remember, though: if you are stuck, ask for help! The FreeBSD ports " +"mailing list is a good place to start, and the upstream developers " +"are often very helpful." +msgstr "" +"불행히도 이를 위한 간단한 프로세스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기억하세요: 뭔가 " +"잘 안 풀린다면, 도움을 요청하세요! FreeBSD 포트 메일링 리스트는 시작" +"하기에 좋은 곳이고, 상부의 개발자들은 대개 대단히 잘 도와줍니다."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917 +msgid "" +"Just as with updating a port, you should now incorporate changes, review and " +"test, submit your changes in a PR, and provide feedback if required." +msgstr "" +"포트를 업데이트할 때와 마찬가지로, 여러분은 이제 수정 사항을 적용하고, 검토하" +"고 테스트하고, PR로 수정 사항을 제출하고, 필요하다면 피드백을 제공해야 합니" +"다."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924 +msgid "Send patches to upstream authors" +msgstr "상부의 저자에게 패치 보내주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926 +msgid "" +"In some cases, you will have to make patches to the port to make it run on " +"FreeBSD. Some (but not all) upstream authors will accept such patches back " +"into their code for the next release. If so, this may even help their users " +"on other BSD-based systems as well and perhaps save duplicated effort. " +"Please consider sending any applicable patches to the authors as a courtesy." +msgstr "" +"특정한 경우에, 여러분은 포트가 FreeBSD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패치를 만들어" +"야 합니다. 일부 (그러나 모두는 아닌) 상부의 작성자들은 다음 릴리즈에 그러한 " +"패치를 그들의 코드에 반영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는 다른 BSD 기반 시스" +"템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중복된 작업을 할 노력을 절약해줄 수도 " +"있습니다. 적용 가능한 패치를 작성자에게 보내 주는 호의를 베푸는 것을 고려해 " +"보세요." + +#. (itstool) path: sect4/title +#: article.translate.xml:940 +msgid "Investigate bug reports and PRs related to your port" +msgstr "여러분의 포트에 관련된 버그 보고와 PR을 살펴 보세요"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943 +msgid "This section is about discovering and fixing bugs." +msgstr "이 항목은 버그를 찾아내고 고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946 +msgid "" +"FreeBSD-specific bugs are generally caused by assumptions about the build " +"and runtime environments that do not apply to FreeBSD. You are less likely " +"to encounter a problem of this type, but it can be more subtle and difficult " +"to diagnose." +msgstr "" +"FreeBSD에 특정한 버그는 일반적으로 FreeBSD에는 적용되지 않는 빌드 및 런타임 " +"환경을 가정하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여러분이 이런 유형의 문제를 마주하게 될 " +"가능성은 낮지만, 이것은 더 미묘한 문제이며 찾아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952 +msgid "" +"These are the tasks you need to perform to ensure your port continues to " +"work as intended:" +msgstr "" +"여러분의 포트가 의도한 대로 계속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분은 다음의 작업들" +"을 해야 합니다:"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957 +msgid "Respond to bug reports" +msgstr "버그 보고에 응답하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959 +msgid "" +"Bugs may be reported to you through email via the Problem Report database. Bugs may also be " +"reported directly to you by users." +msgstr "" +"버그는 Problem Report " +"database를 통한 이메일로 여러분에게 보고될 것입니다. 버그는 또한 사용" +"자들에 의해 여러분에게 직접적으로 보고될 수도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964 +msgid "" +"You should respond to PRs and other reports within 14 days, but please try " +"not to take that long. Try to respond as soon as possible, even if it is " +"just to say you need some more time before you can work on the PR." +msgstr "" +"여러분은 PR 및 다른 보고에 대해 14일 이내로 응답해야 합니다만, 그렇게 오래 걸" +"리지는 않도록 노력해 주세요. 단지 여러분이 해당 PR에 대해 작업하기까지 시간" +"이 더 필요하다는 답장만이라도, 가능한 한 빨리 응답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세요."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970 +msgid "" +"If you have not responded after 14 days, any committer may commit from a PR " +"that you have not responded to via a maintainer-timeout." +msgstr "" +"만약 여러분이 14일이 지나도록 응답하지 않았다면, 다른 커미터는 " +"maintainer-timeout을 통해 여러분이 응답하지 않은 PR로부터 " +"커밋할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979 +msgid "" +"If the person reporting the bug has not also provided a fix, you need to " +"collect the information that will allow you to generate one." +msgstr "" +"만약 버그를 보고한 사람이 수정 사항을 제공하지 않았다면, 여러분은 그 수정을 " +"하기 위한 정보를 모을 필요가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983 +msgid "" +"If the bug is reproducible, you can collect most of the required information " +"yourself. If not, ask the person who reported the bug to collect the " +"information for you, such as:" +msgstr "" +"만약 버그를 재현할 수 있다면, 여러분은 필요한 정보의 대부분을 스스로 모을 수 "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버그를 보고한 사람에게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모아줄 " +"것을 요청하세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990 +msgid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ir actions, expected program behavior and " +"actual behavior" +msgstr "그들의 행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 예상했던 프로그램의 행동과 실제 행동"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995 +msgid "Copies of input data used to trigger the bug" +msgstr "버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입력했던 데이터의 복사본"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000 +msgid "" +"Information about their build and execution environment — for example, a " +"list of installed packages and the output of " +"env1" +msgstr "" +"그들의 빌드 및 실행 환경에 대한 정보 — 예를 들어, 설치된 패키지들의 목록과 " +"env1의 출력값"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006 +msgid "Core dumps" +msgstr "Core dumps"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010 +msgid "Stack traces" +msgstr "Stack traces"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1016 +msgid "Eliminate incorrect reports" +msgstr "잘못된 보고를 배제하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1018 +msgid "" +"Some bug reports may be incorrect. For example, the user may have simply " +"misused the program; or their installed packages may be out of date and " +"require updating. Sometimes a reported bug is not specific to FreeBSD. In " +"this case report the bug to the upstream developers. If the bug is within " +"your capabilities to fix, you can also patch the port so that the fix is " +"applied before the next upstream release." +msgstr "" +"일부 버그 제보는 잘못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순히 프로그" +"램을 잘못 사용했을 수 있습니다; 또는 그들이 설치한 패키지가 오래되었고 업데이" +"트를 필요로 하는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종종 제보된 버그는 FreeBSD에 국한되" +"는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upstream 개발자에게 버그를 제보해 주" +"세요. 만약 여러분이 고칠 수 있을 만한 버그라면, 다음 upstream 릴리즈가 배포" +"되기 전에 여러분이 직접 포트를 패치해서 수정 사항을 적용시켜도 됩니다."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1029 +msgid "Find a solution" +msgstr "해결책을 찾아보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1031 +msgid "" +"As with build errors, you will need to sort out a fix to the problem. Again, " +"remember to ask if you are stuck!" +msgstr "" +"빌드 오류와 마주쳤다면, 여러분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아볼 필요가 있" +"을 것입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겠습니다, 뭔가 잘 안 풀린다면 도움을 요청하세" +"요!" + +#. (itstool) path: step/title +#: article.translate.xml:1037 +msgid "Submit or approve changes" +msgstr "수정 사항을 제출하거나 승인하기" + +#. (itstool) path: step/para +#: article.translate.xml:1039 +msgid "" +"Just as with updating a port, you should now incorporate changes, review and " +"test, and submit your changes in a PR (or send a follow-up if a PR already " +"exists for the problem). If another user has submitted changes in the PR, " +"you can also send a follow-up saying whether or not you approve the changes." +msgstr "" +"포트를 업데이트할 때와 마찬가지로, 여러분은 이제 수정 사항을 적용시키고, 검" +"토 및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내용을 PR로 제출(또는 해당 문제점에 대해 이미 존" +"재하는 PR에 follow-up을 제출)해야 합니다. 다른 사용자가 이미 PR로 변경 사항" +"을 제출했다면, 여러분은 그 변경 사항에 대한 승인 여부를 말하는 follow-up을 보" +"낼 수도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4/title +#: article.translate.xml:1050 +msgid "Providing support" +msgstr "지원을 제공해 주세요"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1052 +msgid "" +"Part of being a maintainer is providing support — not for the software in " +"general — but for the port and any FreeBSD-specific quirks and problems. " +"Users may contact you with questions, suggestions, problems and patches. " +"Most of the time their correspondence will be specific to FreeBSD." +msgstr "" +"관리자로서의 역할 중 하나는 지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이는 소프트웨어 자체" +"에 대한 일반적인 지원이 아니라 — 포트 그리고 FreeBSD에 특정한 특이 사항과 문" +"제점에 대한 지원을 의미합니다. 사용자들은 질문, 제안, 문제점 그리고 패치에 " +"대해서 여러분에게 연락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그러한 연락들은 FreeBSD" +"에 특정한 내용들일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1059 +msgid "" +"Occasionally you may have to invoke your skills in diplomacy, and kindly " +"point users seeking general support to the appropriate resources. Less " +"frequently you will encounter a person asking why the RPMs are not up to date or how can they get the software to run under " +"Foo Linux. Take the opportunity to tell them that your port is up to date " +"(if it is, of course!), and suggest that they try FreeBSD." +msgstr "" +"종종 여러분은 외교적 수완을 발휘해서, 일반적인 지원을 찾는 사람들에게 적절한 " +"리소스를 알려 주어야 합니다. 이보다는 덜 자주 있는 일이지만, 여러분은 " +"RPM이 왜 최신 상태가 아닌지 또는 소프트웨어를 아무개 리눅" +"스에서 어떻게 실행시키는지에 대해 묻는 사람과 마주칠 수도 있습니다. 그들에" +"게 여러분의 포트가 최신 상태임을 알리고(물론, 그럴 경우에만요!), 그들에게 " +"FreeBSD를 사용해볼 것을 권하는 기회를 잡아 보세요."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1068 +msgid "" +"Sometimes users and developers will decide that you are a busy person whose " +"time is valuable and do some of the work for you. For example, they might:" +msgstr "" +"종종 사용자와 개발자들은 여러분을 (여러분의 시간을 귀중히 여기는) 바쁜 사람으" +"로 여기고 여러분을 위해 약간의 일을 해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들은 다" +"음과 같은 일들을 해줄 수도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074 +msgid "submit a PR or send you patches to update your port," +msgstr "여러분의 포트를 업데이트하는 PR을 제출하거나 패치를 보내주는 일,"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079 +msgid "investigate and perhaps provide a fix to a PR, or" +msgstr "조사하고 아마도 PR에 고친 내용을 제공하는 일, 또는"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084 +msgid "otherwise submit changes to your port." +msgstr "아니면 여러분의 포트에 대한 수정 사항을 제출하는 일."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1088 +msgid "" +"In these cases your main obligation is to respond in a timely manner. Again, " +"the timeout for non-responsive maintainers is 14 days. After this period " +"changes may be committed unapproved. They have taken the trouble to do this " +"for you; so please try to at least respond promptly. Then review, approve, " +"modify or discuss their changes with them as soon as possible." +msgstr "" +"이러한 경우에 여러분의 주요 의무는 적절한 때에 응답하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 +"강조합니다, 관리자의 무응답에 대한 제한 시간은 14일입니다. 이 기간이 지마면 " +"수정 사항은 미승인 상태(unapproved)로 커밋될 것입니다. 그들은 여러분을 위해 " +"이 일을 하는 수고를 했습니다; 그러므로 최소한 신속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노력" +"해 주세요. 그리고 나서 가급적 빨리 이를 검토하고, 승인하고, 그들과 함께 수" +"정 사항을 다듬거나 이에 대해 논의해 주세요." + +#. (itstool) path: sect4/para +#: article.translate.xml:1096 +msgid "" +"If you can make them feel that their contribution is appreciated (and it " +"should be) you will have a better chance persuading them to do more things " +"for you in the future :-)." +msgstr "" +"만약 여러분이 그들의 기여에 감사를 표한다면 (물론 그래야 합니다만) 앞으로 그" +"들이 여러분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해줄 수도 있을 것입니다 :-)."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1105 +msgid "Finding and fixing a broken port" +msgstr "고장난 포트를 찾아내고 고치기"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07 +msgid "" +"There are two really good places to find a port that needs some attention." +msgstr "관심이 필요한 포트를 찾아보기에 정말 좋은 두 개의 장소가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10 +msgid "" +"You can use the web " +"interface to the Problem Report database to search through and view " +"unresolved PRs. The majority of ports PRs are updates, but with a little " +"searching and skimming over synopses you should be able to find something " +"interesting to work on (the sw-bug class is a good place " +"to start)." +msgstr "" +"여러분은 해결되지 않은 PR들을 찾아보기 위해 Problem Report 데이터베이스의 " +"웹 인터페이스를 사" +"용할 수 있습니다. 포트 PR의 대부분은 업데이트이지만, 요약된 내용을 조금만 훑" +"어보면 여러분은 흥미로운 일거리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sw-bug 클래스는 시작하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18 +msgid "" +"The other place is the FreeBSD Ports Monitoring System. In particular look for " +"unmaintained ports with build errors and ports that are marked " +"BROKEN. It is OK to send changes for a maintained port as " +"well, but remember to ask the maintainer in case they are already working on " +"the problem." +msgstr "" +"다른 장소는 FreeBSD Ports " +"Monitoring System입니다. 빌드 오류가 있고 관리되지 않는 포트와 " +"BROKEN이라고 표시된 포트에 특히 유의해서 살펴 보세요. 이" +"미 관리되고 있는 포트에 대한 수정 사항을 제출하는 것도 괜찮지만, 관리자가 이" +"미 같은 문제에 대해 작업하고 있는지 물어 보아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25 +msgid "" +"Once you have found a bug or problem, collect information, investigate and " +"fix! If there is an existing PR, follow up to that. Otherwise create a new " +"PR. Your changes will be reviewed and, if everything checks out, committed." +msgstr "" +"여러분이 버그나 문제점을 발견했다면, 정보를 모으고, 분석한 뒤 고쳐 보세요! " +"이미 PR이 존재한다면, 같이 협력하세요. 그렇지 않다면 새로운 PR을 생성하세" +"요. 여러분의 수정 사항은 검토되고 나서, 만약 모든 것이 괜찮다면, 커밋될 것입" +"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1132 +msgid "When to call it quits" +msgstr "그만두어야 할 때"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34 +msgid "" +"As your interests and commitments change, you may find that you no longer " +"have time to continue some (or all) of your ports contributions. That is " +"fine! Please let us know if you are no longer using a port or have otherwise " +"lost time or interest in being a maintainer. In this way we can go ahead and " +"allow other people to try to work on existing problems with the port without " +"waiting for your response. Remember, FreeBSD is a volunteer project, so if " +"maintaining a port is no fun any more, it is probably time to let someone " +"else do it!" +msgstr "" +"여러분의 흥미와 상황이 변함에 따라, 여러분은 여러분의 포트에 대한 일부 (또는 " +"모든) 기여를 계속할 시간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괜찮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더" +"이상 포트를 사용하지 않거나 투자할 시간이 없거나 관리자로서의 흥미를 잃었다" +"면 우리에게 알려 주세요. 그러면 우리는 일을 진행하면서 여러분의 답변을 기다" +"리지 않고 포트의 문제들에 다른 사람들이 작업하도록 허락할 수 있습니다. 기억" +"하세요, FreeBSD는 자원봉사자들에 의한 프로젝트입니다, 그러므로 포트를 관리하" +"는 일이 이제 재미없다면, 다른 누군가에게 넘겨줄 때입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44 +msgid "" +"In any case, the Ports Management Team (portmgr) reserves " +"the right to reset your maintainership if you have not actively maintained " +"your port in some time. (Currently, this is set to 3 months.) By this, we " +"mean that there are unresolved problems or pending updates that have not " +"been worked on during that time." +msgstr "" +"어느 경우에든지, 여러분이 일정 기간동안 여러분의 포트를 활동적으로 관리하지 " +"않았다면 포트 관리 팀(portmgr)은 여러분의 관리 권한을 초기" +"화시킬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이 기간은 3개월로 정해져 있습니다.) " +"이것은, 이 기간동안 해결되지 않은 문제나 미루어진 업데이트가 있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1153 +msgid "Resources for ports maintainers and contributors" +msgstr "포트 관리자와 기여자를 위한 자료"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55 +msgid "" +"The Porter's Handbook is your hitchhiker's guide to the ports " +"system. Keep it handy!" +msgstr "" +"Porter's Handbook은 포트 시스템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입니다. 곁에 두고 자주 살펴 보세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59 +msgid "" +"Writing FreeBSD Problem Reports describes how to best " +"formulate and submit a PR. In 2005 more than eleven thousand ports PRs were " +"submitted! Following this article will greatly assist us in reducing the " +"time needed to handle your PRs." +msgstr "" +"Writing FreeBSD Problem Reports은 훌륭한 PR을 작성하고 제출하는 방" +"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2005년에는 11000개 이상의 포트 PR이 제출되었습니" +"다! 이 글을 따라하는 것은 여러분의 PR을 다루는 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해 준다" +"는 점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65 +msgid "" +"The Problem Report database." +msgstr "" +" " +"Problem Report database."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68 +msgid "" +"The FreeBSD Ports " +"Monitoring System can show you cross-referenced information about " +"ports such as build errors and problem reports. If you are a maintainer you " +"can use it to check on the build status of your ports. As a contributor you " +"can use it to find broken and unmaintained ports that need to be fixed." +msgstr "" +"FreeBSD Ports Monitoring " +"System은 빌드 에러 또는 problem report와 같이 포트에 대한 상호 참조 정" +"보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관리자라면 이러한 정보를 여러분의 포트의 " +"빌드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tributor로서 여러분은 제대로 " +"동작하지 않고 관리되지 않아서 고쳐질 필요가 있는 포트를 찾아보는 데 사용할 "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75 +msgid "" +"The FreeBSD Ports distfile " +"scanner can show you ports for which the distfiles are not fetchable. " +"You can check on your own ports or use it to find ports that need their " +"MASTER_SITES updated." +msgstr "" +"FreeBSD Ports distfile " +"scanner는 distfiles를 다운로드할 수 없는 포트를 보여줍니다. 여러분은 " +"이를 여러분의 포트를 확인해 보거나 MASTER_SITES이 업데이트" +"될 필요가 있는 포트를 찾아보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81 +msgid "" +"ports-mgmt/poudriere is the most thorough way to test a " +"port through the entire cycle of installation, packaging, and " +"deinstallation. Documentation is located at the poudriere home page" +msgstr "" +"ports-mgmt/poudriere는 포트의 설치, 패키징, 그리고 제거까" +"지의 전 과정을 전체적으로 테스트해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관련된 문서는 " +"poudriere home " +"page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87 +msgid "" +"portlint1 is an application " +"which can be used to verify that your port conforms to many important " +"stylistic and functional guidelines. portlint is " +"a simple heuristic application, so you should use it only as a " +"guide. If portlint suggests changes " +"which seem unreasonable, consult the Porter's Handbook or ask " +"for advice." +msgstr "" +"portlint1는 여러분의 포트가 많은 " +"중요한 외형적 그리고 기능적 지침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사용되는 애" +"플리케이션입니다. portlint는 단순한 휴리스틱 애플" +"리케이션이기 때문에, 여러분은 이를 지침서의 역할로만 사" +"용해야 합니다. 만약 portlint가 합리적이지 않아 보" +"이는 수정을 제안한다면, Porter's Handbook를 참고하거나 도움을 요청하" +"세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1196 +msgid "" +"The FreeBSD ports mailing list is for general ports-related " +"discussion. It is a good place to ask for help. You can subscribe, or read and search " +"the list archives. Reading the archives of the FreeBSD " +"ports bugs mailing list and the FreeBSD CVS ports commit list may also be of interest." +msgstr "" +"FreeBSD ports mailing list는 포트와 관련된 일반적인 논의가 이루어지" +"는 곳입니다. 여기는 도움을 요청하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여러분은 구독하거나, 리스트 " +"아카이브를 읽어보고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FreeBSD ports bugs " +"mailing list와 FreeBSD CVS ports commit list의 아카이브를 읽어보" +"는 것도 흥미로울 수 있습니다." diff --git a/ko_KR.UTF-8/articles/explaining-bsd/Makefile b/ko_KR.UTF-8/articles/explaining-bsd/Makefile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2aabf8bd0d --- /dev/null +++ b/ko_KR.UTF-8/articles/explaining-bsd/Makefile @@ -0,0 +1,22 @@ +# The FreeBSD Korean Documentation Project +# +# $FreeBSD$ +# +# Article: Explaining BSD + +MAINTAINER=grog@FreeBSD.org + +DOC?= article + +FORMATS?= html +WITH_ARTICLE_TOC?= YES + +INSTALL_COMPRESSED?= gz +INSTALL_ONLY_COMPRESSED?= + +SRCS= article.xml + +URL_RELPREFIX?= ../../../.. +DOC_PREFIX?= ${.CURDIR}/../../.. + +.include "${DOC_PREFIX}/share/mk/doc.project.mk" diff --git a/ko_KR.UTF-8/articles/explaining-bsd/article.xml b/ko_KR.UTF-8/articles/explaining-bsd/article.xml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0e6c20aa0a --- /dev/null +++ b/ko_KR.UTF-8/articles/explaining-bsd/article.xml @@ -0,0 +1,286 @@ + + + + +
+ BSD에 대한 설명 + + + GregLehey
grog@FreeBSD.org
+ + + FreeBSD는 FreeBSD 재단의 등록 상표입니다. + AMD, AMD Athlon, AMD Opteron, AMD Phenom, AMD Sempron, AMD Turion, Athlon, Élan, Opteron, 그리고 PCnet은 Advanced Micro Devices, Inc.의 상표입니다. + Apple, AirPort, FireWire, iMac, iPhone, iPad, Mac, Macintosh, Mac OS, Quicktime, 그리고 TrueType은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등록된, Apple Inc.의 상표입니다. + Intel, Celeron, Centrino, Core, EtherExpress, i386, i486, Itanium, Pentium, 그리고 Xeon은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Intel Corporation 혹은 그 자회사의 상표 또는 등록 상표입니다. + Linux는 Linus Torvalds의 등록 상표입니다. + Motif, OSF/1, 그리고 UNIX는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The Open Group의 등록 상표입니다. IT DialTone과 The Open Group은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The Open Group의 상표입니다. + SPARC, SPARC64, 그리고 UltraSPARC는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SPARC International, Inc의 상표입니다. SPARC International, Inc는 SPARC 상표 모두를 소유하고 있으며 라이선스 협약 하에 계약자는 이 상표들의 적절한 사용을 허가받습니다. + Sun, Sun Microsystems, Java, Java Virtual Machine, JDK, JRE, JSP, JVM, Netra, OpenJDK, Solaris, StarOffice, SunOS 그리고 VirtualBox는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Sun Microsystems, Inc.의 상표 또는 등록 상표입니다. + UNIX는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들에서 등록된 The Open Group의 등록 상표입니다. + 생산자 및 판매자들이 그들의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많은 표기들은 상표권으로 보호받습니다. 이 문서에 그런 표기들이 나타날 때, FreeBSD 프로젝트는 그러한 상표권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표기 뒤에 또는 ® 기호를 사용합니다. + + + $FreeBSD$ + + $FreeBSD$ + + + 오픈 소스의 세계에서, 리눅스라는 단어는 운영체제라는 단어와 거의 동의어입니다. 하지만 리눅스만이 유일한 오픈 소스 UNIX 운영체제인 것은 아닙니다. Internet Operating System Counter에 따르면, 1999년 4월을 기준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세계의 컴퓨터들 중 31.3%가 리눅스를 구동시켰습니다. 14.6%는 BSD UNIX를 구동시켰습니다. Yahoo!와 같은 세계 최대 규모의 웹 관리 중 일부는 BSD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1999년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FTP 서버(지금은 중단되었습니다)였던 ftp.cdrom.com는 하루 1.4 TB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BSD를 사용했었습니다. 이것이 틈새 시장이 아닌 것은 분명합니다: BSD는 잘 유지되어 온 비밀입니다. + + 무엇이 비밀이라는 뜻일까요? 왜 BSD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을까요? 이 보고서는 이러한 의문과 다른 몇몇의 질문에 대한 것입니다. + + 이 보고서 전반에 걸쳐, BSD와 리눅스의 차이점은 이렇게 표기될 것입니다. + +
+ + + BSD는 무엇일까요? + + BSD는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을 나타냅니다. 이는 AT&T의 Research UNIX 운영체제의 확장판이었던,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의 소스 코드 배포판의 이름입니다. 몇몇 오픈 소스 운영체제들은 4.4BSD-Lite라고 알려진 이 소스 코드 릴리즈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게다가, 그 운영체제들은 GNU 프로젝트를 비롯한 다른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로부터 가져온 많은 패키지들도 포함합니다. 전체적인 운영체제는 다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 + 프로세스 스케줄링, 메모리 관리, 대칭형 다중 처리 (SMP), 장치 드라이버 등을 제어하는 BSD 커널. + + 리눅스 커널과는 다르게,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몇몇의 BSD 커널들이 존재합니다. + + + + 시스템의 기반 API인 C 라이브러리. + + BSD C 라이브러리는 GNU 프로젝트가 아니라 Berkeley의 코드를 기반으로 합니다. + + + + 쉘, 파일 유틸리티, 컴파일러, 링커와 같은 유틸리티들. + + 이들 중 일부는 GNU 프로젝트로부터 가져왔고, 다른 일부는 그렇지 않습니다. + + + +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X Window 시스템. + + 대다수의 BSD에서 사용하는 X Window 시스템은 X.Org project에 의해 관리됩니다. FreeBSD는 사용자가 Gnome, KDE, 또는 Xfce와 같은 데스크탑 환경 및 Openbox, Fluxbox, 또는 Awesome과 같은 가벼운 window manager를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 + + + 여러 다른 프로그램과 유틸리티들. + + + + + + 진짜 <trademark class="registered">UNIX</trademark>라고요? + + BSD 운영체제는 클론이 아니라, AT&T의 Research UNIX 운영체제(이는 현대의 UNIX System V의 조상이기도 합니다)의 오픈 소스 파생본입니다. 여러분은 이 사실에 놀랄지도 모릅니다. AT&T는 그 코드를 오픈 소스로 공개한 적이 없는데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었을까요? + + AT&T UNIX가 오픈 소스가 아니라는 것과, 상표권의 관점에서 BSD가 엄밀히는 UNIX아니라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AT&T는 캘리포니아에 있는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 속한 Computer Sciences Research Group (CSRG) 등의 다른 프로젝트로부터 소스를 가져와 사용했습니다. 1976년부터, CSRG는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또는 BSD라고 불린 그들의 소프트웨어 테이프를 배포하기 시작했습니다. + + 최초의 BSD 릴리즈는 대체로 사용자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그 구성은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DARPA)가 그들의 네트워크인 ARPANET에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개선하기 위해 CSRG와 계약을 맺은 이후 극적으로 변화했습니다. 새로운 프로토콜들은 Internet Protocols라고 알려졌으며,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들인 TCP/IP의 구성 요소가 되었습니다. 그 프로토콜의 구현이 최초로 널리 배포된 것은 1982년에 4.2BSD에 포함된 것이었습니다. + + 1980년대에, 많은 수의 새로운 워크스테이션 회사들이 갑자기 나타났습니다. 대다수는 그들만의 운영체제를 개발하는 것보다 UNIX를 라이선스받는 것을 선호했습니다. 특히 Sun Microsystems는 UNIX를 라이선스받아서 SunOS라고 불리는, 4.2BSD의 한 버전을 만들었습니다. AT&T가 UNIX를 상업적으로 판매하도록 허가받았을 때, 그들은 System III라고 불리는 구현을 바닥부터 시작했고, 이는 곧 System V로 발전했습니다. System V 코드는 네트워킹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구현은 TCP/IP 소프트웨어 및 csh 쉘이나 vi 에디터와 같은 추가적인 BSD 소프트웨어들을 포함했습니다. 이러한 기능 향상은 일괄적으로 Berkeley Extensions로 알려졌습니다. + + BSD 테이프는 AT&T 소스 코드를 포함했기 때문에 UNIX 소스 라이선스가 필요했습니다. 1990년에, CSRG의 재정은 바닥나고 있었고, 폐쇄를 앞두고 있었습니다. 모임의 일부 회원들은 오픈 소스였던 BSD 코드를 AT&T의 상업 코드 없이 릴리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마침내 Net/2라고 알려진 Networking Tape 2가 되었습니다. Net/2는 완전한 운영체제가 아니었습니다: 커널 코드의 약 20% 정도가 부족했습니다. CSRG 회원의 한 명이었던 William F. Jolitz는 부족했던 코드를 작성했고 1992년 초에 386BSD라는 이름으로 배포했습니다. 같은 시기에, 전 CSRG 회원들로 구성된 모임이 Berkeley Software Design Inc.라는 상업 회사를 조직했고, 386BSD와 같은 코드 기반을 가지는 운영체제 BSD/386의 베타 버전을 릴리즈했습니다. 이 운영체제의 이름은 나중에 BSD/OS로 바뀌었습니다. + + 386BSD는 안정적인 운영체제가 되지는 못했습니다. 그 대신, 1993년에 그로부터 두 개의 다른 프로젝트가 파생되었습니다: NetBSD와 FreeBSD가 그것입니다. 두 프로젝트는 386BSD의 개선을 기다리는 인내심의 차이에서 갈라졌습니다: NetBSD의 사람들은 새해 일찍 작업에 착수했고, FreeBSD의 첫 버전은 연말까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한편, 둘의 코드베이스는 다시 합쳐지기 어려울 정도로 크게 갈라졌습니다. 게다가, 각 프로젝트는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룰 것입니다). 1996년에, NetBSD로부터 OpenBSD가 갈라져 나왔고, 2003년에는 FreeBSD로부터 DragonFlyBSD가 갈라져 나왔습니다. + + + + 왜 BSD는 잘 알려지지 않았을까요? + + 여러 이유들로 인해, BSD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습니다: + + + + BSD 개발자들은 대개 홍보하는 일보다 코드를 개선하는 일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 + + + 리눅스 인기의 많은 부분은 언론 또는 리눅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등 리눅스 프로젝트 외부의 요인에 의한 것입니다. 최근까지, 오픈 소스 BSD는 그러한 후원자들이 없었습니다. + + + + BSD 개발자들은 리눅스 개발자들보다 더 숙련된 경향이 있고, 시스템을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덜 관심있어합니다. 초보자들은 리눅스를 좀더 편안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 + 1992년에, AT&T는 BSD/386의 공급자인 BSDI를 고소했는데, 해당 제품이 AT&T가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1994년에 그 소송은 타협을 보기로 합의하는 것으로 일단락되었지만, 그 소송의 유령은 사람들을 계속 괴롭혔습니다. 2000년 3월에 들어 웹에 게시된 글은 해당 소송 사건이 최근에 해결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 + 소송에서 분명해진 한 가지 요소는 바로 이름입니다: 1980년대에, BSD는 BSD UNIX라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BSD에서 AT&T 코드의 마지막 흔적까지 제거했기 때문에, 그것은 UNIX라는 이름에 대한 권리 역시 잃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은 책 제목 등에서 4.3BSD UNIX 운영체제 그리고 4.4BSD 운영체제와 같은 표현을 찾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 + + + + + BSD와 리눅스의 대조 + + 그래서, 예를 들어, Debian 리눅스와 FreeBSD의 실제적인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일반적인 사용자들에게, 차이점은 놀랄 만큼 적습니다: 둘 모두 UNIX 계열 운영체제입니다. 둘 모두 비영리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됩니다(이는 물론 다른 많은 리눅스 배포판에는 적용되지 않는 사실입니다). 아래 항목에서, 우리는 BSD를 살펴 보고 리눅스와 대조해볼 것입니다. 설명은 BSD 설치본의 약 80%를 차지하는 FreeBSD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지만, NetBSD, OpenBSD 및 DragonFlyBSD에도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 + + 누가 BSD를 소유하고 있나요? + + BSD는 개인 또는 하나의 회사에 의해 소유되지 않습니다. BSD는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전세계의 헌신적인 기여자들로 이루어진 커뮤니티에 의해 개발되고 배포됩니다. BSD의 일부 구성 요소는 그들 고유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속해 있고 다른 프로젝트 관리자들에 의해 개발됩니다. + + + + BSD는 어떻게 개발되고 업데이트되나요? + + BSD 커널은 다음의 오픈 소스 개발 모델에 따라 개발되고 업데이트됩니다. 각 프로젝트는 Subversion (SVN)을 통한 공개 소스 트리를 유지합니다. 여기에는 문서 및 다른 부가적인 파일들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모든 소스 파일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VN은 사용자들이 시스템의 원하는 버전을 check out (다시 말하면, 복사본을 추출)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 + 전세계의 많은 개발자들이 BSD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세 가지 분류로 나뉘어질 수 있습니다: + + + + 공헌자들은 코드 또는 문서를 작성합니다. 이들은 소스 트리에 직접 커밋(코드를 추가)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그들의 코드를 시스템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커미터로 알려진, 등록된 개발자에 의해 검토받아야 합니다. + + + + 커미터들은 소스 트리에 쓰기 권한을 가진 개발자입니다. 커미터가 되기 위해서, 개인은 그들이 활동하고 있는 영역에 대한 능력을 보여 주어야 합니다. + + 소스 트리에 수정 사항을 커밋하기 전에 허가를 받아야 하는지는 커미터 개인의 재량입니다. 일반적으로, 숙련된 커미터는 명백해 보이는 수정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과 의견을 조율하지 않고 커밋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ocumentation project 커미터는 오타나 문법 오류 등을 수정할 때 검토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한편, 많은 부분을 또는 복잡하게 수정하는 개발자는 커밋하기 전에 그들의 수정을 제출해서 검토받아야 합니다. 극단적인 경우에, Principal Architect와 같은 권한을 가진 코어 팀 구성원이 수정한 내용을 트리에서 제거할 것(backing out이라고 부릅니다)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커미터들은 각각의 커밋에 대한 메일을 받게 되므로, 비밀리에 커밋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 + + 코어 팀. FreeBSD와 NetBSD는 각각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코어 팀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어 팀은 프로젝트의 진행 도중에 만들어졌고, 그들의 역할은 항상 잘 정의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코어 팀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 개발자일 필요는 없지만, 그런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코어 팀에 대한 규칙은 프로젝트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그들은 프로젝트의 진행 방향에 대해 다른 이들보다 큰 영향력이 있습니다. + + + + 아래 정리된 내용은 리눅스와 여러 방면에서의 차이점을 나타냅니다: + + + + 한 사람이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통제하지는 않습니다. 실제로는, Principal Architect가 코드를 back out할 것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차이점이 과대평가되기도 합니다. 심지어 리눅스 프로젝트에서도 여러 사람들이 수정할 권한이 있습니다. + + + + 한편, 중앙 저장소는 하나인데, 이 곳은 전체 운영체제의 시스템 소스를 이전 버전까지 포함하여 모두 찾아볼 수 있는 통합된 장소입니다. + + + + BSD 프로젝트는 단지 커널만이 아니라 운영체제 전체를 관리합니다. 이 차이점은 아주 약간의 의미만 있습니다: BSD도 리눅스도 애플리케이션 없이는 유용하지 않습니다. BSD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경우가 많습니다. + + + + 하나의 공식 SVN 소스 트리를 관리하는 결과로, BSD의 개발은 명확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릴리즈 넘버 혹은 날짜를 통해 시스템의 어떤 버전에라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 SVN은 또한 시스템의 증분 업데이트를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FreeBSD 저장소는 하루에 약 100회 업데이트됩니다. 이러한 수정 사항의 대부분은 작은 것들입니다. + + + + + + BSD 릴리즈 + + FreeBSD, NetBSD 그리고 OpenBSD는 시스템을 세 가지 다른 릴리즈의 형식으로 제공합니다. 리눅스와 같이, 릴리즈들은 1.4.1 또는 3.5와 같은 번호를 부여받습니다. 더불어, 버전 번호는 시스템의 목적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 + + + 개발자 버전의 시스템은 CURRENT이라고 불립니다. FreeBSD는 FreeBSD 5.0-CURRENT와 같은 형태로 CURRENT에 숫자를 할당합니다. NetBSD는 약간 다른 작명법을 사용하여 내부 인터페이스에 변화를 나타내는 한 글자의 접미사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NetBSD 1.4.3G와 같습니다. OpenBSD는 숫자를 할당하지 않습니다(OpenBSD-current). 시스템의 새로운 개발은 모두 이 가지로 들어갑니다. + + + + 일 년에 두 번에서 네 번 정도의 적당한 간격으로, 각 프로젝트는 CD-ROM 또는 FTP 무료 다운로드 형식으로 제공되는 RELEASE 버전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OpenBSD 2.6-RELEASE 또는 NetBSD 1.4-RELEASE와 같습니다. RELEASE 버전은 일반적인 버전의 시스템으로 최종 사용자를 위한 것입니다. NetBSD는 세 번째 자리수와 함께 patch release들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NetBSD 1.4.2와 같습니다. + + + + REALEASE 버전에서 버그가 발견되면, 그것들은 고쳐지고, 고쳐진 내용은 SVN 트리에 반영됩니다. FreeBSD의 경우, 그 결과적인 버전은 STABLE 버전이라고 부르고, NetBSD와 OpenBSD의 경우 계속 RELEASE 버전이라고 부릅니다. CURRENT 가지에서 일정 기간 테스트된 이후에 작은 새 기능들이 이 가지에 추가될 수도 있습니다. + + + + 대조적으로, 리눅스는 두 개의 코드 트리를 별도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stable 버전과 development 버전이 그것들입니다. stable 버전은 2.0, 2.2, 2.4와 같이 짝수의 minor 버전 숫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development 버전은 2.1, 2.3, 2.5와 같이 홀수의 minor 버전 숫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각의 경우에, 이 숫자 다음에는 정확한 릴리즈를 지칭하는 자릿수가 더 따라옵니다. 더불어, 각 공급자는 그들 고유의 사용자 프로그램 및 유틸리티를 추가하기 때문에, 배포판의 이름 역시 중요합니다. 각 배포판 공급자는 배포판에 대한 버전 숫자도 할당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묘사는 TurboLinux 6.0 with kernel 2.2.14와 같이 됩니다. + + + + BSD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 + 수많은 종류의 리눅스 배포판들과는 대조적으로, 오픈 소스 BSD에는 오직 네 가지 주요한 버전만이 있습니다. 각 BSD 프로젝트는 고유한 소스 트리와 커널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userland 코드는 리눅스의 경우에서보다 차이가 적습니다. + + 각 프로젝트의 목표를 분류하기는 어렵습니다: 차이는 매우 주관적입니다. 기본적으로, + + + + FreeBSD는 높은 성능 그리고 end user가 손쉽게 사용하는 것을 추구하며, 웹 컨텐츠 제공자들이 선호합니다. FreeBSD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다른 프로젝트에 비해 현저히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 + + + NetBSD는 이식성을 최우선으로 하여 개발되고 있습니다: of course it runs NetBSD. NetBSD는 palmtop에서부터 대형 서버에서까지 구동될 수 있으며, 심지어는 NASA의 space mission에도 사용되었습니다. 오래된 비 Intel 하드웨어를 구동시킬 때 특히 좋은 선택입니다. + + + + OpenBSD는 보안과 코드 품질을 최우선으로 하여 개발되고 있습니다: OpenBSD는 오픈 소스와 엄격한 코드 검사를 통해 명백히 correct한 시스템을 만듭니다. 이를 통해 은행, 증권 거래소 및 US 정부 기관 등과 같이 보안이 중시되는 곳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합니다. NetBSD와 마찬가지로, 이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구동될 수 있습니다. + + + + DragonFlyBSD는 single-node UP 시스템에서부터 대규모 클러스터 시스템에 이르기까지의 환경에서 높은 성능과 확장성을 추구합니다. DragonFlyBSD는 몇몇의 장기적인 기술 목표들을 가지고 있지만, 핵심은 이해하고 유지하고 개발하기 쉬운 대칭형 다중 처리(SMP) 기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습니다. + + + + 이와 더불어 오픈 소스가 아닌 두 개의 BSD UNIX 운영체제들도 있습니다. BSD/OS와 Apple의 Mac OS X가 그것들입니다: + + + + BSD/OS는 가장 오래된 4.4BSD 파생본입니다. 이것의 소스 코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얻을 수 있었지만, 오픈 소스는 아니었습니다. 이것은 FreeBSD와 여러 방면에서 유사합니다. BSDi가 Wind River Systems에 의해 인수된 지 2년 후, BSD/OS는 독립적인 제품으로 살아남는 데에는 실패했습니다. 소스 코드 및 지원은 Wind River에서 여전히 제공했지만, 모든 새로운 개발은 VxWorks 임베디드 운영체제에 집중되었습니다. + + + + Mac OS X는 AppleMac을 위한 운영체제의 최신 버전입니다. 이 운영체제의 BSD 코어인 Darwin은 x86 및 PPC 컴퓨터를 위한 완전한 기능의 오픈 소스 운영체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Aqua/Quartz 그래픽 시스템 및 Mac OS X의 다른 많은 상용 부분은 클로즈드 소스로 남아 있습니다. 몇몇 Darwin 개발자들은 FreeBSD의 committer이기도 합니다. + + + + + + BSD 라이선스는 GNU Public license와 어떻게 다른가요? + + 리눅스는 closed 소스 소프트웨어를 제거하도록 디자인된 GNU General Public License(GPL)에 따라 배포됩니다. 특히, GPL의 파생물은 모두 사용자가 소스 코드를 요청하면 이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BSD 라이선스는 제약 사항이 적습니다: 바이너리만 배포하는 것이 허용됩니다. 이는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특히 매력적인 선택입니다. + + + + 알아야 할 다른 무언가가 있나요? + + BSD에서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리눅스의 경우보다 적기 때문에, BSD 개발자들은 리눅스 프로그램을 BSD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리눅스 호환성 패키지를 만들었습니다. 이 패키지는 리눅스 시스템 콜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한 커널 수정과, C 라이브러리와 같은 리눅스 호환성 파일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같은 장비에서 리눅스를 설치해서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와 BSD를 설치해서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 실행 속도는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차이가 작습니다. + + BSD의 all from one supplier 환경은 리눅스에서 종종 문제가 되기도 하는 업그레이드를 훨씬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SD는 라이브러리 버전을 업그레이드할 때 이전 라이브러리 버전에 대한 호환성 모듈을 제공하기 때문에, 몇년 전의 바이너리를 문제없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 + + BSD와 리눅스 중에 무엇을 사용해야 하나요? + + 실제로 이건 무슨 뜻일까요? 누가 BSD를 사용해야 하고, 누가 리눅스를 사용해야 할까요? + + 이는 대답하기 대단히 어려운 질문입니다. 여기에 약간의 조언이 있습니다: + + + + 망가지지 않았다면, 고치지 마라: 만일 여러분이 오픈 소스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고, 이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면, 아마 굳이 그걸 바꾸어야 할 이유는 없을 겁니다. + + + + BSD 시스템, 특히 FreeBSD는 리눅스보다 월등히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대개의 경우에, 성능 차이는 없거나 아주 작습니다. 일부 경우에는, 리눅스가 FreeBSD보다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할 수도 있습니다. + + + + 일반적으로, BSD 시스템은 보다 성숙한 코드 베이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안정성이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 + + + BSD 프로젝트는 문서의 품질과 완성도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다양한 문서 프로젝트들은 시스템의 모든 방면을 다루는 문서를 다양한 언어로 꾸준히 갱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 + + BSD 라이선스는 GPL보다 매력적인 선택일 수 있습니다. + + + + 리눅스는 BSD 바이너리를 실행할 수 없는 반면, BSD는 대부분의 리눅스 바이너리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많은 BSD 구현들은 다른 UNIX 계열 시스템의 바이너리 또한 실행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다른 시스템에서 BSD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은 리눅스로 하는 것보다 수월할 수 있습니다. + + + + + + 누가 BSD에 대한 지원, 서비스, 그리고 교육을 제공하나요? + + BSDi / FreeBSD Mall, Inc.는 거의 10년 동안 FreeBSD에 대한 지원 계약을 제공해 오고 있습니다. + + 더불어, 각 프로젝트는 고용에 대한 상담의 목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FreeBSD, NetBSD, 그리고 OpenBSD. + + +
diff --git a/ko_KR.UTF-8/articles/explaining-bsd/ko_KR.po b/ko_KR.UTF-8/articles/explaining-bsd/ko_KR.po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f98b50281d --- /dev/null +++ b/ko_KR.UTF-8/articles/explaining-bsd/ko_KR.po @@ -0,0 +1,1136 @@ +# $FreeBSD$ +msgid "" +msgstr "" +"Project-Id-Version: \n" +"POT-Creation-Date: 2016-01-05 04:51+0900\n" +"PO-Revision-Date: 2016-01-04 05:41+0900\n" +"Last-Translator: Hoyoung Kim \n" +"Language-Team: \n" +"Language: ko_KR\n" +"MIME-Version: 1.0\n"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n" +"Content-Transfer-Encoding: 8bit\n" +"X-Generator: Gtranslator 2.91.7\n" + +#. Put one translator per line, in the form NAME , YEAR1, YEAR2 +msgctxt "_" +msgid "translator-credits" +msgstr "번역자 정보" + +#. (itstool) path: info/title +#: article.translate.xml:6 +msgid "Explaining BSD" +msgstr "BSD에 대한 설명" + +#. (itstool) path: affiliation/address +#: article.translate.xml:10 +#, no-wrap +msgid "grog@FreeBSD.org" +msgstr "grog@FreeBSD.org" + +#. (itstool) path: info/author +#: article.translate.xml:9 +msgid "" +"GregLehey <_:address-1/> " +msgstr "" +"GregLehey <_:address-1/> "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14 +msgid "FreeBSD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the FreeBSD Foundation." +msgstr "FreeBSD는 FreeBSD 재단의 등록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16 +msgid "" +"AMD, AMD Athlon, AMD Opteron, AMD Phenom, AMD Sempron, AMD Turion, Athlon, " +"Élan, Opteron, and PCnet are trademarks of Advanced Micro Devices, Inc." +msgstr "" +"AMD, AMD Athlon, AMD Opteron, AMD Phenom, AMD Sempron, AMD Turion, Athlon, " +"Élan, Opteron, 그리고 PCnet은 Advanced Micro Devices, Inc.의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19 +msgid "" +"Apple, AirPort, FireWire, iMac, iPhone, iPad, Mac, Macintosh, Mac OS, " +"Quicktime, and TrueType are trademarks of Apple Inc., registered in the U.S. " +"and other countries." +msgstr "" +"Apple, AirPort, FireWire, iMac, iPhone, iPad, Mac, Macintosh, Mac OS, " +"Quicktime, 그리고 TrueType은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등록된, Apple Inc.의 "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24 +msgid "" +"Intel, Celeron, Centrino, Core, EtherExpress, i386, i486, Itanium, Pentium, " +"and Xeon are trademarks or registered trademarks of Intel Corporation or its " +"subsidiaries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msgstr "" +"Intel, Celeron, Centrino, Core, EtherExpress, i386, i486, Itanium, Pentium, " +"그리고 Xeon은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Intel Corporation 혹은 그 자회사의 " +"상표 또는 등록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28 +msgid "Linux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Linus Torvalds." +msgstr "Linux는 Linus Torvalds의 등록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30 +msgid "" +"Motif, OSF/1, and UNIX are registered trademarks and IT DialTone and The " +"Open Group are trademarks of The Open Group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 +"countries." +msgstr "" +"Motif, OSF/1, 그리고 UNIX는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The Open Group의 등록 " +"상표입니다. IT DialTone과 The Open Group은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The " +"Open Group의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34 +msgid "" +"SPARC, SPARC64, and UltraSPARC are trademarks of SPARC International, Inc in "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SPARC International, Inc owns all of " +"the SPARC trademarks and under licensing agreements allows the proper use of " +"these trademarks by its members." +msgstr "" +"SPARC, SPARC64, 그리고 UltraSPARC는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에서 SPARC " +"International, Inc의 상표입니다. SPARC International, Inc는 SPARC 상표 모두" +"를 소유하고 있으며 라이선스 협약 하에 계약자는 이 상표들의 적절한 사용을 허가" +"받습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39 +msgid "" +"Sun, Sun Microsystems, Java, Java Virtual Machine, JDK, JRE, JSP, JVM, " +"Netra, OpenJDK, Solaris, StarOffice, SunOS and VirtualBox are trademarks or " +"registered trademarks of Sun Microsystems, Inc. in the United States and " +"other countries." +msgstr "" +"Sun, Sun Microsystems, Java, Java Virtual Machine, JDK, JRE, JSP, JVM, " +"Netra, OpenJDK, Solaris, StarOffice, SunOS 그리고 VirtualBox는 미국 및 그 이" +"외의 국가에서 Sun Microsystems, Inc.의 상표 또는 등록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44 +msgid "" +"UNIX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The Open Group in the United States and " +"other countries." +msgstr "" +"UNIX는 미국 및 그 이외의 국가들에서 등록된 The Open Group의 등록 상표입니다." + +#. (itstool) path: legalnotice/para +#: article.translate.xml:46 +msgid "" +"Many of the designations used by manufacturers and sellers to distinguish " +"their products are claimed as trademarks. Where those designations appear in " +"this document, and the FreeBSD Project was aware of the trademark claim, the " +"designations have been followed by the or the ® symbol." +msgstr "" +"생산자 및 판매자들이 그들의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많은 표기들은 상표" +"권으로 보호받습니다. 이 문서에 그런 표기들이 나타날 때, FreeBSD 프로젝트는 그" +"러한 상표권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표기 뒤에 또는 " +"® 기호를 사용합니다." + +#. (itstool) path: info/pubdate +#. (itstool) path: info/releaseinfo +#: article.translate.xml:54 article.translate.xml:56 +msgid "" +"$FreeBSD: head/en_US.ISO8859-1/articles/explaining-bsd/article.xml 47686 " +"2015-10-27 19:02:46Z rene $" +msgstr "$FreeBSD$" + +#. (itstool) path: abstract/para +#: article.translate.xml:59 +msgid "" +"In the open source world, the word Linux is almost synonymous " +"with Operating System, but it is not the only open source " +"UNIX operating system. According " +"to the Internet Operating System Counter, as of April 1999 31.3% of the " +"world's network connected machines run Linux. 14.6% run BSD UNIX. Some of the world's largest web operations, " +"such as Yahoo!, run BSD. " +"The world's busiest FTP server of 1999 (now defunct), ftp.cdrom.com, used BSD to transfer 1.4 TB " +"of data a day. Clearly this is not a niche market: BSD is a well-kept secret." +msgstr "" +"오픈 소스의 세계에서, 리눅스라는 단어는 운영체제라는 단어와 거의 동의어입니다. 하지만 리눅스만이 유일한 오픈 소스 " +"UNIX 운영체제인 것은 아닙니다. " +"Internet Operating System Counter에 따르면, 1999년 4월을 기준으로 "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세계의 컴퓨터들 중 31.3%가 리눅스를 구동시켰습니다. " +"14.6%는 BSD UNIX를 구동시켰습니" +"다. Yahoo!와 같은 세계 최" +"대 규모의 웹 관리 중 일부는 BSD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1999년을 기준으로 세계" +"에서 가장 활발한 FTP 서버(지금은 중단되었습니다)였던 ftp.cdrom.com는 하루 1.4 TB의 데이터를 전송하" +"기 위해 BSD를 사용했었습니다. 이것이 틈새 시장이 아닌 것은 분명합니다: BSD" +"는 잘 유지되어 온 비밀입니다." + +#. (itstool) path: abstract/para +#: article.translate.xml:70 +msgid "" +"So what is the secret? Why is BSD not better known? This white paper " +"addresses these and other questions." +msgstr "" +"무엇이 비밀이라는 뜻일까요? 왜 BSD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을까요? 이 보고서는 " +"이러한 의문과 다른 몇몇의 질문에 대한 것입니다." + +#. (itstool) path: abstract/para +#: article.translate.xml:73 +msgid "" +"Throughout this paper, differences between BSD and Linux will be noted " +"like this." +msgstr "" +"이 보고서 전반에 걸쳐, BSD와 리눅스의 차이점은 이렇게 표" +"기될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79 +msgid "What is BSD?" +msgstr "BSD는 무엇일까요?"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81 +msgid "" +"BSD stands for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It is the name " +"of distributions of source code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which were originally extensions to AT&T's Research UNIX operating system. Several open source " +"operating system projects are based on a release of this source code known " +"as 4.4BSD-Lite. In addition, they comprise a number of packages from other " +"Open Source projects, including notably the GNU project. The overall " +"operating system comprises:" +msgstr "" +"BSD는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을 나타냅니다. 이는 " +"AT&T의 Research UNIX 운영체제" +"의 확장판이었던,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의 소스 코드 배포판의 이름" +"입니다. 몇몇 오픈 소스 운영체제들은 4.4BSD-Lite라고 알려진 이 소스 코드 릴리" +"즈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게다가, 그 운영체제들은 GNU 프로젝트를 비롯한 다" +"른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로부터 가져온 많은 패키지들도 포함합니다. 전체적인 운" +"영체제는 다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92 +msgid "" +"The BSD kernel, which handles process scheduling, memory management, " +"symmetric multi-processing (SMP), device drivers, etc." +msgstr "" +"프로세스 스케줄링, 메모리 관리, 대칭형 다중 처리 (SMP), 장치 드라이버 등을 제" +"어하는 BSD 커널."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96 +msgid "" +"Unlike the Linux kernel, there are several different BSD kernels " +"with differing capabilities." +msgstr "" +"리눅스 커널과는 다르게,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몇몇의 BSD 커널들이 " +"존재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01 +msgid "The C library, the base API for the system." +msgstr "시스템의 기반 API인 C 라이브러리."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03 +msgid "" +"The BSD C library is based on code from Berkeley, not the GNU " +"project." +msgstr "" +"BSD C 라이브러리는 GNU 프로젝트가 아니라 Berkeley의 코드를 기반으" +"로 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08 +msgid "Utilities such as shells, file utilities, compilers and linkers." +msgstr "쉘, 파일 유틸리티, 컴파일러, 링커와 같은 유틸리티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11 +msgid "" +"Some of the utilities are derived from the GNU project, others are " +"not." +msgstr "" +"이들 중 일부는 GNU 프로젝트로부터 가져왔고, 다른 일부는 그렇지 않습" +"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16 +msgid "The X Window system, which handles graphical display." +msgstr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X Window 시스템."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18 +msgid "" +"The X Window system used in most versions of BSD is maintained by the X.Org project. FreeBSD allows the " +"user to choose from a variety of desktop environments, such as " +"Gnome, KDE, or " +"Xfce; and lightweight window managers like " +"Openbox, Fluxbox, or " +"Awesome." +msgstr "" +"대다수의 BSD에서 사용하는 X Window 시스템은 X.Org project에 의해 관리됩니다. FreeBSD는 사용자가 " +"Gnome, KDE, 또는 " +"Xfce와 같은 데스크탑 환경 및 " +"Openbox, Fluxbox, 또는 " +"Awesome과 같은 가벼운 window manager를 선택해서 사" +"용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131 +msgid "Many other programs and utilities." +msgstr "여러 다른 프로그램과 유틸리티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137 +msgid "What, a real UNIX?" +msgstr "진짜 UNIX라고요?"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39 +msgid "" +"The BSD operating systems are not clones, but open source derivatives of " +"AT&T's Research UNIX " +"operating system, which is also the ancestor of the modern UNIX System V. This may surprise you. How could " +"that happen when AT&T has never released its code as open source?" +msgstr "" +"BSD 운영체제는 클론이 아니라, AT&T의 Research UNIX 운영체제(이는 현대의 UNIX System V의 조상이기도 합니다)의 오픈 소스 파" +"생본입니다. 여러분은 이 사실에 놀랄지도 모릅니다. AT&T는 그 코드를 오" +"픈 소스로 공개한 적이 없는데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었을까요?"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45 +msgid "" +"It is true that AT&T UNIX is " +"not open source, and in a copyright sense BSD is very definitely " +"not UNIX, " +"but on the other hand, AT&T has imported sources from other projects, " +"noticeably the Computer Sciences Research Group (CSRG) of the University of " +"California in Berkeley, CA. Starting in 1976, the CSRG started releasing " +"tapes of their software, calling them Berkeley Software " +"Distribution or BSD." +msgstr "" +"AT&T UNIX가 오픈 소스가 아니" +"라는 것과, 상표권의 관점에서 BSD가 엄밀히는 UNIX아니라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 +"한편으로는, AT&T는 캘리포니아에 있는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에 속한 Computer Sciences Research Group (CSRG) 등의 다른 프로젝트로부터 소스" +"를 가져와 사용했습니다. 1976년부터, CSRG는 Berkeley Software " +"Distribution 또는 BSD라고 불린 그들의 소프트" +"웨어 테이프를 배포하기 시작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53 +msgid "" +"Initial BSD releases consisted mainly of user programs, but that changed " +"dramatically when the CSRG landed a contract with the Defense Advanced " +"Research Projects Agency (DARPA) to upgrade the communications protocols on " +"their network, ARPANET. The new protocols were known as the " +"Internet Protocols, later TCP/IP " +"after the most important protocols. The first widely distributed " +"implementation was part of 4.2BSD, in 1982." +msgstr "" +"최초의 BSD 릴리즈는 대체로 사용자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그 구성은 "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DARPA)가 그들의 네트워크인 ARPANET" +"에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개선하기 위해 CSRG와 계약을 맺은 이후 극적으로 " +"변화했습니다. 새로운 프로토콜들은 Internet Protocols라" +"고 알려졌으며,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들인 TCP/IP의 구성 요" +"소가 되었습니다. 그 프로토콜의 구현이 최초로 널리 배포된 것은 1982년에 " +"4.2BSD에 포함된 것이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62 +msgid "" +"In the course of the 1980s, a number of new workstation companies sprang up. " +"Many preferred to license UNIX " +"rather than developing operating systems for themselves. In particular, Sun " +"Microsystems licensed UNIX and " +"implemented a version of 4.2BSD, which they called SunOS. When AT&T themselves were allowed to sell UNIX commercially, they started with a somewhat " +"bare-bones implementation called System III, to be quickly followed by " +"System V. The System V code base did not include networking, so all " +"implementations included additional software from the BSD, including the TCP/" +"IP software, but also utilities such as the csh shell " +"and the vi editor. Collectively, these enhancements " +"were known as the Berkeley Extensions." +msgstr "" +"1980년대에, 많은 수의 새로운 워크스테이션 회사들이 갑자기 나타났습니다. 대다" +"수는 그들만의 운영체제를 개발하는 것보다 UNIX를 라이선스받는 것을 선호했습니다. 특히 Sun Microsystems" +"는 UNIX를 라이선스받아서 " +"SunOS라고 불리는, 4.2BSD의 한 버전을 만들었습니다. " +"AT&T가 UNIX를 상업적으로 판매" +"하도록 허가받았을 때, 그들은 System III라고 불리는 구현을 바닥부터 시작했고, " +"이는 곧 System V로 발전했습니다. System V 코드는 네트워킹을 포함하지 않았기 " +"때문에, 모든 구현은 TCP/IP 소프트웨어 및 csh 쉘이나 " +"vi 에디터와 같은 추가적인 BSD 소프트웨어들을 포함했습니" +"다. 이러한 기능 향상은 일괄적으로 Berkeley Extensions" +"로 알려졌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75 +msgid "" +"The BSD tapes contained AT&T source code and thus required a UNIX source license. By 1990, the CSRG's " +"funding was running out, and it faced closure. Some members of the group " +"decided to release the BSD code, which was Open Source, without the AT&T " +"proprietary code. This finally happened with the Networking Tape " +"2, usually known as Net/2. Net/2 was not a " +"complete operating system: about 20% of the kernel code was missing. One of " +"the CSRG members, William F. Jolitz, wrote the remaining code and released " +"it in early 1992 as 386BSD. At the same time, another " +"group of ex-CSRG members formed a commercial company called Berkeley Software Design Inc. and released a " +"beta version of an operating system called BSD/386, which was based on the same sources. The name of " +"the operating system was later changed to BSD/OS." +msgstr "" +"BSD 테이프는 AT&T 소스 코드를 포함했기 때문에 UNIX 소스 라이선스가 필요했습니다. 1990년에, CSRG" +"의 재정은 바닥나고 있었고, 폐쇄를 앞두고 있었습니다. 모임의 일부 회원들은 오" +"픈 소스였던 BSD 코드를 AT&T의 상업 코드 없이 릴리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이는 마침내 Net/2라고 알려진 Networking Tape " +"2가 되었습니다. Net/2는 완전한 운영체제가 아니었습니다: 커널 코드" +"의 약 20% 정도가 부족했습니다. CSRG 회원의 한 명이었던 William F. Jolitz는 " +"부족했던 코드를 작성했고 1992년 초에 386BSD라는 이름으" +"로 배포했습니다. 같은 시기에, 전 CSRG 회원들로 구성된 모임이 Berkeley Software Design Inc.라는 상업 " +"회사를 조직했고, 386BSD와 같은 코드 기반을 가지는 운영체제 BSD/386의 베타 버전을 릴리즈했습니다. 이 운" +"영체제의 이름은 나중에 BSD/OS로 바뀌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191 +msgid "" +"386BSD never became a stable operating system. Instead, two other projects " +"split off from it in 1993: NetBSD and FreeBSD. The two projects originally diverged due to differences " +"in patience waiting for improvements to 386BSD: the NetBSD people started " +"early in the year, and the first version of FreeBSD was not ready until the " +"end of the year. In the meantime, the code base had diverged sufficiently to " +"make it difficult to merge. In addition, the projects had different aims, as " +"we will see below. In 1996, OpenBSD split off from NetBSD, and in 2003, DragonFlyBSD split off from FreeBSD." +msgstr "" +"386BSD는 안정적인 운영체제가 되지는 못했습니다. 그 대신, 1993년에 그로부터 " +"두 개의 다른 프로젝트가 파생되었습니다: NetBSD와 FreeBSD가 그것입니다. 두 프로젝트는 386BSD의 개선을 기다리는 인내" +"심의 차이에서 갈라졌습니다: NetBSD의 사람들은 새해 일찍 작업에 착수했고, " +"FreeBSD의 첫 버전은 연말까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한편, 둘의 코드베이스는 다" +"시 합쳐지기 어려울 정도로 크게 갈라졌습니다. 게다가, 각 프로젝트는 서로 다" +"른 목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룰 것입니다). 1996년에, " +"NetBSD로부터 OpenBSD가 갈" +"라져 나왔고, 2003년에는 FreeBSD로부터 DragonFlyBSD가 갈라져 나왔습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208 +msgid "Why is BSD not better known?" +msgstr "왜 BSD는 잘 알려지지 않았을까요?"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10 +msgid "For a number of reasons, BSD is relatively unknown:" +msgstr "여러 이유들로 인해, BSD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14 +msgid "" +"The BSD developers are often more interested in polishing their code than " +"marketing it." +msgstr "" +"BSD 개발자들은 대개 홍보하는 일보다 코드를 개선하는 일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19 +msgid "" +"Much of Linux's popularity is due to factors external to the Linux projects, " +"such as the press, and to companies formed to provide Linux services. Until " +"recently, the open source BSDs had no such proponents." +msgstr "" +"리눅스 인기의 많은 부분은 언론 또는 리눅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등 리눅스 " +"프로젝트 외부의 요인에 의한 것입니다. 최근까지, 오픈 소스 BSD는 그러한 후원" +"자들이 없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26 +msgid "" +"BSD developers tend to be more experienced than Linux developers, and have " +"less interest in making the system easy to use. Newcomers tend to feel more " +"comfortable with Linux." +msgstr "" +"BSD 개발자들은 리눅스 개발자들보다 더 숙련된 경향이 있고, 시스템을 사용하기 " +"쉽게 만드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덜 관심있어합니다. 초보자들은 리눅스를 좀더 편" +"안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32 +msgid "" +"In 1992, AT&T sued BSDI, the vendor of BSD/386, alleging that the product contained AT&T-" +"copyrighted code. The case was settled out of court in 1994, but the spectre " +"of the litigation continues to haunt people. In March 2000 an article " +"published on the web claimed that the court case had been recently " +"settled." +msgstr "" +"1992년에, AT&T는 BSD/386의 공급자인 BSDI를 고소했는데, 해당 제품이 AT&T가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1994년에 그 소송은 타협을 보기" +"로 합의하는 것으로 일단락되었지만, 그 소송의 유령은 사람들을 계속 괴롭혔습니" +"다. 2000년 3월에 들어 웹에 게시된 글은 해당 소송 사건이 최근에 해결되" +"었다고 주장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40 +msgid "" +"One detail that the lawsuit did clarify is the naming: in the 1980s, BSD was " +"known as BSD UNIX. With the elimination of the last vestige of AT&T code from BSD, " +"it also lost the right to the name UNIX. Thus you will see references in book titles to the 4.3BSD " +"UNIX operating system " +"and the 4.4BSD operating system." +msgstr "" +"소송에서 분명해진 한 가지 요소는 바로 이름입니다: 1980년대에, BSD는 " +"BSD UNIX라고 알려" +"져 있었습니다. BSD에서 AT&T 코드의 마지막 흔적까지 제거했기 때문에, 그것" +"은 UNIX라는 이름에 대한 권리 역" +"시 잃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은 책 제목 등에서 4.3BSD " +"UNIX 운영체제 그리고 " +"4.4BSD 운영체제와 같은 표현을 찾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 +#. (itstool) path: sect1/title +#: article.translate.xml:252 +msgid "Comparing BSD and Linux" +msgstr "BSD와 리눅스의 대조" + +#. (itstool) path: sect1/para +#: article.translate.xml:254 +msgid "" +"So what is really the difference between, say, Debian Linux and FreeBSD? For " +"the average user, the difference is surprisingly small: Both are UNIX like operating systems. Both are " +"developed by non-commercial projects (this does not apply to many other " +"Linux distributions, of course). In the following section, we will look at " +"BSD and compare it to Linux. The description applies most closely to " +"FreeBSD, which accounts for an estimated 80% of the BSD installations, but " +"the differences from NetBSD, OpenBSD and DragonFlyBSD are small." +msgstr "" +"그래서, 예를 들어, Debian 리눅스와 FreeBSD의 실제적인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 +"일반적인 사용자들에게, 차이점은 놀랄 만큼 적습니다: 둘 모두 UNIX 계열 운영체제입니다. 둘 모두 비영리 프로젝트" +"에 의해 개발됩니다(이는 물론 다른 많은 리눅스 배포판에는 적용되지 않는 사실입" +"니다). 아래 항목에서, 우리는 BSD를 살펴 보고 리눅스와 대조해볼 것입니다. 설" +"명은 BSD 설치본의 약 80%를 차지하는 FreeBSD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지만, NetBSD, " +"OpenBSD 및 DragonFlyBSD에도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265 +msgid "Who owns BSD?" +msgstr "누가 BSD를 소유하고 있나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267 +msgid "" +"No one person or corporation owns BSD. It is created and distributed by a " +"community of highly technical and committed contributors all over the world. " +"Some of the components of BSD are Open Source projects in their own right " +"and managed by different project maintainers." +msgstr "" +"BSD는 개인 또는 하나의 회사에 의해 소유되지 않습니다. BSD는 전문적인 기술을 " +"가지고 있는 전세계의 헌신적인 기여자들로 이루어진 커뮤니티에 의해 개발되고 배" +"포됩니다. BSD의 일부 구성 요소는 그들 고유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속해 있고 " +"다른 프로젝트 관리자들에 의해 개발됩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275 +msgid "How is BSD developed and updated?" +msgstr "BSD는 어떻게 개발되고 업데이트되나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277 +msgid "" +"The BSD kernels are developed and updated following the Open Source " +"development model. Each project maintains a publicly accessible " +"source tree under Subversion (SVN), which contains all source files for " +"the project, including documentation and other incidental files. SVN allows " +"users to check out (in other words, to extract a copy of) any " +"desired version of the system." +msgstr "" +"BSD 커널은 다음의 오픈 소스 개발 모델에 따라 개발되고 업데이트됩니다. 각 프" +"로젝트는 Subversion (SVN)을 통한 공개 소스 트리를 유지합니다. 여기에" +"는 문서 및 다른 부가적인 파일들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모든 소스 파일들이 포함되" +"어 있습니다. SVN은 사용자들이 시스템의 원하는 버전을 check out (다시 말하면, 복사본을 추출)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286 +msgid "" +"A large number of developers worldwide contribute to improvements to BSD. " +"They are divided into three kinds:" +msgstr "" +"전세계의 많은 개발자들이 BSD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세 가지 분류" +"로 나뉘어질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91 +msgid "" +"Contributors write code or documentation. They are " +"not permitted to commit (add code) directly to the source tree. In order for " +"their code to be included in the system, it must be reviewed and checked in " +"by a registered developer, known as a committer." +msgstr "" +"공헌자들은 코드 또는 문서를 작성합니다. 이들은 소스 " +"트리에 직접 커밋(코드를 추가)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그들의 코드를 시스" +"템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커미터로 알려진, 등록된 " +"개발자에 의해 검토받아야 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299 +msgid "" +"Committers are developers with write access to the " +"source tree. In order to become a committer, an individual must show ability " +"in the area in which they are active." +msgstr "" +"커미터들은 소스 트리에 쓰기 권한을 가진 개발자입니" +"다. 커미터가 되기 위해서, 개인은 그들이 활동하고 있는 영역에 대한 능력을 보" +"여 주어야 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04 +msgid "" +"It is at the individual committer's discretion whether they should obtain " +"authority before committing changes to the source tree. In general, an " +"experienced committer may make changes which are obviously correct without " +"obtaining consensus. For example, a documentation project committer may " +"correct typographical or grammatical errors without review. On the other " +"hand, developers making far-reaching or complicated changes are expected to " +"submit their changes for review before committing them. In extreme cases, a " +"core team member with a function such as Principal Architect may order that " +"changes be removed from the tree, a process known as backing out. All committers receive mail describing each individual commit, " +"so it is not possible to commit secretly." +msgstr "" +"소스 트리에 수정 사항을 커밋하기 전에 허가를 받아야 하는지는 커미터 개인의 재" +"량입니다. 일반적으로, 숙련된 커미터는 명백해 보이는 수정에 대해서는 다른 사" +"람과 의견을 조율하지 않고 커밋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ocumentation " +"project 커미터는 오타나 문법 오류 등을 수정할 때 검토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 +"한편, 많은 부분을 또는 복잡하게 수정하는 개발자는 커밋하기 전에 그들의 수정" +"을 제출해서 검토받아야 합니다. 극단적인 경우에, Principal Architect와 같은 " +"권한을 가진 코어 팀 구성원이 수정한 내용을 트리에서 제거할 것" +"(backing out이라고 부릅니다)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 +"모든 커미터들은 각각의 커밋에 대한 메일을 받게 되므로, 비밀리에 커밋하는 것" +"은 불가능합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21 +msgid "" +"The Core team. FreeBSD and NetBSD each have a core " +"team which manages the project. The core teams developed in the course of " +"the projects, and their role is not always well-defined. It is not necessary " +"to be a developer in order to be a core team member, though it is normal. " +"The rules for the core team vary from one project to the other, but in " +"general they have more say in the direction of the project than non-core " +"team members have." +msgstr "" +"코어 팀. FreeBSD와 NetBSD는 각각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 +"코어 팀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어 팀은 프로젝트의 진행 도중에 만들어졌고, 그들" +"의 역할은 항상 잘 정의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코어 팀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 개" +"발자일 필요는 없지만, 그런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코어 팀에 대한 규칙은 프로젝" +"트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그들은 프로젝트의 진행 방향에 대해 다른 이들보다 " +"큰 영향력이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32 +msgid "This arrangement differs from Linux in a number of ways:" +msgstr "아래 정리된 내용은 리눅스와 여러 방면에서의 차이점을 나타냅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36 +msgid "" +"No one person controls the content of the system. In practice, this " +"difference is overrated, since the Principal Architect can require that code " +"be backed out, and even in the Linux project several people are permitted to " +"make changes." +msgstr "" +"한 사람이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통제하지는 않습니다. 실제로는, Principal " +"Architect가 코드를 back out할 것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차이점이 과대평가" +"되기도 합니다. 심지어 리눅스 프로젝트에서도 여러 사람들이 수정할 권한이 있습" +"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43 +msgid ""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entral repository, a " +"single place where you can find the entire operating system sources, " +"including all older versions." +msgstr "" +"한편, 중앙 저장소는 하나인데, 이 곳은 전체 운영체제의 시" +"스템 소스를 이전 버전까지 포함하여 모두 찾아볼 수 있는 통합된 장소입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49 +msgid "" +"BSD projects maintain the entire Operating System, not only " +"the kernel. This distinction is only marginally useful: neither BSD nor " +"Linux is useful without applications. The applications used under BSD are " +"frequently the same as the applications used under Linux." +msgstr "" +"BSD 프로젝트는 단지 커널만이 아니라 운영체제 전체를 관리합니" +"다. 이 차이점은 아주 약간의 의미만 있습니다: BSD도 리눅스도 애플리케이션 없" +"이는 유용하지 않습니다. BSD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리눅스에서 사용되" +"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경우가 많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57 +msgid "" +"As a result of the formalized maintenance of a single SVN source tree, BSD " +"development is clear, and it is possible to access any version of the system " +"by release number or by date. SVN also allows incremental updates to the " +"system: for example, the FreeBSD repository is updated about 100 times a " +"day. Most of these changes are small." +msgstr "" +"하나의 공식 SVN 소스 트리를 관리하는 결과로, BSD의 개발은 명확하게 이루어지" +"고 있으며, 릴리즈 넘버 혹은 날짜를 통해 시스템의 어떤 버전에라도 접근할 수 있" +"습니다. SVN은 또한 시스템의 증분 업데이트를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FreeBSD " +"저장소는 하루에 약 100회 업데이트됩니다. 이러한 수정 사항의 대부분은 작은 것" +"들입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368 +msgid "BSD releases" +msgstr "BSD 릴리즈"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370 +msgid "" +"FreeBSD, NetBSD and OpenBSD provide the system in three different " +"releases. As with Linux, releases are assigned a number such " +"as 1.4.1 or 3.5. In addition, the version number has a suffix indicating its " +"purpose:" +msgstr "" +"FreeBSD, NetBSD 그리고 OpenBSD는 시스템을 세 가지 다른 릴리즈" +"의 형식으로 제공합니다. 리눅스와 같이, 릴리즈들은 1.4.1 또는 3.5와 같은 번호" +"를 부여받습니다. 더불어, 버전 번호는 시스템의 목적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가지" +"고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77 +msgid "" +"The development version of the system is called CURRENT. FreeBSD assigns a number to CURRENT, for example FreeBSD 5.0-" +"CURRENT. NetBSD uses a slightly different naming scheme and appends a single-" +"letter suffix which indicates changes in the internal interfaces, for " +"example NetBSD 1.4.3G. OpenBSD does not assign a number (OpenBSD-" +"current). All new development on the system goes into this branch." +msgstr "" +"개발자 버전의 시스템은 CURRENT이라고 불립니다. " +"FreeBSD는 FreeBSD 5.0-CURRENT와 같은 형태로 CURRENT에 숫자를 할당합니다. " +"NetBSD는 약간 다른 작명법을 사용하여 내부 인터페이스에 변화를 나타내는 한 글" +"자의 접미사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NetBSD 1.4.3G와 같습니다. OpenBSD는 숫자" +"를 할당하지 않습니다(OpenBSD-current). 시스템의 새로운 개발" +"은 모두 이 가지로 들어갑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87 +msgid ""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wo and four times a year, the projects bring " +"out a RELEASE version of the system, which is " +"available on CD-ROM and for free download from FTP sites, for example " +"OpenBSD 2.6-RELEASE or NetBSD 1.4-RELEASE. The RELEASE version is intended " +"for end users and is the normal version of the system. NetBSD also provides " +"patch releases with a third digit, for example NetBSD " +"1.4.2." +msgstr "" +"일 년에 두 번에서 네 번 정도의 적당한 간격으로, 각 프로젝트는 CD-ROM 또는 " +"FTP 무료 다운로드 형식으로 제공되는 RELEASE 버전 시스" +"템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OpenBSD 2.6-RELEASE 또는 NetBSD 1.4-RELEASE와 같" +"습니다. RELEASE 버전은 일반적인 버전의 시스템으로 최종 사용자를 위한 것입니" +"다. NetBSD는 세 번째 자리수와 함께 patch release들을 제" +"공합니다. 예를 들어 NetBSD 1.4.2와 같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398 +msgid "" +"As bugs are found in a RELEASE version, they are fixed, and the fixes are " +"added to the SVN tree. In FreeBSD, the resultant version is called the " +"STABLE version, while in NetBSD and OpenBSD it " +"continues to be called the RELEASE version. Smaller new features can also be " +"added to this branch after a period of test in the CURRENT branch. Security " +"and other important bug fixes are also applied to all supported RELEASE " +"versions." +msgstr "" +"REALEASE 버전에서 버그가 발견되면, 그것들은 고쳐지고, 고쳐진 내용은 SVN 트리" +"에 반영됩니다. FreeBSD의 경우, 그 결과적인 버전은 STABLE 버전이라고 부르고, NetBSD와 OpenBSD의 경우 계속 RELEASE 버전이라" +"고 부릅니다. CURRENT 가지에서 일정 기간 테스트된 이후에 작은 새 기능들이 이 " +"가지에 추가될 수도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408 +msgid "" +"By contrast, Linux maintains two separate code trees: the stable " +"version and the development version. Stable versions have an even minor " +"version number, such as 2.0, 2.2 or 2.4. Development versions have an odd " +"minor version number, such as 2.1, 2.3 or 2.5. In each case, the number is " +"followed by a further number designating the exact release. In addition, " +"each vendor adds their own userland programs and utilities, so the name of " +"the distribution is also important. Each distribution vendor also assigns " +"version numbers to the distribution, so a complete description might be " +"something like TurboLinux 6.0 with kernel 2.2.14" +msgstr "" +"대조적으로, 리눅스는 두 개의 코드 트리를 별도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 +"stable 버전과 development 버전이 그것들입니다. stable 버전은 2.0, 2.2, 2.4" +"와 같이 짝수의 minor 버전 숫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development 버전은 2.1, " +"2.3, 2.5와 같이 홀수의 minor 버전 숫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각의 경우에, 이 " +"숫자 다음에는 정확한 릴리즈를 지칭하는 자릿수가 더 따라옵니다. 더불어, 각 공" +"급자는 그들 고유의 사용자 프로그램 및 유틸리티를 추가하기 때문에, 배포판의 이" +"름 역시 중요합니다. 각 배포판 공급자는 배포판에 대한 버전 숫자도 할당하기 때" +"문에, 전체적인 묘사는 TurboLinux 6.0 with kernel 2.2.14와 같" +"이 됩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422 +msgid "What versions of BSD are available?" +msgstr "BSD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424 +msgid "" +"In contrast to the numerous Linux distributions, there are only four major " +"open source BSDs. Each BSD project maintains its own source tree and its own " +"kernel. In practice, though, there appear to be fewer divergences between " +"the userland code of the projects than there is in Linux." +msgstr "" +"수많은 종류의 리눅스 배포판들과는 대조적으로, 오픈 소스 BSD에는 오직 네 가지 " +"주요한 버전만이 있습니다. 각 BSD 프로젝트는 고유한 소스 트리와 커널을 유지합" +"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userland 코드는 리눅스의 경우에서보다 차이가 적습니" +"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430 +msgid "" +"It is difficult to categorize the goals of each project: the differences are " +"very subjective. Basically," +msgstr "" +"각 프로젝트의 목표를 분류하기는 어렵습니다: 차이는 매우 주관적입니다. 기본적" +"으로,"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35 +msgid "" +"FreeBSD aims for high performance and ease of use by end users, and is a " +"favourite of web content providers. It runs on a number of platforms and has " +"significantly more users than the other projects." +msgstr "" +"FreeBSD는 높은 성능 그리고 end user가 손쉽게 사용하는 것을 추구하며, 웹 컨텐" +"츠 제공자들이 선호합니다. FreeBSD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다른 프로젝트에 비해 " +"현저히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42 +msgid "" +"NetBSD aims for maximum portability: of course it runs NetBSD. It runs on machines from palmtops to large servers, and has even " +"been used on NASA space missions. It is a particularly good choice for " +"running on old non-Intel " +"hardware." +msgstr "" +"NetBSD는 이식성을 최우선으로 하여 개발되고 있습니다: of course it " +"runs NetBSD. NetBSD는 palmtop에서부터 대형 서버에서까지 구동될 수 있" +"으며, 심지어는 NASA의 space mission에도 사용되었습니다. 오래된 비 " +"Intel 하드웨어를 구동시킬 때 특" +"히 좋은 선택입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50 +msgid "" +"OpenBSD aims for security and code purity: it uses a combination of the open " +"source concept and rigorous code reviews to create a system which is " +"demonstrably correct, making it the choice of security-conscious " +"organizations such as banks, stock exchanges and US Government departments. " +"Like NetBSD, it runs on a number of platforms." +msgstr "" +"OpenBSD는 보안과 코드 품질을 최우선으로 하여 개발되고 있습니다: OpenBSD는 오" +"픈 소스와 엄격한 코드 검사를 통해 명백히 correct한 시스템을 만듭니다. 이를 " +"통해 은행, 증권 거래소 및 US 정부 기관 등과 같이 보안이 중시되는 곳에서 사용" +"될 수 있도록 합니다. NetBSD와 마찬가지로, 이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구동될 수 "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59 +msgid "" +"DragonFlyBSD aims for high performance and scalability under everything from " +"a single-node UP system to a massively clustered system. DragonFlyBSD has " +"several long-range technical goals, but focus lies on providing a SMP-" +"capable infrastructure that is easy to understand, maintain and develop for." +msgstr "" +"DragonFlyBSD는 single-node UP 시스템에서부터 대규모 클러스터 시스템에 이르기" +"까지의 환경에서 높은 성능과 확장성을 추구합니다. DragonFlyBSD는 몇몇의 장기" +"적인 기술 목표들을 가지고 있지만, 핵심은 이해하고 유지하고 개발하기 쉬운 대칭" +"형 다중 처리(SMP) 기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467 +msgid "" +"There are also two additional BSD UNIX operating systems which are not open source, BSD/OS and Apple's " +"Mac OS X:" +msgstr "" +"이와 더불어 오픈 소스가 아닌 두 개의 BSD UNIX 운영체제들도 있습니다. BSD/OS와 Apple의 Mac OS X가 그것들입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72 +msgid "" +"BSD/OS was the oldest of the 4.4BSD derivatives. It was not open source, " +"though source code licenses were available at relatively low cost. It " +"resembled FreeBSD in many ways. Two years after the acquisition of BSDi by " +"Wind River Systems, BSD/OS failed to survive as an independent product. " +"Support and source code may still be available from Wind River, but all new " +"development is focused on the VxWorks embedded operating system." +msgstr "" +"BSD/OS는 가장 오래된 4.4BSD 파생본입니다. 이것의 소스 코드는 상대적으로 낮" +"은 가격에 얻을 수 있었지만, 오픈 소스는 아니었습니다. 이것은 FreeBSD와 여러 " +"방면에서 유사합니다. BSDi가 Wind River Systems에 의해 인수된 지 2년 후, BSD/" +"OS는 독립적인 제품으로 살아남는 데에는 실패했습니다. 소스 코드 및 지원은 " +"Wind River에서 여전히 제공했지만, 모든 새로운 개발은 VxWorks 임베디드 운영체" +"제에 집중되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483 +msgid "" +"Mac OS X is the latest version of the " +"operating system for Apple's " +"Mac line. The BSD core of this " +"operating system, Darwin, is available as a fully functional open source operating " +"system for x86 and PPC computers. The Aqua/Quartz graphics system and many " +"other proprietary aspects of Mac OS X remain closed-source, however. Several Darwin developers are " +"also FreeBSD committers, and vice-versa." +msgstr "" +"Mac OS X는 AppleMac을 위" +"한 운영체제의 최신 버전입니다. 이 운영체제의 BSD 코어인 Darwin은 x86 및 PPC 컴퓨터를 위" +"한 완전한 기능의 오픈 소스 운영체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Aqua/Quartz " +"그래픽 시스템 및 Mac OS X의 다" +"른 많은 상용 부분은 클로즈드 소스로 남아 있습니다. 몇몇 Darwin 개발자들은 " +"FreeBSD의 committer이기도 합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499 +msgid "How does the BSD license differ from the GNU Public license?" +msgstr "BSD 라이선스는 GNU Public license와 어떻게 다른가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502 +msgid "" +"Linux is available under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GPL), which is designed to " +"eliminate closed source software. In particular, any derivative work of a " +"product released under the GPL must also be supplied with source code if " +"requested. By contrast, the BSD license is less restrictive: binary-" +"only distributions are allowed. This is particularly attractive for embedded " +"applications." +msgstr "" +"리눅스는 closed 소스 소프트웨어를 제거하도록 디자인된 GNU General Public License(GPL)에 따라 배포됩니다. 특히, GPL의 파생물은 모두 사용자가 소스 코드" +"를 요청하면 이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BSD 라이선스" +"는 제약 사항이 적습니다: 바이너리만 배포하는 것이 허용됩니다. 이는 임베디드 "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특히 매력적인 선택입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515 +msgid "What else should I know?" +msgstr "알아야 할 다른 무언가가 있나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517 +msgid "" +"Since fewer applications are available for BSD than Linux, the BSD " +"developers created a Linux compatibility package, which allows Linux " +"programs to run under BSD. The package includes both kernel modifications, " +"in order to correctly perform Linux system calls, and Linux compatibility " +"files such as the C library. There is no noticeable difference in execution " +"speed between a Linux application running on a Linux machine and a Linux " +"application running on a BSD machine of the same speed." +msgstr "" +"BSD에서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리눅스의 경우보다 적기 때문에, BSD 개" +"발자들은 리눅스 프로그램을 BSD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리눅스 호환성 패" +"키지를 만들었습니다. 이 패키지는 리눅스 시스템 콜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한 " +"커널 수정과, C 라이브러리와 같은 리눅스 호환성 파일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같은 장비에서 리눅스를 설치해서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와 BSD를 설치" +"해서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 실행 속도는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차이" +"가 작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526 +msgid "" +"The all from one supplier nature of BSD means that upgrades " +"are much easier to handle than is frequently the case with Linux. BSD " +"handles library version upgrades by providing compatibility modules for " +"earlier library versions, so it is possible to run binaries which are " +"several years old with no problems." +msgstr "" +"BSD의 all from one supplier 환경은 리눅스에서 종종 문제가 되기" +"도 하는 업그레이드를 훨씬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SD는 라이브러" +"리 버전을 업그레이드할 때 이전 라이브러리 버전에 대한 호환성 모듈을 제공하기 " +"때문에, 몇년 전의 바이너리를 문제없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534 +msgid "Which should I use, BSD or Linux?" +msgstr "BSD와 리눅스 중에 무엇을 사용해야 하나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536 +msgid "" +"What does this all mean in practice? Who should use BSD, who should use " +"Linux?" +msgstr "" +"실제로 이건 무슨 뜻일까요? 누가 BSD를 사용해야 하고, 누가 리눅스를 사용해야 " +"할까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539 +msgid "This is a very difficult question to answer. Here are some guidelines:" +msgstr "" +"이는 대답하기 대단히 어려운 질문입니다. 여기에 약간의 조언이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544 +msgid "" +"If it ain't broke, don't fix it: If you already use an open " +"source operating system, and you are happy with it, there is probably no " +"good reason to change." +msgstr "" +"망가지지 않았다면, 고치지 마라: 만일 여러분이 오픈 소스 운영체" +"제를 사용하고 있고, 이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면, 아마 굳이 그걸 바꾸어야 할 이" +"유는 없을 겁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550 +msgid "" +"BSD systems, in particular FreeBSD, can have notably higher performance than " +"Linux. But this is not across the board. In many cases, there is little or "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In some cases, Linux may perform better than " +"FreeBSD." +msgstr "" +"BSD 시스템, 특히 FreeBSD는 리눅스보다 월등히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 +"다.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대개의 경우에, 성능 차이는 없거나 아주 " +"작습니다. 일부 경우에는, 리눅스가 FreeBSD보다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할 수도 있" +"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557 +msgid "" +"In general, BSD systems have a better reputation for reliability, mainly as " +"a result of the more mature code base." +msgstr "" +"일반적으로, BSD 시스템은 보다 성숙한 코드 베이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안" +"정성이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563 +msgid "" +"BSD projects have a better reputation for the quality and completeness of " +"their documentation. The various documentation projects aim to provide " +"actively updated documentation, in many languages, and covering all aspects " +"of the system." +msgstr "" +"BSD 프로젝트는 문서의 품질과 완성도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다양한 문서 프로젝" +"트들은 시스템의 모든 방면을 다루는 문서를 다양한 언어로 꾸준히 갱신하는 것을 "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570 +msgid "The BSD license may be more attractive than the GPL." +msgstr "BSD 라이선스는 GPL보다 매력적인 선택일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listitem/para +#: article.translate.xml:574 +msgid "" +"BSD can execute most Linux binaries, while Linux can not execute BSD " +"binaries. Many BSD implementations can also execute binaries from other " +"UNIX like systems. As a result, " +"BSD may present an easier migration route from other systems than Linux " +"would." +msgstr "" +"리눅스는 BSD 바이너리를 실행할 수 없는 반면, BSD는 대부분의 리눅스 바이너리" +"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많은 BSD 구현들은 다른 UNIX 계열 시스템의 바이너리 또한 실행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 +"로, 다른 시스템에서 BSD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은 리눅스로 하는 것보다 수월할 " +"수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title +#: article.translate.xml:584 +msgid "Who provides support, service, and training for BSD?" +msgstr "누가 BSD에 대한 지원, 서비스, 그리고 교육을 제공하나요?"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586 +msgid "" +"BSDi / FreeBSD Mall, Inc. have been providing support contracts for FreeBSD for nearly a decade." +msgstr "" +"BSDi / FreeBSD Mall, Inc.는 거의 10년 동안 FreeBSD에 대한 지원 계약을 제공해 오고 있습니다." + +#. (itstool) path: sect2/para +#: article.translate.xml:590 +msgid "" +"In addition, each of the projects has a list of consultants for hire: FreeBSD, NetBSD, and OpenBSD." +msgstr "" +"더불어, 각 프로젝트는 고용에 대한 상담의 목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FreeBSD, " +"NetBSD, 그리고 OpenBSD." + +#~ msgid "" +#~ "There is a perception that the BSD projects are fragmented and " +#~ "belligerent. The Wall Street Journal spoke of balkanization of the BSD projects. Like the law suit, this perception bases " +#~ "mainly on ancient history." +#~ msgstr "" +#~ "BSD 프로젝트들은 파편화되어 있고 서로에게 적대적이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 +#~ "Wall " +#~ "Street Journal은 BSD 프로젝트의 소국 분할 정책에 대" +#~ "해서 다루었습니다. 소송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인식은 주로 아주 " +#~ "오래 전의 사건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diff --git a/ko_KR.UTF-8/share/xml/l10n.ent b/ko_KR.UTF-8/share/xml/l10n.ent index c27306e672..7ec5cb556b 100644 --- a/ko_KR.UTF-8/share/xml/l10n.ent +++ b/ko_KR.UTF-8/share/xml/l10n.ent @@ -14,7 +14,7 @@ - +